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복사기 임차’ 수억원 낭비 의혹

부천시가 부서별로 사용 중인 복사기(복합기)를 임차방식에 따라 수억원대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데도 이를 외면해 예산을 낭비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천시의회 재정문화위원회 정재현 의원은 25일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 부천시를 비롯해 부천시설관리공단, 3개 구청, 36개동 주민센터 등 각 부서에서 매년 300여대의 흑백복사기를 임대해 사용하면서 매월 대당 12만원씩 연간 4억3천여만원의 예산을 집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복사, 출력 수량 등 비슷한 조건의 남동구는 5년 전부터 공개경쟁 규격 입찰 방식으로 동일 기종에 대당 9만6천원의 비용을 지급했으며 계약 단가는 계속 낮아지고 있다. 정 의원은 흑백뿐만 아니라 컬러복합기를 사용하는 점을 감안하고 남동구의 계약 차액을 계산한다면 한 해 1억원 가량 예산 절감이 가능하다며 시는 10여년 동안 동일한 가격을 유지한 상황으로 최소 10억원 이상의 예산을 낭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정 의원은 부천시설관리공단의 경우 전자복사기 등 20여대를 임차해 사용하면서 지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대당 15만원씩 계약해 수천여만원의 예산을 낭비했다면서 부천시 위탁기관이나 투자기관, 복지관 등을 모아 적극적으로 복합기 공동 구매계약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부천=윤승재기자

부천시, 화성종합장사시설 사업비 분담금 ‘257억원’

화성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가칭) 건립에 참여하는 부천시의 예산분담비가 257억여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천, 화성, 안산, 시흥, 광명 등 5개 시는 최근 화성시청에서 화성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실무협의를 열고 지자체별 사업비 분담비율을 확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5개 참여 지자체는 예상 사업비 1천203억원 가운데 국도비 177억원을 제외한 나머지 1천26억원 중 10%는 5개 시가 균등비율로 부담키로 했으며 나머지 90%의 사업비는 지자체별 인구비율에 따라 차등 분담키로 협의했다. 이에 따라 부천시는 당초 10개 지자체가 참여키로 했을 때 분담비(224억5천만원) 보다 33억원 가량 늘어난 금액을 부담하게 됐다. 장례식장과 자연장지 조성을 담당하는 화성시는 320억원으로 가장 많은 사업비를 부담하게 되며 나머지 시는 최소 106억원 이상을 부담하게 된다. 당초 이 사업은 경기 서남부권 10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장사시설을 화성시에 건립하기로 뜻을 모으고 총사업비 1천449억원을 들여 부지면적 46만5천139㎡, 화장시설 13기, 봉안시설 3천기, 자연장지 2만2천기를 건립키로 했다. 그러나 처음 사업에 참여하기로 한 안양평택군포의왕과천이 지난달 말 사업비 부담 등의 이유로 사업참여를 포기하자 5개 지자체만 참여하는 것으로 사업규모를 변경, 부지면적은 36만4천448㎡로 줄이고 화장시설(14기)과 봉안시설(2만7천30기), 자연장지(3만8천200기)는 규모를 크게 늘렸다. 5개 참여 시는 분담금을 낮추기 위해 지역 국회의원들과 협조해 국도비와 특별보조금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이날 합의한 사업비 분담비율 내용을 의회와의 조율을 거쳐 확정하고 나서 내년 상반기 중에 공동투자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당초 10개 지자체에서 5개 지자체가 불참하게 됐지만 예산분담비가 크게 늘어난 것은 아니며 봉안시설을 3천기에서 2만7천기로 증가해 건립하기로 하는 등 조정된 부분이 있어 분담비가 다소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화성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은 화성시 매송면 숙곡리 일원에 오는 2016년 상반기 착공해 2017년 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부천=윤승재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