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곡첨단산단 재추진 되나

군포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사업 포기로 어려움을 겪는 군포시 부곡첨단산업단지 조성사업을 민간사업자 공개모집을 통해 재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28일 시에 따르면 시는 그동안 경기도시공사를 비롯해 도내 지자체 도시공사에 사업참여 의사를 타진했으나 긍정적인 답변을 얻지 못했다.이에따라 시는 현재 부곡첨단산업단지 조성사업에 관심을 보이는 민간기업과 공기업과도 적극적인 접촉을 계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그러나 시는 적극적인 추진에도 불구, 참여 의사를 보이는 공기업이 더 이상 없다면 공개모집을 통해 사업자를 선정후 사업추진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시는 부곡첨단산업단지 일원에 대한 국토부의 개발제한구역 해제안 결정고시가 이뤄지면 일반산업단지 계획입안을 거쳐 주민공람,합동설명회,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내년 상반기 중 산업단지 승인을 받을 예정이다. 이와 함께 산업단지 사업을 추진할 민간주체를 공개모집을 통해 선정하고, 사업을 전담할 특수목적법인(SPC)도 설립할 계획이다.사업추진에 필요한 자금은 PF등을 통해 조달할 예정이며 계획대로 사업추진이 이뤄지면 2015년까지 산업단지를 준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한편 부곡동 522번지 일원(0.264㎢)에 조성될 예정인 부곡첨단산업단지는 지난 1월과 7월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와 국토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군포=이승환기자 leesh@ekgib.com

“‘제2의 우면산’ 수리산 관통터널 철회를”

최근 집중호우로 큰 인명피해를 입은 서울 우면산 산사태를 거울삼아 수원~광명간 민자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수리산을 관통하는 터널 계획이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수리산관통터널반대범시민대책위(이하 대책위)는 최근 성명서를 통해 우면산에 터널을 건설하면서 인근의 산림을 전부 제거하고 천공을 통해 빗물이 투입되면서 지반이 약화되어 우면산이 붕괴되는 사태가 일어났다고 주장했다.이어 대책위는 우면산은 지난 2004년에 터널을 뚫은 뒤 강남내부순환도로 터널 공사를 강행하면서 산이 만신창이가 된 상태로 우면산 관할 지자체인 서초구도 터널공사가 산사태의 원인으로 인정했다고 말했다.따라서 대책위는 수리산관통 터널을 반대하는 것은 시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고자 하는 시민들의 당연한 권리로 수리산을 만신창이로 만들면 우리를 만신창이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산림청이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인 산사태 위험지 관리시스템은 전국을 최고 위험등급인 1등급에서 4등급까지 표시하는데 관내에 있는 수리산도 1등급 위험지역이 있는 것으로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포=이승환기자 leesh@ekgib.com

군포문화원 ‘한집안 두살림’ 눈총

군포문화원이 내부갈등이 심화되면서 이원화로 운영되고 있어 눈총을 사고 있다.문화원 이원화는 송모 전 원장과 문모 전 사무국장의 업무상 횡령으로 지난해 8월 벌금형을 선고받음에 따라 시가 문화원의 인사규정대로 문 전 사무국장의 징계 요구로 불거졌다.문화원 이사 11명은 문 전 사무국장에 대한 시의 징계요구가 부당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이로인해 시 예산지원이 중단된 채 문화원을 운영하고 있다.반면, 박계일 부원장은 정관에 따라 지난 3월25일부터 직무대행 체제로 시 지원을 받으며 또다른 문화원을 조직, 운영하고 있다. 문화원 정관(17조)에 따르면 재임중 업무와 관련돼 형사소추가 돼었을 때는 직무가 정지되며 부원장이 직무를 대행한다. 형이 확정되면 원장직이 상실된다.특히 박 대행은 벌금형과 별도로 사문서 위조로 송모 전 원장과 문 전 사무국장을 군포경찰서에 고소했으며 경찰은 지난 6월3일 사문서 위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시 관계자는공무원도 잘못이 있어 기소되면 직위를 해제, 업무를 보지 못하게 하는데 업무상 횡령으로 법금형을 받았는 데도 불구, 문화원 업무를 계속보게 하는 것은 정관을 지키지 않는 억지주장이다고 말했다.한편, 문 전 사무국장은 지난 2007년 6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모두 11차례에 걸쳐 330만원을 횡령한 혐의로 벌금 100만원을 선고 받았다. 군포=이승환기자 leesh@ekg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