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남양주 사립고 시험취소 ‘총선후보 딸 개입설’ 일파만파

남양주의 한 사립 고등학교가 사설 모의고사를 치르는 과정에서 시험 대금을 학교 회계에 편입하지 않고 반별로 걷어 시행하려다 경기도교육청의 지적으로 취소하는 사태가 빚어졌다. 이런 가운데 일부 학부모 사이에서 ‘총선에 나선 최민희 후보의 자녀가 시험을 취소시켰다’는 취지의 대화 내용이 퍼져 최 후보 측이 경찰에 수사를 요청하는 등 정치적 논쟁으로 비화할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7일 도교육청과 남양주 A고,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후보 측에 따르면 A고교는 최근 새 학기 시작과 1ㆍ2학년 학생들의 학력수준 확인을 위해 사설 모의고사 응시 계획을 수립했다. 타 시ㆍ도 교육청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선 1년에 4회 전국 단위 학력평가를 시행하는데 반해 도 교육청이 2회로 제한하자, 학교 측은 학교운영위원회 심의와 가정통신문 배부, 홈페이지 게시 등의 과정을 거쳐 지난 6일자로 모의고사를 계획했다.그러나 학교 측은 모의고사 대금 수납 과정에서 CMS(스쿨뱅킹ㆍ전자결제)로 하지 않고 학생들에게 대금을 걷어 행정실로 직접 납부하게 하는 등 지침을 위반, 도교육청으로부터 지적을 받았다. 이에 학교는 뒤늦게 시험을 취소하고 납부한 모의고사 대금(1만1천 원)을 모두 환불조치 한다고 각 가정에 통보했다.이 같은 사실은 시험에 불만을 품은 한 학부모가 국민신문고에 민원을 제기, 도교육청 장학사와 회계 관련 주무관이 학교를 방문, 확인하면서 불거졌다.A고교 관계자는 “스쿨뱅킹 통해 정식으로 회계처리 해야 하는데, 모의고사 명목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단일학교 입장에서 외부로 노출될 것을 우려해 잠시 행정실에서 받고 시험 당일 업체에 송금하려 했다”며 “도교육청 지적으로 시험을 강행하기는 어렵다는 판단에 시험을 취소하게 됐다”고 밝혔다.이런 가운데 일부 학부모 사이에서 “최민희 후보 딸이 청와대 신문고에 글을 올려 하루 전 취소시켰다”, “학교 측에서 위약금을 물게 됐고 환불조치 하는 등 손실이 크다”는 등 소셜네트워크 상 대화가 오갔고 최 의원 측은 즉각 반발했다.최 의원 측은 “뜬 소문에 아무 죄 없는 딸이 힘들어하고 있다”며 “아직 상대후보에 대한 정황이 나타나진 않았지만, 그 부분까지 염려하고 있으며 이는 명백한 허위사실인 만큼 경찰서 사이버 수사대에 수사를 요청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남양주=하지은기자

남양주 사전투표소, 대다수 2~4층으로 선정돼 노약자·장애인 배려 부족

남양주시가 선거 당일 투표가 어려운 선거인의 투표를 돕기 위해 오는 8~9일 양일간 사전 투표를 실시하는 가운데 대다수 지역의 사전투표소가 2~4층으로 선정된 것으로 드러나 노약자, 장애인 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5일 남양주 시와 선관위에 따르면 시는 오는 8일, 9일 양일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내 16개 지역에서 사전투표를 실시한다. 그러나 사전 투표소로 지정된 16곳 가운데 와부읍, 수동면, 조안면 등 3개 지역을 제외한 13개 지역의 사전투표소가 2~4층에 위치해 있어 노인과 장애인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퇴계원면과 별내동은 4층, 진접ㆍ화도ㆍ평내ㆍ호평ㆍ지금동은 3층, 진건ㆍ오남ㆍ별내면ㆍ금곡ㆍ양정ㆍ도농 지역은 2층에 배치돼 있다. 투표소는 읍면동에서 장소를 선정해 제출하면 시 선거관리위원회가 최종적으로 검토해 결정한다. 상황이 이렇자 시민들은 매번 반복되는 선거때 마다 노약자와 장애인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게 아니냐는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시민 K씨(38)는 “선거때마다 제기되고 있는 문제가 전혀 시정되지 않고 있다”라며 “노약자, 장애인들이 4층까지 어떻게 올라가느냐. 대책이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하지만 이같이 제기되는 비판에도 이들을 위한 투표소 변경 등은 불가능할 전망이다. 우선 사전투표 자체가 전산행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각 읍면동에서 실시돼야 하고, 투표장소로 이용되는 공공기관 회의실이 대부분 2층 이상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선거 당일은 주 투표장소인 학교 등의 휴무로 선정이 가능하지만, 사전투표일엔 평일이 포함돼 장소선정이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선거때마다 제기되는 문제이기는 하지만 여러 문제가 있어 장소 선정이 쉽지 않은 실정”이라며 “당장 이번 투표에는 불가능하지만 앞으로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 선관위 관계자는 “관내 장애인 단체와 별도의 소통은 하지 않았지만 엘리베이터가 상당수 설치돼 있다”면서 “투표가 협소한 지역에 한해서는 1층에서도 투표를 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남양주=하지은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