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한강신도시 인구 급증에도 현실 외면한 ‘유치원 규제’

김포한강신도시의 인구 급증 등으로 유치원 부족현상을 빚고 있는 가운데 유치원 설립을 행정 읍면동의 유아수용계획을 기준으로 허가하는 경기도교육청의 지침이 현실에 맞지 않는 규제라는 지적이다. 7일 경기도교육청과 김포교육지원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유치원 취학권역을 행정 읍면동으로 설정하라는 도교육청의 지침에 따라 김포교육지원청은 같은해 7월 행정예고를 거쳐 김포2동장기동과 구래마산동을 각각 동일 권역으로 하고 통진읍 등 나머지 9개 읍면동은 단일권역으로 모두 11개 읍면동을 취학권역으로 설정했다. 이후 교육지원청은 도교육청의 지침에 따라 유아수용계획을 취학권역에 따라 수립해 유치원 설립을 허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신도시 지역인 김포2동장기동 권역은 공사립 유치원이 부족해 공립 351명, 사립 626명의 유아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지만 땅값과 임대료 등이 높아 유치원 신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바로 인근의 김포1동 권역은 상대적으로 땅값과 임대료가 저렴해 유치원 신설 수요는 많지만 사립 유치원 정원이 남아 신규 허가가 불가능하다. 김포1동은 사립 정원에 838명이 부족하고 공립은 690명이 초과, 148명의 정원이 남기 때문이다. 특히, 도교육청은 지난해 이같은 지침을 시행하면서 일체의 경과규정을 두지 않아 이 지침에 앞서 설립을 승인받은 유치원 조차 허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법 시행령 제17조(유아수용계획) 2항에서 취학대상 유아는 거주지가 속한 취학권역 밖에 있는 유치원에 취학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에도 정작 도교육청은 정원이 초과한다는 이유로 신규 허가를 금하고 있어 이율배반적 규제라는 지적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청 관계자는 유치원의 설립과 취학은 별개 문제라며 다만 도교육청 지침이 시행되기 전 설립을 승인받은 유치원에 대해선 경과규정을 신설해 구제하는 방안을 도교육청에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kyeonggi.com

김포시, ‘부처님 오신날’ 봉축등탑 점등

김포시는 불기 2558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시청 앞 사우사거리에 10미터 높이의 5층 연등 탑을 설치하고 점등 행사를 가졌다고 7일 밝혔다. 이날 점등행사에는 유영록 시장과 중앙승가대학과 사암연합회 소속 주지 스님 등 불교계 인사와 지역 상공인 불자들로 구성된 보현선행회(회장 이영대) 등 50여 명이 참석해 자비와 축복을 기원하는 자리에 함께했다. 특히 참석자들은 봉축등탑의 점등식을 하고 부처님의 자비가 32만 시민 행복으로 퍼져 나가기를 기원하는 뜻깊은 시간을 나눴다. 이날 봉축 법어를 통해 중앙승가대학의 보각 대학원장 스님은 부처님께서 세상에 오신 의미를 늘 되새기면서 실천할 때 등 탑에 불을 켜는 참된 마음이 자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영록 시장은 연등 탑의 평온한 빛을 통해 부처님께서 자비와 지혜의 빛으로 사바세계의 중생을 구원하고자 이 땅에 오신 은혜에 보답하고 이곳을 지나는 시민들이 연등 탑을 보면서 스스로 안녕은 물론 이웃의 행복과 지역발전을 함께 기원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오는 19일 사우문화광장 일원에서 중앙승가대학이 주최하고 보현선행회가 주관하는 연등문화축제가 개최된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kyeonggi.com

김포 운유초 학생들 “엄마, 스마트폰 중독 걱정마세요”

김포의 한 초등학교 어린이들 사이에 작은 혁신이 일어났다. 초등학생은 물론 중고교생 등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스스로 스마트폰 사용 자제와 실천을 결의하고 나섰다. 31일 오전 운유초등학교(교장 김정덕) 전교 어린이회(회장 손다빈)는 1천105명의 전교생이 참가한 가운데 전교생 다모임 총회를 열고 학생 스스로 제정한 52개조의 운유 학생 자치법에 대한 설명회와 결의대회를 했다. 운유초교 어린이들이 제정한 자치법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스마트폰 규제다. 이날 손다빈 어린이회장을 비롯한 전교생은 스마트폰을 밤 9시에 부모님께 맡기겠다는 약속을 다짐하는 선서를 했다. 어린이회는 이 같은 스마트폰 규제를 마련하기에 앞서 전교생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5~6학년 어린이 중 250명(82%)이 스마트폰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 스마트폰을 지닌 학생 중 게임, 인터넷, 메시지 사용 등으로 방과 후 2시간 이상 사용하는 학생이 46%가 넘었고, 3시간 넘게 사용하는 어린이도 20%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일부 학생은 사이버 폭력과 왕따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도 응답했다. 손다빈 회장은 늦은 밤까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을 자제하고 스마트폰에도 잠자는 시간을 주자고 결의하게 됐다고 밝혔다. 김정덕 교장은 스마트폰을 늦은 밤까지 사용하면서 생기는 부작용을 줄이고 특히 사이버 폭력이나 왕따를 줄여나가겠다는 학생들의 생각을 존중한다며 사이버상에서도 우리 국어를 바르게 쓰는 노력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학부모 대표로 참석한 김재경 운유초교 학부모회장은 운유초 전교학생 총회에서 결의한 내용 중 스마트폰을 밤 9시가 되면 부모님께 맡기겠다는 결의에 엄마들도 동참하겠다며 학생들이 이런 운동을 시작한다니 너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백다솜 어린이(6학년)는 우리 손으로 만든 자치법을 통해 준법정신을 배워 서로 배려하며 함께 놀고 배우는 운유초의 학생문화를 만들고자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최주환 생활인권부장 교사는 학생들이 자치법을 잘 지킬 수 있도록 전교 어린이회가 주관하는 캠페인과 운유 자치법정을 활성화하겠다라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