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 하수처리장 ‘슬러지 탈수기’ 애물단지 전락

군포시 하수종말처리장에 설치된 하수슬러지 해양배출 대체설비(일명 슬러지 탈수기)가 2년 가까이 정상 가동이 되지 않으면서 예산낭비라는 지적을 사고 있다. 특히 수의 계약 당시 담당공무원은 계약조건의 기본사항인 보증증권이나 보증서도 제출받지 않은 채 업체에서 제출한 시험성적서만을 첨부한 후 준공 처리해 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21일 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시는 내년부터 실시되는 쓰레기 해양투기 금지를 맞아 지난해 1월 하수슬러지 처리 대책으로 매립, 건조 등 육상 처리방안 중 슬러지를 지렁이 사육농가에 보급하는 방안을 채택한 뒤 특허업체인 N사와 수의계약을 맺었다. 사업예산은 총 12억1천500만원으로 하수종말처리장에 무약품 잉여 슬러지 탈수기 8대를 설치했다. 그러나 N사가 설치한 슬러지탈수기 납품이 완료된 직후부터 1년6개월간 침전물이 기계에 끼어 정지하는 고장을 일으키는가 하면, 계약조건인 슬러지 회수율의 절반수준에도 못 미치면서 제대로 가동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군포시의회 A 의원은 기존의 슬러지 처리시설 보다 전기요금이 4~5배가량 더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신규 하수슬러지 탈수기가 가동되면 될수록 예산은 더 많이 낭비돼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당시 하수과 담당공무원은 수의계약을 진행하면서 시운전 조건부 계약추가 특수조건 제6조(시운전 성능이행 보증)에 따른 보증증권이나 보증서(계약금액의 15% 범위 내에 해당하는 금액)도 받지 않은 채 시험운전을 실시했다. 또한 시험운전 시 운행일지 등을 기록하지도 않은 채 계약업체인 N사가 제출한 시험성적서를 첨부한 후 준공 처리해 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 하수슬러지 해양배출 대체 설비의 정상가동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설치업체에 대해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라며 해당 공무원들에 대해선 감사를 마무리 한 후 징계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밝혔다. 군포=김성훈기자 magsai@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