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시·산림청 임야 빅딜 ‘쉬쉬’ 한마디 상의도 없이… 성난 민심

이천시가 모가면 소고리에 농업테마파크를 조성하면서 장호원 백족공원부지 인근 임야를 산림청에 넘겨 준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논란을 빚고 있다. 산림청의 소유권 주장으로 백족공원이 완공되더라도 공원 구실을 제대로 할 수 없는데다 기존 등산로 이용마저 제약을 받는 등 불편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8일 이천시와 장호원 주민들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3년 7월 이천시 모가면 소고리에 15만460㎡ 부지에 농업테마파크를 조성하고 일반에 공개했다. 당초 시는 테마파크 부지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산림청 소유 부지를 넘겨 받기 위해 지난 2010년 7월 장호원 진암리 산 112 일대 40만㎡ 시유지 중 22만910㎡ 임야를 맞교환하는 방식으로 산림청에 넘겨 줬다. 장호원 진암리 산 112 일원은 시가 지난 3년 전부터 추진해 온 장호원 백족공원 사업부지를 포함하고 있는 곳으로 산책 및 등산로가 조성돼 주민들의 이용이 잦은 곳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이 수년간 알려지지 않다 최근 장호원 JC회원들이 등산로 주변에 벤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드러나 주민들이 집단 반발하고 있다. 공사 과정에서 산림청이 소유권을 주장하며 이를 가로 막아 한바탕 소동을 빚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시의 재산관리 등 관련 정책을 성토하며 현수막 게시 등 집단 항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장호원에 거주하는 안모씨는 진암리 일대 20여만㎡가 40년 가까이 공원부지로 묶인 채 개발이나 해제 계획조차 수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또 다시 문제가 불거져 주민들의 불만은 이만저만이 아니다면서 모가면 잔치에 장호원 돼지를 잡아먹는 식의 꼴로 밖에 비춰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테마파크 부지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112 일대 40만㎡ 임야 중 22만여㎡를 분할, 산림청에 넘겨준 것은 맞다면서 이 경우, 주민들의 공람 사항은 아니고 시의회 사전보고 등의 방법을 거쳐 진행됐다고 밝혔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구인-구직… 원스톱 매칭 ‘일등공신’

구인, 구직 우리에게 맡겨 주세요. 이천시 14개 각 읍면동에 배치된 이천시 직업상담사들이 맞춤형 일자리 창출에 올인하고 있다. 지난달부터 각 읍면동에 포진돼 취업전선 전방위 활동에 나선 이들은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일정을 보내고 있다. 기본적 상담에서부터 취업행사와 이력서 작성 지원 그리고 동행면접에 이르기까지 취업 도우미로 역할 수행에 정신이 없다는 직업상담사들. 이들의 열정 탓에 상담을 받은 구직자들이 취업 성공으로 이어지는 등 성과가 잇따르고 있다. 관고동에 거주하고 있는 60대 남성은 고령으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다가 지난달 말께 직업상담사의 도움으로 이달 초부터 아파트 경비원으로 일하게 됐다. 또 자녀 양육을 이유로 주 4일 근무에 오전 10시 출근, 오후 5시 퇴근이라는 까다로운 조건을 내건 중리동의 30대 주부는 이달 초부터 로터리클럽 사무직으로 출근하게 됐다. 이들의 취업에는 직업상담사들의 도움이 절대적이었다. 직업상담사 기본 역할은 구인기업구직자를 대상으로 상담을 통한 일자리 알선이다. 물론 취업 프로그램 및 특강 안내, 채용행사 등 각종 취업지원 안내도우미로 역할을 빠뜨릴 수 없다. 이뿐 아니다. 이력서, 자기소개서 작성 컨설팅에다 직업선호도 및 적성테스트 지원, 동행면접에 이르기까지 취업 원스톱 서비스도 이들의 몫이다. 때문에 한가할 시간이 없다. 신둔면 직업상담사 박영미씨는 구인구직의 최일선 도우미로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면서 일자리를 찾는 많은 시민이 창구를 찾아 상담하고 더불어 좋은 직장을 찾아 행복하게 일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천시는 지난 2010년부터 일자리센터를 운영하면서 지금까지 1만9천546명에 일자리를 알선, 이중 1만2천94명이 취업에 성공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지난해 경기도 일자리센터 운영평가에서 31개 시군 가운데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차지했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