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한경대 전국 창의적 경진대회 대상 수상

안성 국립 한경대 Safety Smile 팀이 2016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에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한경대는 13일 토목안전환경공학과 옥승용 교수가 지도하는 Safety Smile 팀(류선호, 전용식, 손석진, 최정은, 이나라얼)이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받았다고 밝혔다.올해 경진대회에는 전국 93개 대학 196팀이 참가했으며 32개 팀이 본선에 진출, 열띤 경쟁을 펼친 결과 한경대가 대상을 차지했다. Safety Smile팀의 작품은 ‘키다리’로 사다리의 전도 방지를 위한 탈부착형 아웃트리거(크레인 안전장치의 일종으로 사다리를 안전하게 지지해 줌) 시스템이다. 특히 이들의 작품은 협소한 공간과 경사면 설치 불가 등 설치공간의 제약문제를 해결하고 회전방향조절이 가능토록 했으며 탈ㆍ부착형 방식으로 개발돼 주목받았다.이들의 성과는 접이식 태양 전지판과 우주 망원경, 종이접기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는 접기 공학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착안한 것으로 알려졌다.옥승용 교수는 “ 아이디어 실현에 우리 대학 공학교육혁신지원센터의 지원이 컸으며 학생들 스스로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노력했다는 점에 찬사를 보낸다”고 말했다.

안성 3년간 받은 고통 누구에게 보상 받나요?

“공무원의 직무태만 아닙니까? 3년간 받은 고통을 관공서에 이야기해도 해결되지 않습니다.” 2일 안성지역에서 개인택시를 운영하는 A씨(57)는 수심과 분노에 가득 찬 얼굴로 자신이 3년간 겪은 일에 대해 억울함을 호소했다. 지난 2013년 9월께 A씨는 동료 6명과 함께 택시 콜 센터를 운영하기로 했다. 이에 A씨는 kt 전화국에서 XXX-5000번이라는 좋은 번호를 개인 이름으로 받아 차량에 기재하는 등 콜택시 영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기쁨도 잠시, 운영 3일 만에 A씨는 “압류 건으로 문의가 있다”는 전화에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했다. A씨가 받은 번호는 안성경찰서 민원실에서 사용했던 전화번호였던 것이다. 처음에는 친절하게 잘못 온 전화를 받던 A씨는 도를 넘어선 상담전화에 2년간 시청과 경찰서를 찾아다니며 수십차례 민원을 제기했다. 하지만 수정이 안 된다는 답변만 돌아올 뿐이었다. 경찰이 전화번호 회선을 모두 변경한 2014년 이전에 속도위반이나 신호위반 등 과태료 납부가 이뤄지지 않은 차주에 대해 자동차 등록 원부 갑부(압류)에 기존 전화번호가 기재돼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경우는 수천건으로 추정되며 특히 자동차매매상들이 차량의 과태료 미납여부를 조사하면서 이 번호로 전화를 걸어오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결국 전화번호 수정 작업이 없다 보니 수년 전 서류에 남아 있는 과거 전화번호로 A씨가 본의 아니게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이다. A씨는 “수정도 안 된다는 공무원들의 답변은 직무태만”이라며 “더 이상의 피해가 없도록 하루속히 번호 수정에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경찰과 시 관계자는 “전화번호 변경 전 압류가 남아있다면 계속 과거 전화번호가 기재돼 있을 것”이라며 “프로그램(전화번호) 수정을 위해 국토부 쪽으로 알아보겠다”고 해명했다.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