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산먼지 수도권 사업장 10곳 중 6곳 위반

수도권 일대 날림(비산)먼지 발생사업장 10곳 중 6곳 정도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 당국이 날림먼지 발생 현장을 잡고자 드론을 띄워 주목을 받았다. 4일 한강유역환경청(이하 한강청)에 따르면 환경청은 최근 3개월 동안 인천시와 남양주ㆍ성남ㆍ용인시 등 수도권 일대 건설폐기물 처리업체, 대형 공사장 등 74곳에 대해 차량 바퀴 세척, 물 뿌리기, 수송시설 덮개함 설치, 방진막 설치 여부 등을 중점 점검했다. 이번 점검에는 풀HD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드론 5대가 투입됐다. 단속 직원이 공사 현장에 들어가 단속할 경우, 해당 업체가 재빨리 손을 보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 그 결과, 대형공사장 38곳 중 63%인 24곳이 토사와 날림먼지 억제시설을 갖추지 않았고 건설폐기물 처리업체 4곳은 날림먼지 방진덮개를 설치하지 않고 야적해 토사 날림 등 먼지를 발생시켰다. 건설폐기물처리업체 36곳 중 절반인 18곳은 날림먼지를 무단으로 배출하는 등 규정을 위반했다. 전체적으로 74곳에서 42곳(57%)이 50건의 규정을 위반하다 적발됐다. 남양주시 고속도로 건설현장은 토사를 공공수역에 흘려보내 수질 오염과 하천 생태계에 악영향을 줬다. 특히, 대우건설과 포스코건설, 라온산업개발 등 3곳은 공사장 출입차량 바퀴에 묻은 토사를 제거하는 세륜시설을 가동하지 않고 공사차량을 출입시켜 날림먼지를 발생시켰다. 한강청은 적발된 42곳을 관할청에 해당시설 개선명령과 이행조치명령 등 행정처분을 의뢰했다. 또, 12건은 수사의뢰(고발)했다. 한편, 한강청은 앞으로 드론을 날림먼지 단속뿐 아니라 녹조 감시와 하천 무단 방류 현장 감시 등 다용도로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하남=강영호기자

한강청 팔당호 생태교란어종 대대적 포획나서

환경 당국이 팔당호에 급증하는 외래어종인 큰입배스(민물농어)와 블루길(파랑볼우럭)에 대해 대대적인 포획작전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팔당호에는 배스와 블루길이 전체 어류의 90%를 차지할 정도로 생태계 다양성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2일 한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한강청은 팔당호에 급증하는 큰입배스와 블루길을 포획하는 ‘생태계교란 어류 퇴치사업’을 오는 7월 말까지 지역 어민과 함께 추진한다. 이 퇴치사업에는 1억3천만 원의 예산과 팔당호 인근에 거주하는 어민 5명이 투입된다. 포획작업은 교란 어류의 산란시기인 7월까지 자망과 정치망, 후릿그물 등 어망은 물론이고 인공산란장 설치와 낚시 등이 사용된다. 포획목표는 지난해 대비 1.5배 증가한 70만 마리다. 포획한 어류는 겨울철 먹이가 부족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참수리와 흰꼬리수리, 일반 야생동물의 먹이로 공급된다. 또, 광주시 농업기술센터에 액상 비료의 원료로도 지원된다. 생태교란 어류 2급 종인 큰입배스와 블루길은 번식력이 강하고 닥치는 대로 무엇이든 먹어치워 토종어류를 급격한 감소를 유발하고 있다. 국립생태원 조사 결과, 팔당호 내의 생태계교란 어류 점유율은 지난 2013년도 45.3%에서 지난해 88.9%로 2배로 증가했다. 하남=강영호기자

하남 지하철 5호선 일부 구간 인도 폭 너무 좁다… 주장 제기

하남시 지하철 5호선 4공구 신장초교 사거리~진모루 현대아파트 앞 구간의 인도 폭이 너무 좁게 설계돼 완공 후 주민 통행권 확보가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1일 하남시의회 오수봉 의원에 따르면 최근 이 구간 공사현장을 방문해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보행자 통행 불편 여부 등을 확인했다.오 의원은 현장 확인 결과, “일부 지점의 경우 인도 폭이 90㎝밖에 안돼 통행에 막대한 지장이 초래된다”며 “지하철 엘리베이터 설치 위치를 잘못 잡아 이 같은 문제가 발생했고 이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도 도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지하철 엘리베이터가 이대로 시공되면 기존 차도로 1m가량 돌출돼 대형차량 우회전 시 2차선을 넘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며 “더 늦기 전에 설계변경을 통해 엘리베이터 설치 위치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오 의원은 “지하철은 우리 세대뿐 아니라 다음 세대까지 수십년 간 이용해야 할 중요한 기반시설인데 유모차 한 대 겨우 지나가는 넓이의 보행 공간 확보가 말이 되냐”고 반문했다. 오 의원은 조만간 지하철 5호선 전체구간을 대상으로 또 다른 문제점은 없는지 확인해 나갈 예정이다. 하남 지하철 5호선 4공구는 현재 10.14%의 공사진척도를 보이고 있으며, 오는 202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남=강영호기자

하남시 그린벨트 임야 ‘쪼개기 판매’ 광고 주의보

하남시가 최근 서울과 인접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내 임야를 대상으로 한 속칭 ‘쪼개기’ 판매광고에 대해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24일 시와 지역 부동산 업체 등에 따르면 하남 관내에서 공공주택 및 도시개발사업, 그린벨트에서 해제된 집단취락에 대한 건축 등 각종 개발사업이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부 기획부동산 업체들이 정부의 그린벨트 내 단절토지 추가해제 규제완화에 따른 부동산 열풍에 편승, 서울 강동ㆍ송파구와 맞닿아 있는 초이ㆍ감북동 등의 임야(그린벨트)를 대상으로 과장광고로 투자자들을 현혹하고 있다. 이들 기획부동산업체는 “초이ㆍ감북동 일원의 그린벨트 내 임야가 제1종일반주거지역으로 지정된데다, 지하철역과 가까워 신규 주거수요가 몰리고 있다”고 홍보하고 있다.그러나 이들 업체가 홍보하는 임야는 대부분 환경등급 1ㆍ2등급지로 해제대상이 아니다.오세인 시 도시과장은 “일부 분양업체에서 홍보하고 있는 임야 대부분은 주거지역이 아닌 개발제한구역 내 임야로, 도시기본계획상 보존용지로 구성돼 있는데다, 국토교통부의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결과 2등급지로써 절대적 보존지역이다”며 “개발제한구역내 임야는 환경평가결과 1ㆍ2등급지가 대부분으로, 개인별 주택지개발 등은 전혀 불가능한 지역이다”고 말했다.이어 그는 “하루에도 적지 않은 주민들이 이 일대 토지에 대해 전화문의를 해 오고 있다”며 “자유로운 토지매매 행위에 대해 시가 매입에 관여할 수는 없는 문제이기는 하나, 문제의 토지들은 환경등급이 높은 지역인 만큼 해제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하남=강영호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