청계동 원터마을 급경사길 ‘대형 야광 교통표지판’ 설치

의왕시 청계동 원터마을 입구 부근 국지도 57호선 급경사 내리막길에서 사망사고 등 대형 교통사고가 빈발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본보 5월123일자 11면)에 따라 경찰이 대형 야광 교통표지판 등 교통안전시설물을 설치했다. 17일 의왕경찰서에 따르면 급경사와 급커브에 이은 직선도로의 특성이 있는 의왕 원터마을 입구에서 지난달 17일 낮 12시30분께 모닝 차량이 시속 70㎞ 속도제한 규정을 어기고 시속 100㎞가 넘는 속도로 편도 3차로를 주행하다 앞서 가던 자전거 6대를 추돌, 2명이 숨지고 4명이 다치는 등 대형 사망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의왕경찰서는 사고예방을 위해 2천500만원을 투입, 의왕시의 협조를 얻어 가로 3m, 세로 2m의 대형 표지판 2개와 노후 표지판 교체 등 교통안전 시설물을 정비했다. 또 청계사 입구~하오고개 도로 3.5㎞ 구간에 보도와 자전거 도로를 구분해 도색을 실시하고 자전거 전용도로 표지판 23개소를 설치했으며, 자전거 도로 낮춤 시공 및 차량진입 볼라드(방지물)를 제거했다. 의왕경찰서 관계자는 안양~판교로 도로는 급경사와 급커브에 이은 직선도로의 특성에 의해 추돌 사고 등 과속에 의한 교통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지점으로 지속적인 시설개선을 통해 사고예방에 힘쓰겠다며 자전거 이용자의 불편을 없애기 위해 자전거 전용도로의 장애물을 제거하는 등 전용도로도 정비했다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jhlim@kyeonggi.com

의왕시, 체납자 금융재산 전자예금압류시스템 운영

의왕시는 고질적인 체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금을 온라인으로 압류 처리할 수 있는 전자예금압류시스템을 시행하기로 했다. 시는 16일 그동안 수작업으로 추진해오던 체납자의 예금 등 금융재산을 직접 온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전자압류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세외수입의 경우 국세나 지방세에 비해 차량이나 부동산을 압류해도 채권 후순위로 실익이 없어 체납액을 징수해도 효과가 미약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번 도입되는 전자예금압류시스템은 국내 주요 17개 은행에 예치된 체납자의 예금을 주거래 은행 확인 후 온라인으로 압류, 추심, 해제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적극적인 예금압류를 실행할 수 있어 지방세 및 세외수입의 고액ㆍ상습 체납자에 대한 적극적인 징수활동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에 도입한 전자예금압류시스템은 예금압류 후 신속한 추심이 가능해 납부능력이 있는데도 납부를 기피하거나 소홀히 하는 체납자들에게 경각심을 일으켜 징수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박흥찬 시 세무과장은 해마다 누증되고 있는 지방세 및 세외수입 체납액의 징수율을 높이기 위해 전자예금압류시스템을 도입하게 돼 빠르고 효과적인 체납 징수를 기대하고 있다며 어떤 체납시스템을 시행하는 것보다 시민이 자발적으로 세금을 납부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세금납부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의왕=임진흥기자 jhlim@kyeonggi.com

계원예술대학교, 제5회 실기대회 개최

계원예술대학교(총장 이남식)는 예술분야와 디자인분야의 인재를 발굴ㆍ육성하기 위해 최근 제5회 실기대회를 개최했다. 전국 고등학교 재학생과 졸업자를 대상으로 개최된 실기대회는 예술분야 150여 명과 디자인분야 200여 명 등 350여 명이 신청자가 참가했으며 실내ㆍ디자인 분야와 실외(캠퍼스)ㆍ예술계열로 나누어 진행됐다. 예술분야 주제는 건물이 있는 풍경을 그리시오, 디자인분야는 지구 온난화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디자이너 입장에서 표현하시오로 각 분야 대상에게 상금 100만 원과 상장, 1학년 등록금 면제의 혜택을 주며 최우수상은 상금 50만 원을 지급하고 1학년 1학기 등록금을 면제해 준다. 또 우수상과 장려상, 입선작에 대해서도 시상하며 우수 교사상 2명에게는 상패와 상금 20만 원이 주어진다. 수상자 발표는 이달 말께 계원예술대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된다. 계원예술대 관계자는 이번 실기대회는 예술ㆍ디자인 분야의 인재를 발굴해 격려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매년 우수한 디자인과 조형예술 분야의 인재를 발굴해 국내의 권위 있는 실기대회로 자리 잡았다고 평가했다. 한편, 계원예술대는 국내 유일의 예술?디자인 전문 교육기관으로 상상력과 창의성 중심의 디자인과 예술 교육을 지향하며 매년 실기대회를 실시하고 있다. 의왕=임진흥기자 jhlim@kyeonggi.com

계원예술대 2020비전선포식 미래 문화산업 이끌… 창조적 리더 양성

계원예술대학교(총장 이남식)가 창조적 예술 디자인 교육의 진앙지로 미래 문화산업을 이끌어 나갈 창조적 문화산업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수행할 중장기 발전계획과 특성화 전략 등을 발표해 주목을 끌고 있다. 계원예술대는 최근 대학의 중장기발전과 특성화 전략에 따른 KAYWON VISION 2020 CREATIVE EPICENTER KAYWON 선포식을 대학 정보관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했다. 이남식 총장과 김창범 총동문회장을 비롯해 교수, 직원, 학생, 동문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 선포식에서 교육목표인 창조적 문화산업의 리더를 양성을 실현하기 위한 창조적 예술디자인 교육과 지속적 교육 수월성 확보, 세계적 인지도 제고를 목표로 제시했다. 이에 대한 실천과제로 학생중심 정책과 경영효율화 정책, 교육여건개선 정책을 위해 행정조직의 개편장학금 확대취업률 및 학생서비스 향상대학평가지표 관리전문대학 기관평가인증 획득예산운용의 효율성 강화수입의 다변화 방안학사 및 학년제 개편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및 스튜디오 공간 구축 등을 정해 단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특성화 전략으로 창조적 예술 디자인 교육과 지속적 교육 수월성 확보 세계적 인지도 제고 등을 전략으로 정했다. 중장기 발전전략으로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를 재도약기로 정해 성장을 꾀하고,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성장 후 안정기로 설정해 학생중심 정책 강화와 경영효율화 정책 강화, 교육여건개선 정책 강화 등 분야별 실천과제에 따라 단계별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이남식 총장은 계원예술대가 창조적 예술 디자인 교육의 진앙지로 전 세계를 향한 문화의 발신지가 돼 모두가 행복해질 수 있는 세상을 꿈꾸어 나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계원예술대의 도전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비전선포식에서는 대학행정의 투명하고 합리적인 판단과 의사결정으로 사회적 책무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윤리규정 서약식도 함께 진행됐으며 대학사명과 비전, 교육목표 등이 수록된 비전액자를 부서장들에게 전달하고 학생들에게 학생 핸드북을 배포했다. 의왕=임진흥기자 jhlim@kyeonggi.com

백운지식문화밸리 민간사업자에 ‘누토백운컨소시엄’

의왕시가 백운호수 주변에 추진하는 백운지식문화밸리사업에 참여할 민간사업자로 누토백운컨소시엄이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됐다. 의왕도시공사는 12일 백운지식문화밸리 도시개발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누토백운컨소시엄과 호산유진NH컨소시엄을 대상으로 민간사업자 선정 심의위원회를 통해 심의를 진행한 결과 누토백운컨소시엄을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누토백운컨소시엄은 심의위원회로부터 사업계획, 운영계획 분야 전반에 걸쳐 골고루 높은 점수를 받아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누토백운컨소시엄의 세부 지분참여율은 누토컨소시움이 대표사로 26%, 동부증권 15%, 유니에셋 8.9%로 구성될 예정이며 이 컨소시엄은 앞으로 1조3천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백운지식문화밸리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도시공사는 오는 8월까지 우선협상 대상자인 누토백운컨소시엄과 본계약을 위한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며 협상이 완료되면 사업추진을 위한 민관 합동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해 보상업무 등을 마무리하고 부지조성 공사에 착수, 2016년까지 개발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 특수목적법인은 자본금 50억원으로 50.1%를 의왕도시공사를 포함한 공공기관이, 나머지 49.9%는 누토백운컨소시엄이 투자하게 된다. 도시공사 관계자는 건설투자자(CI)의 지급보증 등 신용보강을 통해 이뤄졌던 기존의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에서 탈피해 전략적 투자자(SI)와 재무적 투자자(FI) 중심의 PF사업으로 추진되며 백운지식문화밸리가 새로운 스타일의 변화된 PF사업의 첫 시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백운지식문화밸리사업은 의왕시 학의동 560일원 백운호수 주변 95만4천979㎡의 그린벨트 해제 지역에 중저층저밀도의 주택 3천400가구와 신세계 복합쇼핑몰, 호텔, 비즈니스센터, 병원 등 자족기능을 망라한 업무지원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의왕=임진흥기자 jhl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