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 철쭉대축제의 ‘분홍색 조끼’ 그들은 군포 공무원이었다

지난 1일부터 5일까지 군포 양지공원 일대 동산은 봄기운에 젖은 형형색색에 알록달록한 철축축제가 한창이었다. 흐드러지게 만개한 철쭉을 찾아 군포시민뿐 아니라 외지 관광객들까지 몰리며 일대는 자연과 인간이 한껏 어우러진 그야말로 장관이었다. 하지만 이런 장관을 더욱 빛낸 이들이 곳곳에 숨어있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그리 많지 않다. 철쭉 길을 따라 걷던 기자의 귓등에 한 여성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시민들을 위해 정말 공무원들 고생들 많이 하시네요라는 말이었다. 공무원이 시민들을 위해 봉사하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닌가?라는 평소의 생각에 흘려보내려는 찰나 두눈에는 또다른 장관이 들어오고 있었다. 쓰레기를 줍고 행사장을 돌아다니며 안전시설물을 점검하고 하는 모양새가 청소부와 다름이 없었다. 그런데 그들은 청소부가 아닌 군포시청 공무원들었다. 분홍색 조끼를 걸친 이는 모두 600여명. 2015 철쭉대축제를 맞아 군포시 공무원 스스로가 자원봉사자를 모집했고 이에 동참한 이들이었다. 한참을 꽃구경에 빠져있던 중년의 한 부부는 쓰레기 집게를 쥐고 있던 한 공무원의 얼굴을 알아보고는 아이들은 잘 크고 있나. 연휴인데 아이들과 쉬지도 못하고 고생이 많네하고 웃음으로 인사를 나누기도 했다. 이들 자원봉사 공무원들의 행사장 정리는 무려 밤 10시까지 이어졌다. 공무원들의 뒷정리는 행사가 마감돼서도 계속됐다. 지난 9일 군포시민 수릿길 가족나들이 행사장에서는 조용히 쓰레기를 줍고 있는 이남구 자치행정팀장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누가 시켜서도 아니고 단지 공무원이라서도 아닐 것이다. 그들 역시 군포시민이자 군포시민의 가족이기 때문일 게다. 그래서 군포시는 가족이 행복한 도시가 맞나 보다. 앞서도 언급했지만 공무원이 시민과 지역을 위해 봉사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이들이 더욱 친밀하고 잘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지켜봐 주는 것은 시민들의 몫이다. 이번 철쭉축제를 기점으로 꽃만큼 화려하고 아름다운 공무원과 시민의 허그가 계속되는 군포시의 모습을 바라본다. 군포=김성훈기자

군포교육센터 기숙사...숙박시설 활용이 해답

군포 철쭉축제 기간에 외국이나 지방에서 온 내ㆍ외빈들이 군포에 숙소가 없어 안양까지 가는 불편함을 매년 겪고 있는 가운데 군포국제교육센터 내 기숙사동 32개실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군포시가 오는 10월 센터의 계약기간이 만료되면서 숙소동을 청소년상담센터와 청소년 카페 등 다른 용도로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타 시군 벤치마킹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0일 시와 시민들에 따르면 수리산로 112에 위치한 토지 2만770㎡, 건축연면적 1만517㎡규모의 군포국제교육센터가 오는 10월4일 위탁기간이 만료되면서 군포시로 귀속될 예정이다. 센터는 교육시설연구시설(교육동, 숙소동), 근린생활시설(상가동)로 구성돼 있으며 숙소동은 2개동 32객실로 원어민 교사들을 위해 샤워실, 세탁실을 겸비한 원룸으로 이뤄져 있다. 시는 지난 2월15일 열린 군포국제교육센터 입주기관 선정(안)활성화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서 이 시설을 가칭 군포 교육문화타운으로 명명하고 교육동에는 책테마관과 가족복지센터, 창의교육문화관(각 1천584㎡)을, 숙소동 A동은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 카페, B동은 창작촌 또는 게스트하우스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또 2차 주무팀장 토론회에서는 교육동에는 여성회관 이전, 정보화 교육장 이전, 예절관 설립 등을 제안하면서 게스트하우스를 배제한 의견을 내놓은 상태이다. 그러나 인근 수원문화재단에서 운영중인 화성 행궁 수원 호스텔의 경우, 유스룸 15실, 양실 12실, 한실 4실 갖추고 있어 학생들이나 외국인들이 자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경기도도 호텔이 부족했던 2000년 초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내에 숙소를 마련해 지역 호텔에 위탁, 외국손님들과 귀빈들이 이용한 사례도 있다. 시민 A씨는 군포에는 모텔종류의 숙박시설밖에 없기 때문에 이번 철쭉축제에 일본에서 온 손님 30명을 안양에서 숙박시켰다며 축제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아직 입주기관 선정이 완벽히 마무리된 것은 아니다며 11일 국ㆍ과장 간담회에서 또다시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군포=김성훈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