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고장 여주서 ‘훈민정음 애민정신’ 되새긴다

경기도여주市문화원여주대학 공동 568돌 한글날 경축행사 5만여명 참여 용인군포 등 도내 곳곳 뜻깊은 행사 훈민정음 반포 568돌 한글날을 맞아 9일 여주 세종대왕릉에서 다채로운 문화체험행사를 포함한 한글날 경축행사가 성황리에 개최됐다. 경기도와 여주시, 여주문화원, 여주대학이 공동 주최한 이날 자리에는 5만여 명에 가까운 관람객이 몰려 세종대왕의 한글창제 정신을 기리고 휴일 나들이를 즐겼다. 이날 오전 10시30분부터 진행된 공식 기념식에는 남경필 도지사와 원경희 시장을 비롯해 천동현 도의회 부의장 및 원욱희김규창 도의원, 이환설 여주시의장, 김명란 여주교육장과 정태경 여주대 총장 등 각계 기관단체장, 관람객 등 1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영릉 정자각에서 열렸다. 기념식은 경기도립예술단의 궁중정재공연을 시작으로 경기도지사의 헌화 및 분향, 훈민정음 서문 봉독 등으로 진행됐다. 남경필 도지사는 기념사를 통해 세종대왕께서 뿌린 한글의 씨앗을 잘 키워 세계 속의 한글, 세계 속의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는 것은 우리가 모두 함께 해야 할 일이라며 세종대왕의 얼을 이어받아 미래를 향해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원경희 시장은 지난해부터 한글날이 법정공휴일로 재지정 되어 전 국민이 한글창제의 정신을 이어가고 있다며 세종 큰 임금을 모신 도시인 여주시가 세종의 정신을 이어받아 대한민국 최고의 명품도시로 발전해 가도록 노력해 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8일 용인 단국대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영화와 나를 주제로 중국, 일본 등지에서 유학 온 외국인 학생 3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 백일장 대회를 열었다. 이날 외국인 학생들은 영화 포스터 조각 맞추기, 영화사랑 핑거 페인팅 등 다채로운 이벤트에 참여해 한글 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표현했다. 이어 같은 날 군포시는 중국, 필리핀, 베트남 출신 12명의 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대회를 열고 유창한 한국어 실력으로 타국에서 시집와 겪은 우여곡절을 발표했다. 여주군포용인=류진동김성훈권혁준기자

한글날 여주 세종대왕릉 다체로운 행사에 5만여명 몰려

훈민정음 반포 568돌 한글날을 맞아 9일 여주 세종대왕릉에서 다채로운 문화체험행사를 포함한 한글날 경축행사가 성황리에 개최됐다. 경기도와 여주시, 여주문화원, 여주대학이 공동 주최한 이날 5만명 가까운 관람객들이 몰려 세종대왕의 한글창제 정신을 기리고 휴일 나들이를 즐겼다. 이날 오전 10시30분부터 진행된 공식 기념식에는 남경필 도지사와 원경희 시장을 비롯해 천동현 도의회 부의장 및 원욱희ㆍ김규창 도의원, 이환설 여주시의장, 김명란 여주교육장과 정태경 여주대총장 등 각계 기관단체장, 관람객 등 1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영릉 정자각에서 열렸다. 기념식은 경기도립예술단의 궁중정재공연을 시작으로 경기도지사의 헌화 및 분향, 훈민정음 서문 봉독 등으로 진행됐다. 기념식에서 남경필 도지사는 기념사를 통해 세종대왕께서 뿌린 한글의 씨앗을 잘 키워 세계속의 한글을 만들고 세계속의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는 것은 우리 모두가 함께 해야 할 일이라며 세종대왕의 얼을 이어받아 미래를 향해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원경희 시장은 지난해부터 한글날이 법정공휴일로 재지정 되어 전국민이 한글창제의 정신을 이어가고 있다며 세종 큰 임금을 모신 도시인 여주시가 세종의 정신을 이어받아 대한민국 최고의 명품도시로 발전해 가도록 노력해 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념식이 진행된 정자각 일원 뿐 아니라 세종대왕릉 앞 광장에는 한글날 기념 공개방송과 뮤지컬 세종대왕이 뿔났다 공연, 지역예술단체 공연 등이 이어져 한글날 축하 분위기를 돋웠다. 또한 광장 주변에서는 한글 탁본 체험, 측우기 모형 만들기, 한글 연 만들기, 한글 문자 보내기, 한글 가훈 써주기 등 다양한 체험행사와 명사초청 강의 등이 오후 늦게까지 진행됐다. 여주=류진동기자

여주시민 1천명 “신경기변전소 반대”

여주시민과 각계 단체 회원 등 주민 1천여명이 7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동 한전 본사 앞에서 상경집회를 열고 신경기변전소 건립 반대시위를 벌였다. 이날 여주 금사면과 산북면 주민 등은 20여 대의 버스를 나눠타고 오후 2시께 한전 앞에 도착, 격앙된 목소리로 한국전력공사의 신경기변전소 및 765㎸ 초고압 송전선로 설치사업을 백지화하라고 외쳤다. 한전 본사 앞 집회는 지난달 2일에 이어 두번째로, 이환설 여주시의장과 김영자 부의장을 비롯한 시의원, 이통장협의회 회원, 여성단체협의회 회원, 여주포럼회원 등 여주지역 단체들까지 가세해 신경기변전소에 대한 반발이 여주 전 지역으로 확산했음을 증명했다. 주민들은 한전이 순진한 주민들을 돈과 상품으로 현혹시키려 하고 있다며 주민들은 목숨이 달린 일인데, 이를 우습게 생각하고 불순분자들로 몰아간 정부와 한전은 당장 각성하고 사과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분위기가 고조되자 집회를 주관한 여주 산북면금사면 신 경기변전소 백지화 투쟁위원회 이흥민 공동대표가 결사투쟁을 다짐하며 혈서 서명을 진행했다. 시민들은 안타까움에 눈물을 흘리기도 했으며, 그동안 정부의 765㎸ 송전탑 사업 추진 과정에서 희생된 이들에 대한 원혼 위령제도 진행됐다. 한편 투쟁위는 이날 집회에 앞서 지난 한 달 동안 여주시민 1만2천여명으로부터 직접 받은 반대 서명서를 한전 측에 전달했다. 이 서명 인원은 11만이 조금 못 되는 여주시 총인구의 약 10%가 넘는 숫자다. 여주=류진동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