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도 반납… 수해복구에 ‘안간힘’

지난달 내린 집중호우로 막대한 재산 피해를 입은 광주시와 가평군이 수해복구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15일 광주시에 따르면 전 직원이 휴가를 중지하고 피해조사와 함께 굴삭기와 펌프, 폐기물차 등을 피해현장에 투입하는 등 복구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특히 특별재난대책지역으로 선포돼 복구비용 중 지방비 부담액의 50~80%를 국고 지원받을 수 있어 수해피해 복구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시는 곤지암천 개수공사 예산 242억원이 확정됨에 따라 4㎞의 제방축조 공사와 경수교 재가설공사 등을 내년 우기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또 시민의 날 행사, 남한산성 문화제 등 크고 작은 문화행사를 취소 및 축소해 확보한 예산 10억여원을 수해복구사업에 긴급 투입키로 했다.조억동 광주시장은 하루빨리 시민들이 안정적인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복구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시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만큼 내년 우기전까지 모든 공사를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가평군도 지난 달 내린 집중호우 피해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신속한 수해복구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군은 일반지역 피해규모 기준의 2.5배 이상인 227억원의 대규모 재해가 발생, 피해복구에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나 특별재난지역으로 확정됨에 따라 피해복구비용 중 지방비 부담액의 50~80%를 국고에서 지원받아 재정부담 경감 및 신속한 피해복구가 기대된다. 군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됨에 따라 을지연습 대상에서도 제외돼 가용인력과 장비를 총 동원, 피해시설 복구에 나서고 있다.가평광주=고창수한상훈기자 chkho@ekgib.com

코레일 수도권본부 수해복구 동참

코레일 수도권동부본부(본부장 방창훈) 가평관리역 너나들이 봉사회가 계속되는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어 응급복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민을 위해 대대적인 수해복구 봉사활동을 전개해 주민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가평역을 비롯 청평, 마석 등 7개역 직원들로 구성된 너나들이 봉사회원 50여명은 지난 8일부터 5일간 자라섬을 비롯 가평지역의 농로유실로 농경지 피해를 입은 농촌지역을 찾아다니며 장비로 할 수 없어 인력이 필요한 곳을 선정 집중적으로 봉사활동을 벌였다.지난 10일 가평읍 자라섬을 찾은 봉사회원들은 침수로 떠내려 온 각종쓰레기 및 오물을 수거하는 한편, 농로가 유실되어 농경지 피해를 입은 가평읍 지역에 투입되어 모래주머니로 무너진 농로를 복구시키고 배수로를 설치하는 등 일손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민들의 시름을 달래주는 등 농민들로부터 칭송을 받았다.농민 정모씨(75가평읍 읍내리)는 지난 30일 집중호우로 농로가 유실되고 농경지가 피해를 입어 복구에 엄두도 못 냈는데 코레일 직원들이 모래주머니를 쌓아 농로를 복구하고 배수로를 설치해줘 정말 고마웠다며 은혜를 잊지 않겠다고 말했다.가평=고창수기자 chkho@ekgib.com

북한강 복장리에 와인벨리.캐릭터 단지

가평군이 가족형 관광단지 조성을 위해 북한강 주변의 와인벨리 및 캐릭터 단지를 추진한다. 10일 군에 따르면 군은 북한강 주변의 아름다운 경관을 관광벨트화해 관광체험학습 등 다양한 콘텐츠를 갖춘 배후거점 관광지 조성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이를 위해 군은 지난 2월 한국관광공사와 공동추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이에따라 군은 가평읍 복장리 일원 2만9천㎡의 예정부지에 와인벨리 및 캐릭터단지를 조성, 새로운 관광컨텐츠 개발과 관광인프라를 구축하고 자연과 문화가 살아 숨쉬는 녹색수도를 조성키 위해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와관련 군은 10일 군청 회의실에서 이진용 군수를 비롯해 한국관광공사, 철도공사, 용역사, 참여업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중간보고회를 가졌다.이자리에서 참석자들은 사업예산계획 및 단체별 추진계획, 녹색문화 체험관, 계획변경내역 등을 보고한 뒤 기초관광지를 보완했다.  이와 함께 경춘선 복선전철 개통으로 폐쇄된 기존 가평역사 주변에 조성된 캐릭터단지 조성사업 타당성 조사계획을 보고하고 향후 추진방향을 협의했다. 군 관계자는 가족형 관광단지 조성을 위한 북한강 주변의 관광벨트화 사업은 지역의 관광붐을 일으킬 것이라며 이를 통한 지역경제활성화가 기대된다고 말했다.가평=고창수기자 chkho@ekg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