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은 후 방류? GB내 불법낚시터 봐주기 의혹

의왕시가 그린벨트 내에서 수년동안 불법영업을 해 온 낚시터에 대해 단 한번의 단속만 실시한 채 방치하다 6년이 지난 시점에서 상급기관이 또다시 불법사항을 적발하자 뒤늦게 원상복구 조치를 내려 묵인 및 봐주기 행정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4일 시와 초평동 주민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9월29일 경기도로부터 그린벨트 점검을 받았다. 점검결과, A씨가 그린벨트인 초평동 483의 1에 있는 950㎡ 규모의 농업용 비닐하우스를 실내낚시터로 불법 용도변경해 사용하고 있는 것이 적발돼 시는 도로부터 행정처분 통보를 받았다. 이에 시는 지난해 10월7일 A씨에게 행정처분에 대한 사전통지를 보냈으나 의견을 제출하지 않아 같은 해 11월3일과 12월19일 2회에 걸쳐 하우스를 철거하라는 계고장을 발송했다. 그러자 A씨는 계속 원상복구를 미뤄 오다 올 1월 들어서야 인근에 신축 중인 낚시터를 완공하는 오는 4월30일까지 현재 불법운영 중인 낚시터에 대해 원상복구하겠다는 각서를 제출했고 시는 그제서야 미이행 시 형사고발과 이행강제금을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하지만 A씨는 지난 2007년 9월20일 초평동 481의 1 일대 3천317㎡를 낚시터로 허가받아 영업하다가 담수시설에 이상이 생겨 영업을 할 수 없게 되자 현재의 농업용 비닐하우스를 실내낚시터로 불법용도변경해 영업을 해 오다 2008년 12월29일 시에 적발돼 사법당국에 고발조치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불법 용도변경한 비닐하우스 옆에서는 식당영업을 하는 하우스가 불법으로 설치돼 낚시터를 찾는 사람들에게 음식까지 조리해 팔아 왔다. 결국 시는 지난 2008년에 A씨의 불법사항을 적발하고도 6년동안 조치를 미뤄오다 상급기관이 불법사항을 또다시 적발하자 뒤늦게 조치에 나선 것이다. 인근 주민 B씨는 농업용 하우스만 지을 수 있는 곳에서 수년 동안 농업용 하우스가 버젓이 낚시터로 불법 용도변경됐는데도 단속이 안돼 불법영업이 계속되고 있다며 더구나 단속하고도 조치를 미뤘다면 이는 특혜나 묵인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불법 용도변경이 사실로 드러나 4월 말까지 원상복구지시를 내렸고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형사고발하고 이행강제금을 부과할 예정이다며 업체 봐주기는 아니다고 밝혔다. 의왕=임진흥기자

교육지원사업 확대… 소통·공감 조합 ‘도약’

32년 농협 경력을 조합원과 소통하며 협동조합 정신으로 의왕농협을 한단계 더 발전시켜 나가겠습니다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 선거에서 조합장으로 당선된 김호영 조합장(64)은 협동조합의 정신으로 조합원들과 소통하는 조합장이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 조합장은 총 유권자 1천514명중 1천193명이 참여한 투표에서 65.8%인 785표를 얻어 당선됐다. 김 조합장은 당선인사에서 이번 선거에 내걸었던 공약은 충실히 이행하고 조합원 한분한분 의견을 존중하며 조합원에게 실익이 되는 사업을 적극 전개하겠다며 특히, 교육지원사업을 확대해 조합원이 만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조합장이 되겠다고 말했다. 김 조합장은 조합원과 소통하는 열린 경영을 이념으로 본점 신축 완공으로 편리한 시설과 쾌적한 환경 조성을 최우선의 방향으로 삼고 조합원 교육지원 사업 확대를 포함한 대의원 분과 위원회 부활, 친환경 농산물 재배로 조합원 소득 증대, 거동불편 원로 조합원 도우미제 실시 등 지역과 함께 이웃과 함께하는 의왕농협 건설 목표를 제시했다. 그는 조합의 수익증대를 위해 보험과 카드 등 수수료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조합원의 100세건강을 위해 시티병원 등 관내 전문병원과 의료협약을 체결할 것이라며 조합원의 여가생활을 위한 조합원 사랑방을 운영하고 서예ㆍ그림ㆍ육아ㆍ예절 등 취미교실을 운영해 여성조합원을 위한 복지향상에도 힘쓰겠다고 비전을 제시했다. 또한, 조합원 한 사람, 한 사람의 의견을 존중해 조합원이 주인이 되는 농협, 공감하는 농협을 만들어 농업과 농촌 및 도시의 변화를 내다보고 조합원을 위한 농협의 역할을 제시하며 큰 발전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