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훈풍 속 ‘우방 아이유쉘’ 나홀로 미분양

김포도시철도 착공과 서울의 전세물량 유입으로 분양 호조를 보이고 있는 김포지역에서 지난 7일 분양에 나선 우방 아이유쉘이 대량 미분양 사태를 빚었다. 11일 김포시와 업계에 따르면 우방 아이유쉘은 김포시 고촌읍 신곡리에 지난 2007년 분양했다 2010년 부도로 공사가 중단된 청구 지벤을 삼라마이더스(SM)그룹이 넘겨받아 4년여 만에 공사를 재개해 347세대를 지난 2일 모델하우스를 오픈한 뒤, 7일 특별분양에 이어 8일 1, 2순위, 9일 3순위를 끝으로 청약을 마감했다. 하지만 청약마감 결과, 우방 아이유쉘은 단 한 개 모델을 제외한 나머지 모델 전체에서 미분양을 기록, 순위내 미분양이라는 과거 한강신도시 분양 오명이 되살아났다. 우방은 김포도시철도 고촌역 역세권에다 서울과 최근접 지역이라는 입지 장점에도 불구, 상대적 세대수 빈약과 다소 큰 평형대라는 벽을 극복하지 못했다. 다만, 28세대를 모집하는 84㎡ B타입에서만 1순위 6가구와 3순위 48가구 등 총 54가구가 응모해 2.6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우방이 가장 많은 세대를 분양한 128㎡(140세대) 모델은 1, 2순위에서는 한 명도 응모하지 않았다가 3순위에서 31명이 청약해 0.22대 1의 저조한 경쟁률을 보였다. 111세대를 모집한 149㎡에서도 3순위에서 겨우 26명이 청약, 0.23대 1로 미달이 속출했다. 그나마 체면을 살려준 84㎡ B타입과 같은 평형대인 84㎡ A타입 조차도 68세대 모집에 1순위 11가구, 3순위 44가구 등 55가구 청약에 그쳐 13세대가 후순위로 밀려났다. 업계에서는 단지의 위치는 좋지만 세대수가 적고 적은 평형대를 선호하는 요즘 추세에 맞지 않은 것이 미분양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난 9일 모델하우스를 오픈한 한강신도시 인근의 GS건설의 한강센트레빌은 3천481세대를 내놓았고 최근 대형 평수 일부를 제외하곤 분양을 마감한 대우동부의 풍무동 푸르지오센트레빌은 2천712세대다. 김포의 한 부동산업소 대표는 요즘은 실소유자들이 대부분이어서 대단지에 중소형 아파트를 선호하는 추세라며 우방은 다소 큰 평형대에 빈약한 세대수가 약점이라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kyeonggi.com

김포시, 말라리아모기 퇴치 위해 본격적인 방제작업 나서

김포시는 8일 말라리아모기 퇴치를 위해 본격적인 방제작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시는 매년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이다. 말라리아 환자 수가 지난 2012년 48명에서 지난해 16명으로 크게 빈도가 낮아져 감소추세에 있으나 올해 집중적인 유충방제에 나서 제로(zero)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말라리아모기는 주로 5~6월에 유충이 발생, 9월까지 극성을 부린다. 이에 따라 시보건소는 말라리아 퇴치사업단을 구성, 물웅덩이나 미나리밭, 풀숲 등 취약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방제작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 말라리아 발생 감시를 위한 발열신고센터를 운영해 감기증상과 유사한 발열환자 발생시 신속한 조기진단과 환자관리로 확산 방지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군부대와 민간인에게 방역장비 및 약품 등을 지원하고, 말라리아 예방교육과 홍보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예정이다. 임상희 시 보건행정과장은 모기가 활동하는 야간에는 외출을 가능한 삼가는 것이 좋으며, 외출을 할 때에는 긴 소매 상의와 긴바지를 착용하거나 모기 기피제를 사용해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