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지역 서울시 기피시설 자진철거

속보고양시가 지역내 서울시 운영 불법기피시설에 대한 행정대집행을 통보한 것과 관련(본보 12일자 1면, 25일자 1면) 시설 운영자인 서울시와 11개 자치구가 일부 자진 철거에 나섰다.25일 시에 따르면 덕양구 도내동 서울시 11개 자치구 청소차량 차고지내 불법시설물 55건 중 은평구가 최근 정자와 창고용 컨테이너, 미화원 사무실 등 5건의 불법시설물을 철거한데 이어 나머지 20건도 이달 중 철거할 예정이다. 서대문구는 불법시설물 6건을 자진 철거했으며 종로구 등 나머지 9개 구청도 고양시가 행정대집행을 통보한 다음달 6일까지 이전하거나 철거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도 직접 운영하는 난지재생물센터 내 불법 시설물 전체에 대한 철거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소규모 불법시설물이나 적치물은 철거해 고양시와의 불필요한 마찰을 피할 방침이라며 서울시립승화원 등 고양시내 역외기피시설 전반에 대해서도 장기적으로 이전하거나 개보수를 통해 주민 피해를 줄이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 구청은 일부 시설물은 반드시 필요한 청소시설물이라며 원상복구에 난색을 보였다. 은평구는 이날 고양시에 보낸 공문을 통해 업무상 반드시 필요한 운전원 사무실과 쓰레기 하차대 등 3건에 대해 2014년 말 완공 예정인 은평환경종합센터로 이전할 예정이라며 센터 완공시까지 행정조치를 미뤄 달라고 고양시에 요청했다. 고양=박대준기자 djpark@ekgib.com

평택시, 삼성전자 협력업체 부지로 공급

市 330만㎡ 필요한데 배정된 물량 이미 다 써평택시가 삼성전자의 협력업체들에게 제공할 부지 마련을 위해 조성사업이 부진한 일부 산업단지의 물량환수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25일 평택시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지난 해 12월23일 고덕국제도시 내 부지 395만㎡에 입주키로 결정함에 따라 협력업체 부지(330만㎡ 이상)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미군기지특별법의 수혜로 배정받은 평택의 산업단지 물량(1천419만㎡)은 지난 20072009년에 모두 배정해 더 이상 물량이 없기 때문이다.이에 따라 시는 ㈜에코가 고덕면 일대에 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132만㎡)를 조성키로 지난 2009년 2월 시와 양해각서(MOU)를 체결만 한 채 현재까지 산단계획승인을 신청조차 않은 부지를 환수할 방침이다.또 평택지역에서 현재 추진 중인 10곳(총 면적 18.19㎢)의 산업단지 조성사업 가운데 추진이 지연되고 있는 사업들의 물량을 추가로 환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진위면에 들어설 예정인 Kdb유토플렉스 산단(214만5천㎡)과 포승읍 만호리의 한중테크밸리 산단(132만㎡), 청북면 율북리의 신재생 산단(135만여㎡) 사업은 물량만 배정받은 채 현재까지 실시계획승인조차 받지 못한 상태다.이에 시는 시행사의 투자문제 등으로 일부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어, 지역발전과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현행 산업단지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사업취소 또는 시행사 변경 등을 검토 중이다.시는 삼성전자와 입주협약을 맺은 지난 해 12월에도 실시계획승인이 나지 않은 3개 산단 시행사에게 이례적으로 해당지역 주민들의 재산권 침해 등을 이유로 조속한 시행을 촉구하는 공문까지 보냈다.산단조성 참여 시행사들은 시가 초기단계인 산단조성 사업의 조기시행을 재촉하는 것은 삼성전자의 고덕국제화도시 내 입주결정에 따른 파장 때문이라며 지역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마련했다는 시의 산단조성 사업계획이 대기업을 위해 중소기업을 밀어내는 형국으로 변질됐다고 지적하고 있다.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개발 추진이 어려운 (산단)사업을 정리해 지역경제에 큰 이득을 가져올 수 있는 삼성전자의 협력업체에 부지를 제공해주면 가장 이상적이라고 말했다. 평택=김덕현기자 dhkim@ekgib.com

안성시민 64% “맞춤랜드 전면 재검토”

안성맞춤랜드 사업 전면 재검토와 시외버스 터미널 정상화, 터미널 주변 개발 및 투자 등이 지역 주요 현안으로 꼽혔다.25일 안성시민연대에 따르면 지난 21일 시민 1천명을 대상으로 2010 안성시 주요 현안에 대한 5개 항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371명)의 64%가 안성맞춤랜드 사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응답했다.이번 여론조사 방법은 폐쇄형 질문항목에 대한 전화 설문으로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4.83%다.시가 해결해야 할 가장 큰 과제로는 시외버스터미널 정상화(50%), 안성신도시 개발사업(29%), 안성맞춤농협 정상화(13%), 안성맞춤랜드 사업 정상화(8%) 등을 꼽았다.터미널 해결 방안으로는 터미널 주변 개발과 투자를 해야한다(48%), 터미널 이전(43%), 터미널 사업자 지원(9%) 등으로 나타나 시민 다수가 사업부지를 부정적으로 평가했다.특히 안성맞춤랜드 사업 정상화 방안으로는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응답이 64%로 가장 많았으며 원안대로 추진(25%), 세트장 중심으로 계속 추진(11%) 등을 주문했다.또 안성맞춤농협과 관련, 농민들에게 도움이 안되므로 해산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44%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구조개선과 감시기능 강화로 활로 모색(33%), 시의 지원(23%) 등이 그 뒤를 이었다.이 밖에 안성신도시 개발에 대해서는 사업을 재 검토하고 도시계획을 새로 세워야 한다(46%), 빨리 추진(45%), 사업취소 후 주민피해 보상 실시(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안성=박석원기자 swpark@ekg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