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도 넘는 쇳물과 반평생… “전통문화 계승은 숙명이죠”

매년 설이나 추석이 되면 온 가족이 둘러앉아 짚으로 놋그릇을 반짝이게 닦던 추억이 있을 겁니다. 뜨끈한 아랫목에서 어머니 사랑이 듬뿍 담긴 주발의 밥을 꺼내 먹으면 산해진미도 부럽지 않았죠. 가족애의 정취가 물씬 풍겼던 정겨운 옛 풍경이 스테인리스의 등장과 함께 사라지고 있는 가운데 끊어진 우리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장인이 있다. 광명시 옥길동에서 공방을 운영 중인 광명유기의 주상순 대표(58)가 바로 그다. 지난 13일 찾은 그의 공방에는 영하의 날씨에도 석 대의 대형 선풍기가 쉼 없이 찬바람을 뿜어내고 있었다. 한겨울에도 대형선풍기를 틀어놓고 일해야 하는 찜통, 여름에는 온종일 물을 들이켜도 땀으로 모두 날아가 버리는 한증막 같은 곳이 주 대표의 공방이다. 지난 1983년 처음 유기 일을 접한 뒤 반평생 넘게 유기제작에만 전념해온 그는 섭씨 1천도가 넘는 쇳물을 다루는 힘들고 고단하지만 이 일을 숙명이라 여긴다. 시작은 쉽지 않았다. 가족들의 반대도 반대였지만 연탄이 주 난방재로 사용되던 당시, 가스 접촉 시 시커멓게 변색되는 유기제품의 특성은 치명적이었다. 그래서 과정도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주 대표는 유기를 놓지 않았다. 식기 수요가 없으면 공예품으로 놋대야나 촛대, 꽹과리 등 다양한 제품을 만들었고 그 명맥을 이어왔다. 감각도 강점이지만 주 대표 특유의 성실함과 인내는 유기의 그것과도 닮아있었다. 그러면서 기회가 왔다. 삶의 질이 향상되고 음식에 대한 개개인의 의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식기 시장에도 웰빙 바람이 분 것이다. 유기제품은 보온은 물론 보냉효과가 뛰어나다. 무엇보다 식중독균 등 유해세균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08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실시한 실험에서도 유기제품에서 99%의 비브리오균 제거 효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또 유해한 성분이 포함된 음식이 유기에 담겼을 경우 순간적으로 색이 변화는 성질을 지니고 있어 검증기능도 갖추고 있다. 이 같은 유기제품의 이 같은 특성이 알려지면서 점차 그 수요도 늘고 있다. 올해 광명유기가 만든 반상기세트가 홈쇼핑에 넷 차례 방송되면서 2천여 세트가 모두 소진된 것이다. 그야말로 화려한 부활인 셈. 주 대표는 여세를 몰아 식기에 취중된 유기제품의 용도와 모양을 다각화하는 작업에 새롭게 몰두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전국에 판매망을 갖춘 인테리어 업체인 흙과 사람들과 업무제휴를 통해 판로확대에도 나섰다. 주상순 대표는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잠재적 수요가 많은 만큼 제품 개발과 함께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우리나라의 전통문화 계승은 물론 식탁문화를 선도해가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광명시, 중국 심장병 어린이들 무료시술로 ‘새생명’

광명시의 도움으로 국내에서 심장병 수술을 받은 중국 어린이 3명이 성공적인 수술을 마치고 건강한 모습으로 고국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됐다. 광명시는 부천세종병원과 손잡고 자매결연 도시인 중국 산둥성 요성시의 선천성 심장병어린이들을 초청, 무료로 수술을 지원해 지난 2009년부터 총 27명의 어린이가 새 생명을 선물 받았다. 올해 초청된 1~4세 영유아 3명과 보호자들은 입국 후 심장병 수술을 받았으며, 오는 10일 중국으로 귀국할 예정이다. 장팡메이씨(26여)는 태어난 지 5개월도 안 된 딸의 상태가 위급, 걱정이 많았는데 광명시와 세종병원의 도움으로 시기를 놓치지 않고 수술을 할 수 있게 되어 기쁘고 감사 드린다며 눈물을 흘렸다. 양기대 시장은 자매도시 요성시와는 청소년문화 교류, 상호공무원 파견근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교류가 이뤄지고 있으며 특히 심장병 어린이 수술 지원 사업과 같은 원조 활동을 통해 대외협력을 강화하고 광명시의 국제적인 위상을 높이는 데에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광명시는 지난 2009년 세종병원과 업무협약을 맺은 이래로 해마다 요성시 심장병어린이의 수술을 위한 초청과 국내 체류비를 전액 지원하고 있다. 광명=김병화기자 bhkim@kyeonggi.com

광명시, 동티모르에 평생학습 노하우 전파

광명시가 아프리카의 부르키나파소에 이어 동남아시아의 신생 독립국인 동티모르에 평생학습을 지원, 관심을 모으고 있다. 5일 광명시 평생학습원에 따르면 학습원은 지난달 16일부터 25일까지 10일간의 일정으로 동티모르를 방문, 마을 지도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워크숍과 학습 동아리에 대한 컨설팅 등을 실시했다. 동티모르 라우땜 주 로스팔로스 시에 있는 코면리조트에서 개최된 이번 워크숍과 컨설팅에는 동티모르 정부 관계자와 마을 지도자 등 23명이 참석했다. 광명시의 동티모르에 대한 평생학습 지원은 지난해 동티모르 라우땜 주지사의 요청에 의한 것으로, 시는 지난 3월부터 지도자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왔으며 이번에는 그동안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수강생들의 역량 결집을 위해 광명시 평생학습 관계자들이 직접 워크숍을 진행했다. 워크숍은 마을 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주민의견을 모으는 방법, 학습 동아리를 육성하는 방법 등의 내용으로 이뤄졌다. 양기대 시장은 국제 공적개발원조 사업은 중ㆍ장기적으로 이뤄져야 효과가 나타나는 만큼 성과에 조급하게 매달리지 말고 현지에서 필요한 프로그램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펼쳐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광명=김병화 기자bhk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