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겉모습만 보고 판단하지 말자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지 말자 최진실<수원 영일초등3> ‘메주도사’에는 10가지 짧은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이야기 속에는 많은 교훈도 들어 있습니다. 욕심내지 말자, 탐내지 말자, 돈만 생각하지 말자, 도둑질을 하지 말자, 나무를 잘 기르자 등 많습니다. 이 중에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지 말자’인 메주도사 이야기도 있습니다. 메주도사는 선비가 많은 주막집에 허름한 차림으로 들어왔습니다. 선비들은 허름한 메주도사를 내쫓아야겠다고 생각을 했는데, 메주도사가 선비들의 마음을 꿰뚫어 보고 골려준 내용입니다. 선비들은 메주도사를 무시했습니다. 나도 2학년때 겉모습만 보고 무시한적이 있습니다. 그 아이는 공부도 못하고, 체육도 못하고, 매일 돌아다니는 아이였습니다. 선생님께서도 너무 속이 상하셨는지 그 아이는 내버려 두어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놀리지는 않았지만 마음속으로 무시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 아이가 불쌍하기도 했고 공부도 잘하고 선생님 말씀도 잘듣는 아이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들의 행동이 그 아이를 나쁜길로 가게 만들지도 모릅니다. 이제부터는 아이들을 무시하지도 말고 공부를 못해도 같이 놀아야겠습니다.

[논설문]여행인의 예의를 갖추자

여행인의 예의를 갖추자 윤하경<수원 호매실초등3> 우리는 하루하루를 바쁘게 살아간다. 그러다보면 어디론가 떠나서 자유롭게 여행하기를 원한다. 여행은 편안한 휴식과 새로운 환경을 통한 체험을 주며, 소중한 추억도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이렇게 우리들에게 살아가는 힘과 즐거움을 주는 여행을 의미있게 하기 위해서는 어떤 자세가 필요한지 알아보자. 첫째, 여행하기 전에 목적을 가져야 된다. 여행을 가기 전에 기대감 때문에 왜 여행을 하는지의 목적을 잊어버린다. 그렇기 때문에 그 전에 내가 왜 여행을 가는지 생각하여 본다. 계획성이 없다면 놀다오는 휴가와 같아진다. 둘째, 여행하는 곳의 문화와 특징을 알아본다. 여행을 하기 전에 미리 알아보지 않고 떠난다면 방문을 하였을 때 당황하게 된다. 그러나 여행지의 문화와 특징을 알고 떠난다면 내가 어느 곳을 다녀갔는지 확실하게 기억할 수 있고 돌아와서도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눈으로만 체험하고 문화재를 훼손하지 않는다. 새로운 곳을 여행하면 신기하고 아름다운 것이 많다. 그러나 다음에 나처럼 방문할 사람을 위해서 눈으로만 감상하는 예를 가져야 하겠다. 여행은 놀고 즐기는 휴식이 아니다. 책으로만 배웠던 내용을 교실을 떠나 더 생동감 있게 직접 보고 느끼는 연장수업이다. 여행지에서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생각하며 행동한다면 여행의 참맛도 느낄 수 있고, 다음 방문에도 환영을 받을 것이다.

[논설문]더불어 살아가요

더불어 살아가요 한경민<수원 칠보초등2> ‘백짓장도 맞들면 낫다’라는 속담이 있다. 가벼운 종이 한 장이라도 맞들면 힘이 덜 드는 것처럼 힘든 일도 힘을 합치면 쉬워진다. 이처럼 어울려 살아가기 위해서는 도우며 살아야 한다. 진심으로 남을 돕는 올바른 자세는 어떤 것일까? 첫째, 돕는 마음에는 정성이 있어야 한다. 똑같은 돈을 내더라도 남들이 내니까 같이 덩달아 내는 것은 의미가 없다. 그러나 작은 돈을 내도 남을 위하는 마음이 있다면 그것은 의미가 있는 것이다. 둘째, 남을 존중해야 한다. 남을 도울 때는 내가 잘났으니까 도와주는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나도 소중하지만 내 도움을 받는 친구도 소중하기 때문이다. 셋째, 힘과 용기를 갖도록 격려해준다. 비록 지금은 가난하지만 열심히 노력하며 꿈을 이룰 수 있다고 격려해 준다. 남을 도와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친구가 용기를 갖고 응원해 주는 것은 훌륭한 일이다. 우리들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다. 이웃과 도와가며 친절함을 나누고 사랑을 나누워 가져야 한다. 더 나아가서는 사회속에서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과 서로서로 도와가며 살아가야 한다. 모두가 잘 살 수 있도록 도우며 살아가는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자.

[생활문]나는 신선이 되고

나는 신선이 되고…… 유지민<수원 칠보초등4> 지난달 우리 학교 4학년 전체 학생들은 청태산으로 소풍을 갔다. 4,5,6학년은 청태산으로 가고 1,2,3학년은 대부도로 갯벌체험학습 을 갔다. 청태산에 도착하자 안내하는 아저씨께서 나무와 풀에 관한 설명을 해주셨다. 아저씨께선 ‘노루오줌’이라는 풀은 신기하게도 뿌리에 서 오줌냄새가 난다고 하셨다. 또 민들레는 외국에서 온 서양민들 레와 우리나라 토종민들레로 나뉘어진다고 말씀하셨다. 서양민들레 는 사계절을 가리지 않고 꽃이 핀다고 하셨고 서양민들레는 꽃에 검은 색깔이 섞인 것이고 토종은 검은색이 없다고 하셨다. 산을 오를 때 아저씨께서 “숨을 크게 들어마시고 흙도 만져보면 서 올라가세요.”라고 하셔서 숨도 크게 쉬고 흙도 만져보니 참 좋 고 흙도 부드러워 기분이 좋았다. 산에는 바위도 많고 바위에 낀 이끼 때문에 넘어질 뻔 하였다. 산을 내려와서 잔디에서 자리를 펴 고 점심을 먹었다. 잔디 가운데엔 큰 바위가 있는데 그곳에서 점심 을 먹고 모여서 체육선생님과 사진도 ‘찰깍’ 찍었다. 산에서 흐 르는 물은 참 맑았다. 모처럼 산에 가서 맑은 공기를 마시고 맑은 물과 풀들을 보고나니 내가 신선이 된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오피니언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