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선전철 부발역구간 교량화 요구

이천시를 통과하는 성남~여주 복선전철 8공구인 부발역사구간 성토와 관련해 주민들이 교량화(고가화)를 요구하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23일 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성남~여주 복선전철사업(57㎞) 부발역사구간 중 현재 시 부발역세권계획(111만㎡)의 중간부를 가로지르는 1.4㎞ 구간이 지상 10m 높이로 흙으로 성토하도록 설계돼 있다.주민들은 성토방식으로 철로건설이 이뤄질 경우 지역단절과 도시개발 여건을 악화시킨다며 반드시 교량화로 시행돼야 한다는 주장이다.또 시가 계획하고 있는 부발역세권 개발사업의 차질이 불가피하고, 현재 설계상으로 아미~신하 간 소통할 수 있는 도로는 4차선 도로 1개와 농로박스 2개가 전부라고 강조하고 있다.주민들은 성토방식으로 건설될 경우 마을이 완전히 단절되고 지역발전에 막대한 지장과 마을환경에 큰 저해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부발정거장 이용에 큰 불편이 따른다고 덧붙였다.시는 지난해 10월부터 수차례에 걸쳐 주민들의 요구를 국토해양부와 철도시설공단, 청와대 등 관계부처에 건의했으나 국토부로부터 추가비용 114억원을 시가 부담하면 가능할 것임을 통보받았다.그러나 시는 국책사업인 만큼 자치단체에서 부담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주민 최모씨(52아미1리)는 만약 1.4㎞ 구간의 교량화가 어렵다면 판교기점 43.3~43.6㎞ 구간인 300m(아미리 458 일대)만이라도 교량으로 설계변경해 달라고 호소했다.한편 시는 10억여원의 용역비를 들여 부발역세권 제1종 지구단위계획을 수립, 추진할 계획이었으나 성토와 교량화 계획이 결정되지 않아 현재 용역이 중단된 상태다. 이천=임병권기자 limbk1229@ekgib.com

이천, 살처분 보상 ‘2천억’...한우 2천·닭 40만마리 등 ‘50% 선지급’

이천지역의 구제역 살처분 피해농가와 AI(조류인플루엔자) 피해농가의 보상금이 2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17일 이천시에 따르면 구제역 이동제한이 해제된 이후 지난 14일까지 살처분 피해농가 보상금과 생계안정자금, AI 보상금 등 658억여 원이 가지급됐다. 살처분 보상금은 360농가 62억 원이, AI 보상금은 17농가 24억 원이 각각 가지급됐으며 생계안정자금은 177농가 11억여 원이 지급됐다.지역 내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한우는 2천254두, 젖소 5천638두, 돼지 36만8천여두, 닭 40만수에 달했다. 보상금은 한우가 두당 400만 원, 젖소 200만 원, 돼지 35만 원, 닭은 수당 1천300원으로 책정된 점을 감안, 총 보상금은 2천억여 원에 달할 전망이다.살처분 보상금은 해당 가축시세를 기준으로 책정됐으며 총 보상금의 50% 이내에서 우선 지급했다. 또 살처분 농가의 수익 재발생 때까지 생계를 지원(국비 70%. 지방비 30%)하는 생계안정자금은 적게는 몇 만 원에서 많게는 사육규모에 따라 700만 원까지 지급할 예정이다.대월면 L모씨는 현재 살처분 보상금을 50%만 임시 지급금으로 받았으나 나머지 보상금을 정산할 때 두가 아닌 ㎏에 따라 보상이 차등 지급돼야 한다고 말했다.시 관계자는 정확한 보상금 규모를 알 수 없지만, 나머지 살처분 보상금을 오는 6월 말까지 정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한편 최종 정산 때 가축전염병예방법 이행 기준에 따라 보상금이 차등 지급될 것으로 알려져 축산농가와의 갈등도 예고되고 있다. 이천=임병권기자 limbk1229@ekg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