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군 수미마을 농림부 농촌마을대상 연속 대통령상 수상

양평군 단월면 봉상리 수미마을이 농림수산식품부가 주관하는 농촌마을대상 결과 지난해 지평면 가루매마을에 이어 2년 연속 대통령상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수미마을은 봄에는 딸기, 여름에는 물놀이, 가을은 수확, 겨울은 김장 빙어축제 등 다채로운 체험을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지난해 2만7천510명이 찾아오는 양평의 대표적인 체험마을이다. 군은 농촌체험마을을 적극 유치한 결과 지역 전체로 지난 2009년 40여만명에서 시작, 올해의 경우 지난달 현재 165만명이 방문하는 기록을 세우고 있으며 5천명 이상의 체험객을 유치하는 마을도 15곳에 이른다. 군은 지역 내 농촌체험마을 활성화를 위해 (사)물맑은 양평농촌나드리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단체의 마케팅과 컨설팅과 주민교육 등도 이번 성과에 한몫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군 관계자는 양평은 수도권과 가까우면서도 옛 추억의 향수를 느낄 수 다양한 농촌체험마을이 있다며 앞으로도 많은 도시민들이 농촌그대로의 모습을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구상과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상식은 오는 17일 대전 유성구 ICC호텔에서 열린다. 양평=허행윤기자 heohy@kyeonggi.com

‘용문 민속 5일장’ 역광장 주변 이전 추진

양평군 용문면 용문 우회도로 부근에 개설되고 있는 용문 민속 5일장이 용문역 광장 주변으로 옮겨질 전망이다. 이같은 군의 결정은 용문 우회도로 일대에서 발생하는 교통체증과 다문초교 학생들의 통학환경 악화 및 학습권 침해, 주차문제 등 각종 민원 발생에 따른 것이다. 5일 양평군에 따르면 군은 관광과 연계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재래시장(민속 5일장 포함) 개선사업에 주력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 용문파출소와 용문 우회도로 부근에서 개설 중인 용문 민속5일장을 용문역 광장 주변으로 옮기는 사업을 추진중이다. 최근 군은 전문 컨설팅업체에 의뢰해 진행한 조사 결과와 용문 재래시장 상인, 인근 점포 상인들의 넓은 장소 확보에 대한 지적에 따라 이같은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다문초교 학부모회와 용문 교회 등도 용문 민속5일장 장소 이전을 촉구하는 민원을 군에 접수했고, 컨설팅 과정에서도 이전에 대한 주민들의 동의가 이뤄지고 있는 상태다. 여기에 군도 경찰서와 용문 민속5일장 이전에 필요한 도로 점용허가는 물론, 교통시설물 보강 등 행정절차에 대해 발 빠른 협의에 나서고 있다. 재래시장 상인 A씨는 용문 민속5일장과 용문 재래시장이 역세권을 중심으로 모여야 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것이라고 말했고, 용문면 관계자도 용문 민속5일장 이전은 민원 해소는 물론, 중심상권의 이원화를 막고, 주민들의 화합을 이끌어 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용문 민속5일장 이전을 위한 행정지원은 아낌없이 펼칠 것이라며 하지만 일부 반대하는 상인들이 있는 만큼 얼마나 의견차이를 좁히느냐가 이전 성사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평=허행윤기자 heohy@kyeonggi.com

양평군,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계획안 道에 승인 요청

오는2020년까지 양평지역의 단위유역별 목표수질은 BOD(생화학적산소요구량)는 한강E와 한강F가 1.4㎎/ℓ, 흑천A는 0.8㎎/ℓ 등이고 TP(총인)는 한강E가 0.063㎎/ℓ, 한강F가 0.030㎎/ℓ, 흑천A가 0.025㎎/ℓ 등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오염원 삭감을 위한 하수처리장은 내년부터 28곳의 하루당 1만3천557㎥가 증설ㆍ신설되고, 하수관거는 양동ㆍ강하ㆍ양서ㆍ옥천ㆍ서종ㆍ단월면 등 6곳이 정비된다. 양평군은 이같은 내용들을 담은 수질오염총량관리제(오총제) 시행계획안을 경기도에 승인을 요청했다고 5일 밝혔다. 경기도는 팔당수계 7개 시ㆍ군을 포함한 도내 26개 시ㆍ군의 오총제 시행계획안을 검토, 빠르면 내년 2월, 늦어도 내년 상반기 중으로 최종 승인할 예정이다. 이 안은 오염원 삭감 추가대책으로 삼산리, 국수리, 오빈리 등 11곳 하수처리장의 용량을 하루당 3만6천480㎥으로 증설하고 양서ㆍ양평ㆍ서종하수종말처리장의 BOD 방류수도 하루당 2만5천40㎥을 증설하는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그러나 오염원 삭감 계획이 축산오염원 자원화(89.8%)에 과도하게 몰린 점은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았다. 하수처리율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기초시설 신ㆍ증설 비율은 7.2%이고 하수관거 정비 1.5%, 방류수 수질개선 1.4% 등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이번 안은 인구 전ㆍ출입이 아닌 출생과 사망 등을 감안한 인구의 자연 증감과 개발부하량 등을 기준으로 산정한 것이라며 국ㆍ도비 재원 확보가 관건인 하수관거 정비사업은 환경사업소가 발주해 추진하고 있는 하수도기본계획 용역을 완료하는 내년쯤 구체적인 방안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양평=허행윤기자 heohy@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