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학교’ 용인시엔 자동심폐소생기(AED)가 있다

용인지역 초등학교 8곳, 중학교 28곳, 고등학교 15곳 등 모두 51개 학교에 국내 최초로 자동심폐소생기(AED)가 비치됐다.용인교육지원청은 최근 대한심폐소생협회와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로부터 응급장비 및 심폐소생술 교육기자재를 기증받아 51개 학교에 비치했다고 28일 밝혔다.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AED 51대를 기증했고 대한심폐소생협회는 교육용 AED25대와 교육용 인형 102개, 교육용 동영상과 책자 510권 등 2억3천800만원 상당의 물품을 기증했다.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의 정식 명칭은 자동제세동기로, 음성안내를 받으며 전기충격으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다.김태석 교육장은 심장박동 정지 환자는 최초 5분이 생명을 좌우하는데 AED가 있으면 심폐소생술을 모르는 사람도 구급차가 오기 전까지 응급처치를 할 수 있다며 응급 상황에서 더욱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용인교육지원청은 두 기관과 함께 지난 6월부터 1+10=A+ 안전학교 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이 사업은 학교 당 1대의 AED와 10명의 생명지킴이 하트세이버(Heart Saver)를 둬 학교안전 A+점수를 획득하는 것이다.지금까지 51개 초중고가 참여해 교직원 495명이 하트세이버 평가를 통과했고 이들이 다른 교직원과 학생에게 릴레이 교육을 해 교직원 651명과 재학생 2만1천172명이 심폐소생술과 응급장비 사용법을 익혔다.용인=강한수기자 hskang@ekgib.com

경기평택항만公-한국국제물류協 ‘평택항 활성화’ 양해각서 체결

경기평택항만공사는 지난 26일 서울 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한국국제물류협회(KIFFA)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평택항 물동량 증대와 항만 활성화를 위해 상호협력 하기로 했다.이날 협약식은 상호 긴밀한 교류와 협력을 통해 양 기관의 발전과 평택항의 물류 활성화를 이끌기 위해 마련됐다. 경기평택항만공사 서정호 사장은 이번 체결을 통해 공사와 협회는 평택항의 경쟁력을 포워더들에게 적극 알려 평택항의 소량 컨테이너 화물(LCL) 활성화를 위해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고 밝혔다.또 그는 평택항이 국제물류업체에 친숙한 이미지로 다가설 수 있도록 상호협력 체제를 긴밀히 유지해 나갈 방침이다고 덧붙였다.이어 강성린 한국국제물류협회 회장은 평택항을 환황해권 물류거점항만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는 경기평택항만공사의 노력을 포워딩업계는 잘알고 있다며 이번 MOU 체결을 계기로 평택항이 더욱 사랑받는 서해안의 관문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또한 올해에는 사상 처음으로 50만TEU의 컨테이너 물동량 취급이라는 목표를 달성 한만큼 내년에는 두배의 성장을 기록해 100만TEU 이상을 처리할 수 있는 항만이 될수 있도록 함께 노력 하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평택=최해영기자 hychoi@ekgib.com

비보이·재즈 … 김포 특수교육학생들 끼발산

몸이 좀 불편할 뿐, 뭐든지 할 수 있어요.김포지역 유초중고 특수교육대상학생과 학부모, 특수교사 및 각 학교장, 교감 등이 한 자리에 모여 올 한해동안 가르치고 배운 기량을 한껏 뽐냈다.김포교육지원청(교육장 김용국)은 지난 26일 김포초등학교 100주년 기념관에서 학생, 교사, 학부모 등 4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회 김포특수교육 방과후 학교 축제 한마당을 열었다.교육청은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소질과 적성계발 및 취미, 특기 신장을 위해 각 학교에서 특수교육 방과후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이번 행사는 1년 동안 특수학급 방과후 학교를 통해 만든 작품을 전시하고, 공연을 발표해 장애 학생들의 심미적 정서를 길러주고 인성교육을 강화하는 자리이다.올해로 3회째를 맞는 이번 축제는 김포시의 金을 따서 금(金)별이들이 함께 꿈꾸는 세상이라는 소주제로 장애 학생들은 그동안 자신들이 만든 작품을 전시하고 비보이 공연, 요가, 재즈 등 갈고 닦은 실력을 선보였다.김 교육장은 특수교육 방과후 학교 축제를 통해 우리 학생들의 꿈과 희망이 쑥쑥 자라고 창의력이 신장되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김포=양형찬기자 yang21c@ekgib.com

“운전습관 고치면 나도 환경지킴이”

사소한 운전습관이 에너지를 절약하고 나아가 환경오염을 막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교통안전공단은 지난 26일 경북 상주시 소재 안전운전체험연구교육센터에서 한국도로공사 경기지역본부 직원, 경기지역 지자체 교통담당 공무원 등 4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에코드라이빙 교육을 실시했다.에코드라이빙이란 적정 주행속도(시속 60~80㎞)를 유지한 상태로 급출발과 급제동을 자제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신개념 운전습관이다. 공단은 지난 7월부터 센터에서 지자체 교통직렬 담당 공무원과 경찰 및 소방 공무원, 운수업체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에코드라이빙 교육과정을 운영, 큰 호응을 얻고 있다.이날 교육 참가자들은 오전 10시 간단한 에코드라이빙의 기본개념에 대해 실내교육을 받은 뒤 곧바로 실외로 나가 평소 자신의 운전습관대로 실외 주행코스(2.6㎞)를 달렸다.이어 실시된 에코드라이빙 실내교육에서 참가자들은 동일한 속도에서 고단기어를 사용하고 적색등이나 정체구간에 도달하기 전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는 관성주행을 이용해 쓸데없는 연료 낭비를 줄여야 한다는 교수진의 설명을 경청했다.이날 교육에선 올바른 운전습관과 빗길 과속운전의 위험성 대해서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코너가 마련돼 참가자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았으며 참가자들은 교육 전후가 비교평가된 교육평가 진단지와 수료증을 받은 뒤 교육은 성황리에 마무리 됐다.박승호 교통안전공단 연구교육처 교수는 일본과 유럽 등 선진국가에서는 이미 10여년 전부터 에코드라이빙 교육이 시작됐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걸음마 수준에 불과하다며 에코드라이브가 국민들의 일상속에 제대로 자리잡 을 때까지 다양한 교육과 홍보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khj@ekg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