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마디편한병원, 저소득층 무료 관절수술로 새삶

이젠 마음 놓고 걸을 수 있어서 다시 태어난 기분입니다. 파주마디편한병원(원장 황필성)이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게 관절수술을 무료로 실시하고 있어 화제다. 기초생활수급자나 저소득층 계층은 비급여 항목에 해당되는 수술비용에 대한 부담 때문에 치료를 망설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마디편한병원은 인공관절수술이나 관절내시경수술에 한해 수술 전 검사 항목으로 인한 추가 비용과 수술비는 물론 간병비를 전액 지원하고 있다. 이런 시스템이 가능한 이유는 노인복지연합에서 저소득층에게 의료비 지원을 약속하고, 병원에선 비급여 부분을 최소화해 공동 간병실을 무료로 제공하기 때문. 최춘섭씨(70)는 다리가 아파 10여 년을 고생했으나, 비싼 수술비 때문에 참고 살아왔다며 병원측의 배려로 새로 태어난 기분으로 걸을 수 있게 돼 감격스럽고 감사하다고 수술혜택에 대한 소감을 밝혔다. 황필성 원장은 파주시와 공동으로 저소득층 관절수술 지원 협약을 맺고 많은 분들에게 의료혜택을 제공할 수 있어 기쁘다 며 의료 사각지대에 있는 분들이 많은 혜택으로 새 삶을 찾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마디편한 병원은 그동안 병원장을 단장으로 무상의료봉사단을 결성해 노인복지회관을 비롯한 장애인 복지시설과 경로당을 찾아 골다공증검사, 혈압, 당뇨 등 의료봉사를 펼쳐왔다. 파주=박상돈기자 psd1611@kyeonggi.com

파주시 숙원 종합병원 무산

파주시가 주민숙원 사업으로 추진했던 종합병원 건립이 무산됐다. 11일 이인재 시장은 이날 열린 파주시의회 정례회에서 이평자 의원의 세종병원 사업 취소에 대한 시정질의 답변을 통해 세종병원이 사업비 추가 소요로 인한 재정 부담으로 인해 사업 중단을 지난달 4일 통보했다고 밝혔다. 당초 세종병원은 월롱면 덕은리 산 186의 1 일원 10만8천여㎡에 1천600억여원을 들여 2025년까지 3단계에 걸쳐 1천208병상의 병동과 게스트하우스, 치매재활센터, 간호교육센터, 의학연구소 등을 갖춘 종합병원을 건립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군부대 이전 문제와 관련, 세종병원이 산림청에 대체부지를 요청했지만 산림청은 도시계획구역으로 변경된 이후에 대체부지가 가능하다는 입장차를 보였다. 결국 예비군 훈련장 이전비용 등 사업비 초과지출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의료시설이 취약했던 파주시에서는 종합병원 유치란 청사진에 행정지원은 물론 지역 국회의원까지 발 벗고 나서 군부대와의 협의 문제를 해결하며 기대감에 부풀었으나 최종 사업백지화라는 의사 전달에 따라 허탈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의 기대를 안고 출발한 파주 최초의 종합병원이 무산돼 안타깝다며 이번 일을 반면교사로 삼아 전국 의료법인과 병원을 대상으로 종합의료시설 유치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파주=박상돈기자 psd1611@kyeonggi.com

K-water파주사업단, ‘사랑의 집 고쳐주기’ 실시

K-water파주사업단(단장 백종국)은 지난 9일 사회공헌활동을 위한 사랑의 집 고쳐주기를 실시했다. 파주사업단의 봉사동아리인 바람개비회로 구성된 회원들은 겨울비가 오는 날씨에도 불구하고 광탄면에 위치한 재가장애인 가정을 방문해 낡은 벽을 털어내고 보온을 위한 바람막이를 설치했다. 회원들은 곰팡이로 더러워진 벽면과 바닥을 긁어내고 벽지와 장판으로 새롭게 꾸몄다. 또 부서져 내리는 천정을 뜯어내고 열악한 주방을 다시 꾸몄으며 겨울 강풍을 막아줄 칸막이까지 완성해 재가장애인이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게 됐다. 백종국 단장은 낡고 허름한 집에서 생활하는 재가장애인들을 위해 파주사업단이 작은 도움을 줄 수 있어 기쁘다며 앞으로도 파주사업단은 각종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소외된 이웃을 보듬고 끌어안아 함께 행복한 사회를 누릴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번 집 수리는 파주수도관리단과 파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정학수)의 사회공헌 공동추진 사업인 재가장애인 이동생활환경개선사업의 일환으로써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생활을 제공하고 편의를 증진시켜 재가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됐다. 한편, 파주사업단은 올 한 해 동안 17회의 이동생활환경개선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앞으로도 재가장애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맞춤형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파주=박상돈 기자 psd1611@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