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내 신청서 산업부 제출…장항·대화지구는 개발계획 보완 후 신청 예정 시, 12월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지정 의결 목표로 총력전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계속 지연되자 고양시가 송포·가좌지구부터 신청하는 승부수를 띄웠다.
7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시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사전 협의 끝에 이달 중 송포·가좌지구에 대한 경자구역 추가 지정을 먼저 신청하고 추가 보완을 거쳐 장항·대화지구를 순차적으로 신청하기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시는 산업부의 개발계획안 보완 요청에 따라 지난 3월 기존 고양JDS지구를 송포·가좌지구와 장항·대화지구로 이원화하는 변경안을 확정한 바 있다.
송포·가좌지구(9.80㎢·약 296만평)는 바이오, 정밀의료, AI로봇, 드론 등 첨단산업 유치에 초점을 맞춰 약 9조4천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고용창출과 연구개발(R&D) 실증 기능이 집중된 산업지구로 개발된다. 반면 장항·대화지구(7.79㎢·약 236만평)는 약 7조1천억원이 투입돼 K-컬처, 디지털콘텐츠, MICE 산업을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시는 지구 분할이 산업 간 연계성과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고 밝혔다. 분할을 통해 첨단·핵심 전략산업 중심으로 지구별 특화 개발이 가능해졌고 평가항목에서도 실질적인 개선 효과를 확보했으며 단계별 추진체계를 통해 경자구역 지정 가능성을 높였다는 입장이다.
표대영 경제자유구역추진과장은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이번 주 중 경기경제자유구역청과 미팅을 통해 산업부 신청 날짜를 확정할 계획”이라며 “이달 안에 반드시 신청서를 제출하고 12월 열리는 경제자유구역위원회에서 지정 의결을 받는 것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지구 분할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고양시의회 손동숙 의원(국민의힘·고양자)은 제295회 고양시의회 정례회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분산된 개발계획으로 인해 경자구역 지정심사 과정에서 지구별로 사업 타당성을 개별적으로 입증해야 하는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는 행정·재정적 비효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전체 사업의 연계성과 시너지 효과를 약화시켜 결과적으로 지정 가능성을 낮추는 역효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한편 지역 정치권에서는 송포·가좌지구 면적의 약 80%가 농업진흥지역(절대농지)인 만큼 신청 후 중앙부처 간 협의과정에서 농식품부를 설득해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가 지정 성공의 관건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