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산마을 주민들 “DMZ도 아니고…”

동두천 걸산마을 우회진입도로 개설사업이 미군 측의 공여지 사용협의 지연으로 8개월째 중단된 가운데 이번에는 미군 측이 걸산동구역 영외지역 공여지 전체에 대한 반환협의 방침을 정해 사업 추진 여부가 불투명해졌다.16일 시에 따르면 시는 미군부대를 통과해야 마을로 진입할 수 있는 걸산마을 주민들이 미군부대를 거치지 않고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6억9천만원을 들여 광암동 쇠목사격장과 걸산마을을 잇는 우회진입도로(3.4km)를 개설키로 하고, 지난 3월 착공했다.시는 우회도로를 삼림욕과 산악자전거, 걷기대회 등 다목적도로로 활용할 계획이었다.그러나 그동안 두 차례 현지실사를 벌였던 미군 측이 군사시설 노출을 우려해 도로를 군부대 울타리로부터 50m 이상 이격시켜줄 것을 요구, 사용협의에 동의하지 않으면서 공사가 진행되지 못해왔다.특히 미군 측은 지난 7월 집중호우로 산사태 피해를 입은 이 지역의 복구를 위한 진입로 개설공사까지 중지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이런 가운데 미군 측은 최근 국방부 산하 국방시설본부(SOFA시설구역 분과위원회)와 쇠목 걸산동구역 영외지역 전체공여지에 대한 반환협의를 진행키로 방침을 정하고, 11월 중 협의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시는 미군 측에 산사태 피해복구와 산불방지, 숲 가꾸기 사업 등을 위한 임도의 필요성과 진입도로 개설의 불가피성을 설명하는 한편, 신속한 사용협의를 적극 요청하기로 했다.시 관계자는 지난 7월 집중호우로 발생한 산사태로 피해복구가 시급한 상태지만, 미군 측이 협조하지 않아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며 산사태 피해복구를 위해 불가피한 진입도로 개설의 필요성을 적극 설명하고, 신속한 사용협의를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동두천시 보산동 캠프 케이시 외곽에 있는 걸산마을은 한국전쟁 당시 미군의 주둔으로 주민들이 부대 뒤에 자리를 잡게 되면서 외부와 통로가 끊긴 채 형성된 마을로, 외부인이 출입하려면 미군부대를 거쳐 신원확인을 받아야 한다.동두천=한성대기자 hsd0700@ekgib.com

동두천 한우 전국한우능력평가대회 국무총리상 수상

동두천시 상패동 우이농장 이은석(41)씨가 지난 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전시장에서 열린 전국 한우 능력평가대회에서 영예의 국무총리 상을 수상했다. 이씨는 또 한국종축개량협회장이 주는 특별상도 함께 받았다.한우산업 원동력은 한우개량으로부터라는 슬로건 아래 전국 84개 농가에서 출품된 수소 거세 우 168두를 대상으로 육질부문과 농장관리부문을 심사한 이번 대회에서 이씨는 국무총리 상과 특별상을 받아 300만원의 상금을 받았다. 이은석씨는 지난1994년부터 한우사육을 시작, 현재150두의 한우를 사육하는 전업규모의 농장이다.이씨는 부친의 대를 이어 한우농장을 경영하고 있으며 부친 이용하(74세)씨도 경기도에서 실시한 한우고급육평가대회에서 2002년, 2004년, 2005년도 연거푸 대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어 명실상부한 고품질 한우를 사육하고 있는 전통의 명문 농장이다.이씨는 동두천시에서 경기한우 명품 화 사업으로 한우등록비, 인공수정비,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사업으로 사료작물 종자 비, 곤포 사일리지 제조비, 비료 비, 축산환경 개선사업으로 미생물 제 구입비, 축산분뇨 자원화사업으로 톱밥구입비 등을 지원받고 있다며 특히 한우의 고급육 생산을 위해 사료 전문 컨설팅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사양관리 지도로 최고 품질의 사료를 공급해 좋은 결과를 얻은 것 같다.고 말했다.동두천=한성대기자 hsd0700@ekg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