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자전거 구급대’가 떴다 전국 국토종주 자전거길 ‘안전 파수꾼’

자전거길을 이용하는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 119자전거 구급대가 활동을 시작했다. 행정안전부와 소방방재청,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16일 오전 남양주시 능내역 광장에서 맹형규 행정안전부장관, 김성렬 행정1부지사, 이기환 소방방재청장, 조양민 도의회 행정자치위원장, 자전거 구급대원 및 자전거 동호회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119자전거 구급대 발대식을 가졌다. 영국미국 등 해외에서 교통이 혼잡한 도심지역에 자전거를 이용해 구급대를 운영하는 사례가 있었으나 자전거길 안전을 전담하는 자전거 구급대는 우리나라의 119자전거 구급대가 처음이다. 자전거 구급대는 구급배낭을 갖추고 차량 진입이 곤란한 지역에 신속히 사고 현장에 접근해 응급처치와 환자 이송을 담당하게 되며, 이용객이 많은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안전순찰 등 예방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자전거길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구급대원이 119구급차에서 내려 들것을 들고 걸어서 부상자가 있는 지점까지 이동해야 했기 때문에 응급처치가 효율적으로 이뤄지기 어려웠다. 119자전거 구급대는 전국 국토종주 자전거길(1천757km) 주변 주요지점 70곳에 배치된 가운데, 경기도 구간(팔당충주댐136km)에는 관할 소방서 19개서 30개대로 각 대별 2대의 전용자전거와 응급의료장비 및 2명의 구급대원이 배치됐다. 최근 자전거 레저인구의 증가에 따라 자전거 관련 각종 사고는 지난 2010년 2천337건에서 지난해 2천552건으로 9.2% 증가했다. 올해에는 상반기에만 1천470건이 발생해 48.9%나 늘어났다. 김재민기자 jmkim@kyeonggi.com

남양주시, 내년부터 음식쓰레기 종량제 전면 실시

내년 초부터 남양주시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전면 시행된다. 남양주시는 내년 1월부터 공동주택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실시키로 하고 오는 10월부터 지역 내 공동주택 1만세대를 대상으로 종량제 시범운영을 실시키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시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는 공동주택에서 납부필증을 구입해 음식물쓰레기 수거용기에 배출하는 방식으로 대행업체는 납부필증이 부착된 용기만 수거해 가는 방식이다. 종량제 납부필증은 도용 방지를 위해 고유의 바코드가 활용되며 시민들은 기존배출방법과 동일하게 음식물 수거용기에 배출하면 된다. 시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전면시행에 앞서 지역 내 1만 가구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10월부터 3개월간 시범 운영에 들어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할 방침이다. 또 8월부터 9월까지 2개월간 관련조례를 개정하고 시범사업 대상지를 선정하는 한편 홍보물을 제작해 대대적인 홍보에 나설 예정이다. 한편 지금까지 공동주택과 수거업체간 정액 계약을 통해 수거하던 방식에서 납부필증을 구입해 배출하는 방식으로 변경돼는 것은 단지별 종량제의 의미를 담고 있다. 남양주=유창재기자 cjyoo@kyeonggi.com

‘남양주시의회 파행’ 규탄 촛불 타오른다

남양주시의회의 장기 파행 사태를 놓고 이를 규탄하는 시민사회단체의 집회가 펼쳐질 예정이다. 남양주시 의정감시단(단장 유병호)은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해 오는 10일 저녁 7시30분 시의회 청사 앞에서 시의회 파행 규탄 시민 촛불문화제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이를 위해 의정감시단은 시민사회단체는 물론 일반 시민들을 상대로 집회 참여를 공개적으로 요청하고 나섰다. 의정감시단은 이번 집회와 관련 거듭된 정상화 촉구에도 불구하고 시의회 자체가 파행에 대한 수습의지가 없는데다, 행정사무감사 포기 등 직무유기에도 의정비를 전액 수령하는 도덕적 해이가 극에 달했다면서 의원 간 밥그릇 싸움 등에 매몰돼 시민은 안중에도 없는 시의회를 시민들이 직접 나서 바로 세우겠다고 촛불문화제 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의정감시단은 만약 시민들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의회가 조속히 정상화되지 않는다면 지난 1차 정례회 불출석 등 시의회 파행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시의원의 직무유기 및 직권남용 의혹에 대한 검찰고발, 세비 반납소송, 주민소환 청구 등 시민의 이름으로 법적, 정치적 책임을 직접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의정감시단은 시의회의 조속하고 조건 없는 정상화, 의장단 선출 방식 개선, 시의원 임기 중 비리방지 대책 강구, 의회 파행 대시민 사과 및 재발방지 약속 등을 강력히 요구한 뒤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지속적인 규탄 시위를 벌여나간다는 방침이다. 남양주=유창재기자 cjyoo@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