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립해솔어린이집, 원아 60%만 선발… 반쪽 개원?

고양시 덕양구에 다음달 1일 개원 예정인 고양시립해솔어린이집이 모집 정원의 60%에 해당하는 인원만 뽑는다는 공고를 내 논란이 일고 있다. 20일 고양시에 따르면 고양시립해솔어린이집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삼송 14단지를 개발하면서 단지 내 시설로 지어 고양시로 양도한 시설이다. 이 어린이집은 시가 20년간 무상사용하고, 삼송 14단지 내 0세부터 5세까지 아이들이 이용하게 된다. 시는 공모를 통해 이곳을 운영할 원장을 선발했고, 원장 주관 하에 다음달 1일 개관을 준비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 6일 어린이집 원아 모집 안내 공고문이 단지 내에 붙으면서 논란이 일기 시작했다. 어린이집 측이 모집 정원 83명 가운데 4세와 5세는 한 명도 선발하지 않는 등 48명만을 선발한다고 공고했기 때문이다. 시는 이곳 단지 입주가 100% 되지 않았고, 교사 수급 등과 맞물려 일부만 선발하게 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나이대를 고려하지 않고 정원을 채우면 내년 신학기 때 일부 아이들이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한다는 불편도 감안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주민들은 좋은 시설을 갖춰놓고도 정원을 채우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주민 임모씨는 신혼부부 특별공급 세대도 있는 단지인데 신혼부부들은 어찌하라는 것이냐며 정원을 늘리지는 못할망정 있는 정원도 안 채우는 이유가 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은 다른 단지 어린이집은 정원 100% 모집하는데 왜 이곳만 이러는지 모르겠다고 하소연 했다. 이에 대해 고양시의 한 관계자는 현재 100% 입주가 되지 않았고, 교사 수급 등과 맞물려 일부만 선발하게 됐다며 신학기가 시작되는 내년 3월에는 모집 정원을 모두 뽑게 된다고 말했다. 고양=김현수기자

고양시, 경의선 강매역 ‘혈세먹는 애물단지’ 우려

오는 25일 개통되는 경의선 강매역이 고양시의 애물단지로 전락할 우려를 낳고 있다. 19일 시에 따르면 강매역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건축비 166억원을 전액 부담해 지상 2층, 연면적 2천758㎡ 규모로 건설했다. 그러나 지난 2009년 6월 수도권 복선화 전철사업과 관련, 강매역은 행신역과 불과 1㎞ 밖에 떨어지지 않아 패쇄됐다. 이후 주민들은 꾸준히 강매역 재개통을 요구했지만 운영주체인 한국철도공사는 운영 손실을 이유로 거부한 가운데 고양시가 손실을 보전하는 조건으로 강매역 재개통 공사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매년 강매역 운영 손실을 시가 떠 안아야 하며 고양지역 내 철도역 가운데 시에서 운영 손실을 부담하는 곳은 강매역이 유일하다. 1일 평균 열차 140회가 운영될 강매역은 근무 인원 6명의 인건비와 각종 비용을 합쳐 연간 3억6천여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8량으로 이뤄진 경의선 특성상 한 량에 한 명씩 탑승하는 것으로 1회 평균 8명(1일 1천120명) 가량이 강매역을 이용하면 운영비가 충당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강매역은 행신역과 1㎞, 화전과 2.5㎞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1회당 8명 이용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시 안팎에서는강매역 이용 캠페인을 벌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시에서 시민들에게 집에서 가까운 역 대신강매역을 이용해 달라고호소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1년 단위로 정산해 운영비에서 수입을 뺀 금액을 보존해 주게 된다며 인근 역과 가까운 면도 있지만 오는 12월 경의선이 용산역까지 연결되면 1회당 8명 이상은 이용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고양=김현수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