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마 후보군 물밑 작업 본격화... 국정 운영 ‘경제 성과’ 핵심 변수 민주, 도내 최소 28곳 이상 승리 vs 국힘, 기초단체장 22곳 수성 목표
조기대선으로 정계 분위기가 급변하면서 지역 정가도 1년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 출마 후보군들의 물밑 작업이 본격화하고 있다. 이에 경기일보는 경기도지사와 경기도교육감을 비롯해 31개 시군의 기초자치단체장 후보군을 분석하고, 유권자의 선택을 돕기 위한 미리보는 지방선거 특집 기사를 연속 보도한다. 편집자주
지방선거 레이스 시작한 지역정가, 사활거는 이유는
내년 6월 치러지는 지방선거가 1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후보자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조기 대선으로 정치 일정이 앞당겨지면서 이번 지방선거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 유리한 ‘허니문 선거’가 될지, 정국 주도권을 뺏긴 상황에서 보수 결집에 따른 ‘정권 심판 선거’를 완성 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경기도는 도지사를 비롯해 31개 기초단체장까지 대규모의 선거판이 열리면서 민심을 가장 잘 측정해볼 수 있는 곳으로 평가받는다. 이에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31곳 중 최소 28곳 이상의 승리를, 국민의힘은 지난 제8회 지방선거 재현을 통한 기초단체장 수성과 도의회 주도권 확보를 목표로 삼고 있다.
7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번 지방선거는 이재명 대통령 취임 1주년인 2026년 6월3일 치러진다. 사실상 이재명 정부에 대한 국민 지지도를 확인하는 선거로 평가되면서 도내 정가는 이미 지방선거 체제로의 전환을 시작한 상황이다.
민주당은 지난 6·3 대선의 승기를 몰아 도지사는 물론 31개 시·군 중 최소 28곳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내걸고 있다. 허니문선거라는 점을 십분 활용해 전국 최대 광역자치단체인 경기도가 국정 운영의 뒷받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소 28곳, 최대 30곳을 파란 물결로 물들이겠다는 각오다.
국민의힘은 8회 지방선거 당시 보수 정권의 허니문 선거 임에도 접전 끝에 김동연 지사가 승기를 잡은 전례가 있는 만큼 이번에는 국힘 도지사 배출에 전력을 다하는 한편 기초단체장은 지난 선거에서 확보한 22곳을 지켜내는 데 사활을 걸 것으로 보인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여당인 민주당이 유리한 구도를 가져갈 가능성이 점쳐지지만, 국정 운영 성과 중에서도 무엇보다 경제 성과가 핵심적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악의 경제 위기가 지속되면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제적 성과를 거두느냐가 표심 향방을 결정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재명 정부가 최근 자영업자 구제, 민생 긴급 지원 등에 주력하는 것도 역시 지방선거 포석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우지영 한국지방정치연구소장은 “내년 지방선거는 전통적인 정권 심판론보다 정권 지원론이 우세할 수 있다”면서도 “유권자들의 판단이 더 냉정해진 만큼 경제적 성과가 결과를 좌우할 것이다. 경기도는 생활경제 주체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표심이 선거의 승패를 결정짓는 핵심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관련기사 : 국정운영 성적표 따라… 민심 격변하는 경기도 [미리보는 지방선거]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706580211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