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포곡읍 마성리 석성산 봉수유적 국가사적 지정 유력

용인시 포곡읍 마성리 석성산 봉수유적이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의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지정 예비 심의를 통과했다. 이후 30일 동안의 예고기간과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의 확정 심의를 거쳐 국가 사적으로 지정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봉수유적은 1423년(세종 5년) 설치됐다. 5개의 봉수 노선 중 부산 다대포에서 지금의 남산인 한양 목면산까지 연결되는 제2로 직봉 노선 중 42번째 내지봉수로 건지산 봉수(처인구 원삼면)에서 신호를 받아 성남 천림산 봉수로 연결된다. 역사·지정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2020년 경기도 기념물 제227호로 지정됐다. 용인특례시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조선시대 봉수의 운영과 관리체계, 봉수군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시설 등을 확인했다. 18세기 축조된 수원화성 봉돈과도 연결돼 수원화성 축성 이후의 봉수체계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석성산 봉수유적의 국가사적 지정이 확정되면 서리 고려백자요지, 보정동 고분군, 심곡서원까지 모두 4건의 국가사적을 보유하게 된다”며 “건지산 봉수도 추가로 지정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용인=김경수기자

이상일 용인시장, 국토부장관에 교통망 확충 등 주요사업 협조 요청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25일 시장실에서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을 만나 시의 발전과 도로·철도 등 교통망 확충에 대한 국토교통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이날 만남은 이 시장이 원 장관과 통화하면서 방문을 요청함에 따라 이뤄졌다. 이 시장은 원희룡 국토부장관에게 용인시 6개 주요사업계획을 설명한 뒤 관련 건의서를 전달했다. 이 시장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옛 경찰대·법무연수원 부지 개발 관련 광역교통개선 대책이 전혀 검토되고 있지 않다. 대책이 꼭 마련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가 꼭 챙겨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처인구 원삼면에 들어설 반도체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용인의 반도체 역량이 한층 더 발전하려면 반도체 고속도로 신설, 원삼으로 이어진 국지도 57호선 확장, 철도 경강선의 용인 연장, 제2 용인~서울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조기 개통 등 도로망이 대폭 확충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원희룡 국토부장관은 “이상일 시장이 용인특례시 발전을 위해 역동적으로 일하는 점을 잘 알고 있다. 특별한 관심을 갖고 돕겠다”라며 “광역교통대책을 세워놓지 않고 개발하면 결국은 지자체만 부담을 떠안게 되고, 시민이 불편해진다. 국토교통부도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답했다. 용인=김경수기자

용인 사이버과학축제 대성황…학생‧시민 3만여명 참여

미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를 내다보고 직접 체험하는 ‘제22회 용인사이버과학축제’가 16일 관람객 3만여명이 찾은 가운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용인사이버과학축제는 유관 기관을 비롯해 초·중·고 및 대학 등이 참여한 가운데 지난 15일부터 이틀간 용인특례시청 광장에서 열렸다. ‘모두가 공감하는, 디지털 축제 한마당’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로봇체험관, loT체험관, VR체험관 등 최신 ICT 트렌드를 반영한 과학기술 체험관 7곳을 운영해 방문객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많은 부스 중에서도 특히 인기를 끈 곳은 행사장 한가운데 설치된 VR(가상현실) 체험관이었다. ‘VR어트랙션 트럭’과 ‘VR 트럭’ 등에선 가상현실기술을 이용해 실제로 하늘을 날거나 롤러코스터를 타는 짜릿함을 맛볼 수 있어 관객들이 대거 몰렸다. 로봇체험관도 인기였다.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봇개 ‘스팟’은 행사장 입구를 누비며 오가는 시민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옆 부스에선 버킷 서바이벌 로봇대회, 로봇축구 대회, 풍선 터트리기 로봇대회 등도 함께 열려 큰 호응을 자아냈다. 드론 레이싱 체험존에선 직접 만든 드론을 대형 드론 레이싱 경기장에서 조종하는 체험을 통해 청소년들에게 만족감을 선사했다. 김민석군(15·처인구 역북동)은 “앉고, 걷고, 뛰는 등 로봇이지만 실제 개와 똑같은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며 “이곳을 둘러보고나선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과학이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내년에는 기술력이 어떻게 달라졌을지 벌써부터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 밖에 경희대, 단국대, 명지대 등 3개 대학교가 재능기부로 운영한 부스와 지역 내 중·고교 과학 동아리의 융합과합체험존은 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과학 체험 등을 선보여 어린이들에게 특별한 즐거움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상일 용인특레시장은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빅데이터, AI, IoT 등을 활용한 정보통신기술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용인사이버과학축제가 올해 22회를 맞았다. 이번 행사를 위해 애써준 관계자들과 교육청을 비롯해 유관 기관 관계자들께 감사를 드린다”며 “오늘 이 자리가 미래 주역인 청소년들에게 과학에 대한 무한한 상상을 펼치는 체험의 장이 되기 바란다. 용인이 반도체 중심의 첨단산업으로 대한민국을 선도할 수 있도록 미래의 주인공인 과학인재 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용인=김경수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