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에 젖는 ‘만화 바다’ 부천에서 함께 즐겨요

국내 최대의 만화축제인 제18회 부천국제만화축제(위원장 박재동)의 개막식이 12일 한국만화박물관 상영관에서 열렸다. 이날 오후 4시부터 진행된 개막식에는 김만수 부천시장을 비롯, 김문호 부천시의회 의장, 원혜영 만화를 사랑하는 국회의원 모임 공동대표, 김경협 국회의원, 윤태용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콘텐츠산업실장, 멜리사 사일라 주한 핀란드대사관 일등서기관, 야나 할로우프코바 주한 체코 부대사, 미하엘라 리 체코문화원장, 중국 옌타이시 즈푸구 인민정부 차오동후이 부구장, 중국 웨이하이시 인민 대외우호협회 쑨청공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또 만화가 김산호, 손의성, 권영섭, 박기준, 조항리, 윤준환, 이두호, 김마정, 이소풍, 허영만, 김동화, 최신오, 이현세, 장태산 작가와 이충호 한국만화가협회장, 김광성 우리만화연대회장, 조관제 카툰협회장, 장동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장, 최금락 한국스토리작가협회장과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이희재 이사장 등 만화인과 만화애호가, 만화를 사랑하는 주요 관계자들이 함께했다. 개막식 식전 행사로는 만화축제열차와 캐릭터 퍼레이드가 진행됐으며, 17사단 군악대와 캐릭터 인형 20개, 코스튬플레이어 100명 등 총 150여명이 축제 현장을 돌며 축제의 시작을 알렸다. 개막 퍼포먼스 공연으로는 세계적인 드로잉 아티스트 김정기 작가와 루브르미술관 전시로도 잘 알려진 벨기에 작가 베르나르 이슬레르가 함께 펼치는 디지털 드로잉쇼도 펼쳐졌다. 또한 드론이 날아다니며 행사장 이모저모를 담아 영상으로 소개됐다. 오는 16일까지 5일간 진행되는 이번 축제는 한국만화영상진흥원과 부천시 일원에서 개최된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기념만화전 만화의 울림-전쟁과 가족 전시가 열리며 세계적인 인기 캐릭터인 무민을 주제로 한 무민70, 시계태엽을 감다, 3040 세대 여성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마스다 미리 작가 특별전 수짱의 공감일기, 고 김근태 의원의 고문 사건을 다룬 박건웅-짐승의 시간 특별전 등 11개 전시가 준비되어 있다. 이밖에도 만화가 사인회, 코스프레 라운지, 만화가 팟캐스트 공개방송 등 다채로운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http://www.bicof.com)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부천=최대억기자

부천시, 시장개척단 참가업체 21일까지 모집

부천시는 관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서남아시아 시장개척에 참가할 기업체를 오는 21일까지 모집한다. 이번 시장개척단은 해당지역의 바이어를 발굴, 수출상담회를 열어 장기적인 판로를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시는 신청업체 중 10개사를 선정해 항공료 50%, 상담장 임차료, 통역원 제공, 현지 교통편 및 시장조사, 바이어 발굴 및 알선 등을 지원한다. 기업체는 항공료 50%와 체재비를 부담하면 된다. 파견기간은 10월 31일부터 11월 9일까지 7박 10일간이다. 참가 지역별 유망품목은 파키스탄(카라치)의 경우 염료, 합성수지, 자수기계, 굴삭기, 의료용 진단장비, 냉연강판, 발전기, 계면활성제, 자동차부품 등이다. 인도(첸나이)는 초음파영상진단기, 솔라패널, 굴삭기, CCTV, 치아임플란트, 반도체, LED, 인쇄회로, 기어박스, 유압브레이커, 포장기계 등이며, 스리랑카(콜롬보)는 발전기, 인쇄기기, 건설기계, 전등 및 부품, 컴퓨터 및 부품, 농업기계, 가전제품, 화학약품 등이다. 희망기업은 신청서와 함께 주요품목상세서, 사업자등록증 사본, 특허/ISO 등 국내ㆍ외 인증, 벤처기업지정, 전년도 표창 등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참가를 원하는 관내 기업은 부천시 홈페이지 (www.bucheon.go.kr) 또는 비즈부천(www.bizbc.or.kr)을 참고하면 된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시 기업지원과 통상진흥팀(032-625-2761)으로 문의하면 된다. 부천=최대억기자

“중동특별계획1구역 매각 공론화 먼저”

부천시의회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우지영 의원은 11일 중동특별계획1구역(시유지) 매각과 관련, 민주주의 절차는 생략, 소수 지배의견은 다수로 둔갑됐다며 1인 성명서를 발표했다. 우 의원은 부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중동특별계획1구역 매각의 사태를 겪으면서 의회주의의 폭거와 정치의 실종을 목격했다며 시는 공론의 장을 닫아 정책설명도, 의견수렴도, 설득도 제대로 하지 않았고, 시민을 배제하고 외면, 시유지 매각만이 재정확보, 통합매각 무산은 부분매각, 부분매각은 난개발이란 논리로 매각을 강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시유지 매각 관련 시 자체 여론조사 결과 부천시민 76%가 반대하고 있고, 설훈 국회의원 여론조사 결과에서는 원미구(을) 주민들 55.6%가 시유지 매각에 대해 모른다고 답했다며 또한 알고 있는 주민들 중 57%는 재검토를 요구, 여기에 시민사회, 민주진보그룹에서도 일제히 반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 의원은 시는 매각을 통한 민자개발이 아니라 직접개발을 포함한 지속가능한 공영개발을 통해 개발 이익과 운영 수익을 시민에게 돌려주는 방법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LH나 경기도시공사와 함께 공공성과 수익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공영개발 방식으로 시유지를 개발하는 것도 하나의 안일 수 있다. 물론 이 역시도 공론이 먼저다고 촉구했다. 부천=최대억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