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은 단순한 소리 아닌 우리 恨과 애잔함 결정체”

얼마 전 살 집을 지으려고 땅을 알아 보러 내려왔는데, 농사를 지으면서 시를 쓰시는 여성께서 꿀에 꽂감을 넣은 차(茶)를 내어주시는데 그 맛을 아직까지 잊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양평과 소중한 인연을 맺게 됐지요. 안숙선 명창(63여)이 지난 15일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양평군민회관에서 열린 제127회 창조아카데미에서 양평을 찾은 까닭에 대해 이처럼 설명했다. 국악분야에서 국보급인 안 명창은 그렇게 알게 된 최경학 시인이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읊은 작품 노을을 수제자인 천주미 고수(鼓手)의 장단에 맞춰 판소리 형식으로 낭랑하게 들려줬다. 아라리 아라리 아리리요/ 아라리 아라리 아라리요/ 붉은 눈시울로 굽어 보는. 그의 목소리는 창공을 가르는 보라매가 되어 힘차게 솟구치는가 하면, 들녘을 질주하는 표범처럼 표효하기도 했으며, 골짜기를 흘러 내리는 물살처럼 고즈녁하게 속삭이기도 했다. (최 시인의 시를) 아직 다 외우지 못해 죄송하다며 시작된 무대였지만, 안 명창의 애절하고도 안타까운 목소리에 500여명의 관중석 곳곳에서 얼쑤하는 추임새가 터져 나왔다. 안 명창은 관중석에 앉아있던 최 시인을 무대로 불러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공연 중간, 국악에 입문한 과정 등에 대해 판소리 인간문화재인 외삼촌, 태평무 인간문화재인 이모 등으로 어려서부터 국악에 눈을 뜨게 됐다며 국악은 단순한 소리가 아니라, 우리 민족의 한과 우리 산하의 애잔함 등이 녹여져 있는 모든 소리들의 어울림으로, 판소리를 하려면 온 몸의 기(氣)를 참기름 짜듯 혼신의 힘을 다해 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명창은 1시간 동안의 짧은 공연에 아쉬워하는 관중들에게 판소리 다섯마당 가운데 흥보가를 들려주고 무대를 떠났다. 가야금 산조 및 병창 예능 등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인 안 명창은 지난 1999년 수궁가, 지난 2000년 적벽가, 지난 2001년 심청가, 지난 2003년 흥보가, 지난 2005년 적벽가 등 판소리 다섯마당을 완창했으며 국내는 물론 아시아, 북남미, 유럽 등 주요 도시들을 순회하면서 한국의 소리를 전파하고 있다. 양평=허행윤기자 heohy@kyeonggi.com

양평소방서, 의용소방대원 소방기술 경연대회 열려

훈련은 실전처럼, 실전은 훈련처럼 대처해 주민들의 소중한 재산을 지키겠습니다. 양평지역 의용소방대원들이 평소 갈고 닦은 화재진압기술들을 뽐내느라 모처럼만에 비지땀을 흘렸다. 양평소방서 의용소방대는 지난 8일 양평군 용문면 용문레포츠공원에서 지역 내 의용소방대 20개대 의용소방대원 4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제19회 소방기술경연대회를 열었다. 대회는 심폐소생술(CPR), 속도방수 및 수관 메고 이어달리기 등 남녀 각각 5종목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의용소방대원들은 유난히 더운 날씨에도 아랑곳하지 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 경기에 임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일부 의용소방대원들은 경기 도중 쓰러지기도 했지만, 그럴 때마다 동료들의 부축을 받고 다시 경기에 임해 박수갈채를 받았다. 이날 대회에는 김선교 양평군수 및 김승남 양평군의회 의장, 박종환 양평소방서장 등을 비롯해 군의원들과 오완수 양평교육장 및 지역 사회단체장 등이 참석해 의용소방대원들을 격려해줬다. 김선교 양평군수는 화재현장을 비롯한 각종 재난현장에서 헌신적인 봉사를 실천하고 있는 의용소방대원들의 노고에 감사를 드린다며 소방기술을 지속적으로 갈고닦아 지역의 안전 파수꾼의 역할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김성출백정옥 남여 의용소방대연합회장은 이번 대회는 이기는 게 목적이 아니라 그동안 대원들이 갈고 닦은 체력과 기술 등을 뽐내고 대원간의 친목과 화합에 목적이 있다며 앞으로도 화재는 물론 각종 재난사고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대회 종합우승은 남성부문에 강하면의용소방대, 여성부문은 지난해에 이어 연속으로 용문여성의용소방대가 각각 차지했다. 양평=허행윤기자 heohy@kyeonggi.com

양평 ‘반려암’ 도로공사로 훼손 위기

학술적 보존 가치가 높은 양평군 양평읍 일대 반려암(화산 분출 이후 지표 가까이에서 지반이 굳어지면서 형성된 바위)들이 도로 확포장공사로 훼손될 위기를 맞고 있다. 6일 양평지역 융합과학교육연구회 소속 교사들에 따르면 원덕리 흑천 일대에 산재한 짙은 회색의 반려암들은 중생대 초기인 트라이아스기(Triassic Period) 화산활동의 결과로 형성된 노두(露頭:광맥이나 지층, 석탄층 등의 일부가 땅 위로 드러난 것)로, 지난 2008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이수재 책임연구원에 의해 보존 필요성이 높은 암반으로 한국지질학회에 보고됐다. 이 같은 가치를 지닌 반려암들이 최근 양평군이 시행하고 있는 지방도 342호선 공세원덕 구간 도로 확포장공사로 훼손될 위기에 처해 있다. 군은 지난 2008년부터 총 사업비 235억원을 들여 이 일대 도로 2.36㎞를 너비 12m로 확장하는 공사를 진행, 현재 도로 노체(쌓기 공사) 및 노상 조성 등을 마치고 대명콘도 뒷편에서 하천 골재 준설공사를 하고 있다. 이에 융합과학교육연구회 소속 교사들은 최근 김선교 양평군수에게 지질 노두 보존방안 요청서를 보내 양평읍 원덕리 흑천 일대 반려암들에 대한 보전대책을 촉구했다. 이들은 요청서를 통해 양평읍 일대 반려암들은 한반도 남쪽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중생대 초기 지질기록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보전해도 손색이 없는만큼 훌륭한 자연사학습장이 될 수 있다며 반려암들을 비켜 도로를 내고 표면을 덮개로 포장한 후 공사를 진행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군 관계자는 의견을 들어 반려암을 비켜가는 방향으로 공사구간 설계를 변경했고 반려암들을 보전하는 방안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양평=허행윤기자 heohy@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