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동굴 ‘요우커 유치’ 해외 홍보전

광명시가 오는 4일 도심 속 동굴테마파크로 개장하는 광명동굴에 대해 외국 관광지 유치에 행정력을 집중하기로 했다. 시는 광명동굴을 국제적인 관광지로 육성하기 위해 2015~2016 한중 상호 방문의 해를 맞아 경기관광공사와 함께 다양한 요우커 유치 활동을 펼친다. 경기관광공사는 올해 열리는 중화권에서 주요 관광박람회인 상하이세계여유박람, 홍콩국제관광박람회, 중국국제여유교역회, 타이베이국제여전에 광명동굴을 집중 홍보하기로 했다. 특히 내달 13~18일 중국 쓰촨성 청두, 대만 타이베이, 가오슝을 거치는 상반기 중화권 주요 도시 관광홍보로드쇼 추진시 광명동굴을 자세히 소개하기로 했다. 또 중국 시나 블로그, 시나 웨이보, 태국 페이스북 등 경기관광공사의 해외 SNS를 통해 광명동굴의 홍보를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광명동굴은 금을 캐던 황금광산 이미지를 형상화하기 위해 황금폭포, 황금궁전, 황금길, 황금패, 황금 찾기 체험 등 황금을 주제로한 스토리텔링에 역점을 두고 관람 콘텐츠를 구성, 황금을 좋아하는 요우커들에게 최적의 관광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국내 여행사를 통해 외국여행객들이 광명동굴을 관람하고 5분거리에 있는 광명KTX역세권에서 쇼핑을 즐길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광명=김병화기자

광명소방서, 단독경보형감지기 보급으로 대형화재 막는데 효자노릇

광명소방서(서장 김권운)의 단독경보형감지기 보급 사업이 화재 피해를 줄이는데 효자노릇을 하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16일 광명소방서에 따르면 지난 8일 오후 2시께 광명5동 새마을시장내 상가주택 3층에 거주하는 강모(80)할머니가 빨래를 하려고 물을 데우기 위해 화장실내 대야에 시즈히터를 작동시키고 방안으로 들어와 라디오를 듣고 있었다. 시간이 지나 시즈히터가 과열, 화재가 발생한 순간 단독경보형감지기가 작동했고, 경보음을 들은 이웃들이 달려와 초기진화를 통해 화재를 진압했다. 지난달 8일에는 광명시장내 상가주택 2층에 거주하는 김모(68)씨가 가스레인지에 냄비를 올려놓고 부주의로 화재가 발생, 단독경보형감지기 경보음을 듣고 소방서에서 배부한 소화기를 사용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었다. 만약 단독경보형감지기가 없어 늦게 화재를 인지했더라면 화재가 시장까지 번져 자칫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광명소방서에서 매년 지속적으로 취약가구에 단독경보형감지기 등 기초소방시설을 보급하고 있는데, 지난해부터 광명시와 합동으로 전통시장내 상가주택 취약가구(광명시장-150세대,새마을시장-49세대), 지하주택 취약가구(광명1동-150세대, 광명5동-150세대)에 보급했다. 김권운 서장은 올해 특수시책으로 범시민 소방차(소화기)비상벨(단독경보형감지기) 갖기 운동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광명=김병화기자

광명시, ㈜노루페인트 악취사고 재발 ‘환경안전지킴이’ 구성

광명시는 환경안전지킴이를 구성, 지난해 9월 악취사고를 유발시킨 ㈜노루페인트 안양공장을 방문했다고 15일 밝혔다. 환경안전지킴이는 ㈜노루페인트 악취사고 피해지역 주민과 환경단체 등으로 구성됐으며 이는 지난달 12일 소하2동주민센터에서 실시한 ㈜노루페인트 환경영향조사 및 위해성평가 연구용역에 대한 주민설명회에서 시민과의 약속으로 이뤄졌다. ㈜노루페인트 안양공장을 방문한 환경안전지킴이는 사고 시설인 에폭시 시설의 안전 상태를 확인했고 향후 환경안전사고 방지대책 강구를 강력히 촉구했다. 또한, 이들은 앞으로 같은 사고가 재발되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사고현장을 방문, 재발방지와 감시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이와 같은 사고 재발방지를 위해 정기적으로 환경안전지킴이와 감시활동을 추진하고 피해 접수자들이 정신적 피해보상을 요구할 경우, 협의체 구성과 법률상담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 주민설명회 후 소하12동주민센터와 시청 환경관리과에 2차 악취사고 피해자 신고접수센터를 개설, 추가 접수된 피해자에 대한 적극적인 조치를 요구했다. 광명=김병화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