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실 동두천 T/F팀 동두천 방문

동두천시는 국무총리실 주한미군기지이전지원단 민용기 부단장과 정부지원으로 추진 중인 관내 18개 현안사업과 관련,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1월 부임한 민 부단장과 동두천 T/F팀은 전날 동두천시 발전을 위한 18개 현안사업 추진성과와 현장 확인을 위해 동두천시를 방문했다. 총리실 동두천 T/F팀은 지난1년 간 대전침례신학대학 이전승인, LNG 복합화력 발전소 조기건립 기반마련(12년 상반기 착공예정), 국도3호선 대체 우회 도로 임시개통, 미군가족 수 지방교부세 산정수요 반영을 통한 세수 확보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시는 미군공여지 반환시기 지연으로 구체적인 개발계획 수립이 어렵고 관계법령 개정에 따른 기간소요로 가시적 효과를 거둘 수 없는 점 등 사업추진에 대한 문제점을 설명하고 이날 개선을 건의했다. 민용기 부단장은 18개 현안사업 외 실질적인 동두천 발전사업 발굴 및 추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총리실과 시는 적극적인 협조관계를 유지해 내실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공동으로 노력하자고 말했다. 오세창 시장도총리실 동두천 T/F팀의 노력으로 하나 둘 사업추진에 대한 결실을 맺고 있다며올해도 18개 현안사업에 대한 소기의 성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2010년 주한미군기지 이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두천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국무총리실 산하에동두천 발전 태스크포스(TF)팀을 꾸리고 동두천시가 건의한 18개 현안사업을 확정해 지원책을 추진해왔다.

동두천시 4월부터 숲 해설교실 확대 운영

동두천시는 오는 4월부터 11월까지 소요산 산림욕장에서 유치원, 초중고교생, 일반인을 대상으로숲 해설교실을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시는 그동안 주2회 운영하던 숲 해설 교실을 주 3회로 늘려 시민들의 숲 체험 기회를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시민들의 이용편의를 위해 이달 중 산림욕장 내에 화장실을 설치하기로 했다.숲 해설교실은 연못 안의 올챙이 관찰하기, 통나무 굴리기, 오동나무 가지로 목걸이팔찌 만들기, 숲 속 다양한 색 찾기 놀이, 숲 속 화가되기, 곤충 관찰하기 등 자연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또한 아이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하면서 자연과 더욱 가까워지고 숲의 가치와 자연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매달 참가신청을 받기로 했다.매주 수, 목, 금요일 오전 10시에 실시되는 숲 해설교실 프로그램은 한 팀당 10~20명 정도로 무료로 진행된다.시는 숲 해설교실 프로그램이 관내 학생들에게 답답한 교실을 벗어나 숲을 체험하고 자연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자세한 사항은 농업녹지과 공원관리팀 031-860-2417로 문의하면 된다.동두천시 = 한성대 기자 hsd0700@kyeonggi.com

동두천시, 재난취약가구 안전점검 및 정비사업 추진

동두천시는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등 재난취약계층의 안전한 주거환경을 위해 2012년 재난취약가구 안전점검 및 정비 사업을 시행 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시는 대부분이 생계유지 문제로 주거시설의 화재, 감전 등 생활안전에 소홀해 각종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재난취약계층 가구에 전기, 보일러설비의 정비점검을 통해 안전한 주거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이를 위해 시는 지난2일 한국전기안전공사 담당과장, 사랑의 보금자리사업단 주무관, 관계공무원 등이 참여해 재난취약가구 선정심의회를 개최하고 동에서 추천한 219가구의 안전점검 및 정비 사업을 실시하기로 했다.안전점검 및 정비 사업대상 가구는 주택전기설비 유료 정비점검 194가구와 무료 25가구, 연탄 난방 보일러 사용 90가구로 오는4월 ~ 5월 두 달 동안 정비점검을 실시한다.시는 이 기간 동안 불량 누전차단기, 등 기구 교체, 전기설비 누전검사, 노후주택의 단독형 화재감지기 설치, 연탄보일러 불량부속 교체 등 정비 사업을 할 예정이다.시 관계자는이번 정비점검을 통해 안전사각지대에 있는 재난취약계층의 각종 재난사고 발생 요소를 제거해 안전한 주거환경을 제공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동두천시= 한성대 기자 hsd0700@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