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 어린이 교통안전교실 직접 체험 과 커

과천시가 교통사고 예방을 생활화 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찾아가는 교통안전교실이 어린이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어린이들에게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고 다양한 체험교육을 통해 흥미와 재미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교통안전교실은 올 상반기동안 초등학생과 유치원생 등 총 2천여 명이 교육을 받았다. 교육은 위탁기관인 어린이교통 안전 전문기관에서 실내교육과 실외 체험교육으로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3시간 동안 진행된다. 실내교육은 재해안전 교육을 비롯 내 몸은 소중해요,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상황별 안전수칙 등을 시청각 교육을 통해 가르친다. 또 실외 체험교육은 관문체육공원에 마련된 어린이 교통공원에서 횡단보도 건너는 3가지 원칙과 길을 건너기에 안전한 장소 찾기, 주의해야 할 자동차의 특성, 안전하게 차에 타고 내리기 등을 꼬마 전기자동차를 직접 운전하면서 직접 체험하는 방식으로 흥미있게 진행된다. 시 관계자는 이번 교육은 어린이들에게 안전에 필요한 수칙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이론과 현장교육 중심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며 이번 교육을 통해 위험예측 판단능력과 교통사고 대처능력을 키우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ekgib.com

과천 “잠자는 지방세환급금 찾아가세요”

과천지역 납세자들이 과오납 등으로 발생한 지방세 환급금을 수령하지 않은 건수가 4천500여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최근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자주 발생하면서, 관공서에서 발송한 지방세 환급에 대한 안내문도 보이스 피싱으로 오해해 이를 수령하지 않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5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발생한 지방세 환급금은 4천517건에 3천700여만원에 이른다.이 가운데 지방세가 2천349건 1천600여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자동차세 412건 966만원, 주민세 1천437건, 면허세 3건 5만원 등이다.이 처럼 지방세 환급금 미수령 건수가 많아지는 것은 수령액이 1천원에서 1만원 정도의 소액이어서 납세자들이 환급에 대해 별 관심을 갖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특히 환급금을 받기 위해서는 개인통장 계좌번호를 통지해야 하는데 최근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피해사례가 급증하면서 통장 계좌 노출을 꺼려 하는 것도 미환급금이 늘어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이로 인해 시가 환급금 수령에 대한 안내문을 발송하자 관련부서에 전화를 걸어 시청에서 발송한 안내문이 맞느냐 며 확인하는 납세자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지방세 환급금은 통지일로부터 5년이 경과할 경우 지방세 기본법에 따라 환급금 청구권이 소멸돼 자동 국고로 환수된다.시 관계자는 지방세 환급금의 경우 국세와 지방세가 과오납돼 발생하는데 환급금 자체가 소액이어서 납세자들이 수령을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ekgib.com

지방세 환급금 찾아가세요

과천지역 납세자들이 과오납 등으로 발생한 지방세 환급금을 수령하지 않은 건수가 4천500여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자주 하면서, 관공서에서 발송한 지방세 환급에 대한 안내문도 보이스 피싱으로 오해해 이를 수령하지 않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시에 따르면 지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발생한 지방세 환급금은 4천 517건에 3천700여만원에 이르고 있다.이중 지방세가 2천349건에 1천600여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자동차세 412건 966만원, 주민세 1천437건, 면허세 3건 5만원 등이다. 이처럼 지방세 환급금 미수령 건수가 많아지는 것은 수령액이 1천에서 1만원 정도의 소액이어서 납세자들이 환급에 대해 별 관심을 갖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더욱이 환급금을 받기 위해서는 개인 통장 계좌번호를 통지해야 하는데 최근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피해사례가 급증하면서 통장 계좌 노출을 꺼려 하는 것도 미환급금이 늘어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과천시에서 환급금 수령에 대한 안내문을 발송하자 관련부서에 전화를 걸어 시청에서 발송한 안내문이 맞느냐 며 확인하는 납세자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지방세 환급금은 통지일로부터 5년이 경과할 경우 지방세 기본법에 따라 환급금청구권이 소멸돼 환급금은 자동 국고로 환수된다. 시 관계자는 지방세 환급금의 경우 국세와 지방세가 과오납 돼 발생하는데 환급금 자체가 소액이어서 납세자들이 수령을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 며 특히 보이스 피싱으로 인한 피해가 늘어나면서 수령하지 않는 환급금이 매년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hpkim@ekgib.com

무주택 서민 주거안정 맞춤형 주택 공급해야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소득수준과 선호에 따라 주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중소형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을 맞춤형으로 공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일 과천시청 대강당에서 열린 과천시 세입자의 주거안정을 위한 공청회에서 토론자로 나선 김동호 과장(국토부 공공택지기획과)은 과거에는 무주택 서민을 위해 소규모 국민임대주택 공급했으나 저소득층의 주거상향 욕구를 총족시키는데는 역부족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국민임대주택 공급은 계층간 주거분리 현상은 물론 단지의 슬럼화 등의 문제를 초래했다며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득과 선호도 등 계층별 수요에 맞게 맞춤형 공공주택을 공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날 토론자로 나선 여인국 과천시장은 과천시는 무주택 서민들의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매년 주거급여와 전세자금 대출, 주거환경개선사업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 며 이번 과천지식정보타운지구 개발로 인해 과천지역의 많은 무주택 서민들이 내 집 마련 기회를 갖게 됐다고 말했다. 한대희 경기도 주택정책팀장은 과천지역은 쾌적한 주거환경과 서울과 교통접근성 등으로 주거 선호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나 가용토지가 부족해 신규 주택공급이 부족한 실정 이라며 이에따라 과천지역은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부분 임대형 주택 등 신규 저가소형주택 공급을 통해 세입자들의 주거안정을 도모해야 한다는 대안 제시했다. 과천=김형표기자hpkim@ekg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