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지역아동센터 운영권 놓고 복지법인 간 갈등

시흥시 위탁 기관인 정왕종합사회복지관 내 운영 중이던 좋은세상지역아동센터 이전과정에서 운영주체를 놓고 사회복지법인 간 갈등을 빚고 있다. 4일 시흥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정왕종합사회복지관 위탁기관이 올해 8월 공모를 통해 사회복지법인 복음자리에서 사회복지법인 열린자리로 바뀌었다. 이후 정왕종합사회복지관 내 운영 중이던 좋은세상지역아동센터 운영권을 놓고 기존 운영주체인 복음자리와 신규 위탁기관인 열린자리가 대립하고 있다. 해당 아동센터는 현재 저소득층 돌봄대상ㆍ장애인 아동 34명이 다니고 있으며 센터장 1명과 생활복지사, 보조교사 등을 포함해 6명이 근무 중이다. 기존 운영주체인 복음자리는 해당 아동센터가 자신들의 법인으로 인가가 나 (자신들이) 운영주체이고 외부 이전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시에 소재지 변경 승인을 신청, 이날자로 이전승인을 받았다는 것이다. 해당 아동센터는 이날로 집기를 옮기고 다음날부터 이전한 곳에서 센터를 열 계획이다. 하지만 신규 위탁기관인 열린자리 측은 해당 아동센터는 정왕종합사회복지관 전체 위탁과정에 포함된 부설기관이어서 남겨두고 나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열린자리 측은 정왕종합사회복지관 위탁기관 공모나 계약서상에 해당 아동센터 면적이 포함됐고 당연히 부속기관인데 이전은 말이 안된다면서 해당 법인은 정관에도 아동복지나 지역아동센터 운영이 명시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복음자리 측은 법률적으로 문제가 없으니 시가 소재지 변경을 해줬다 정관에도 포괄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해당 아동센터는 개인이나 법인이 주체여서 이전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니고 법률적인 사전검토도 충분히 했다고 말했다. 시흥=김형수기자

시흥 지역화폐, 지역경제 활성화 한 몫…“만족한다” 93.1%

시흥 지역화폐인 시루가 온ㆍ오프라인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시흥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9월 첫 유통을 시작한 시루는 전체 인구의 절반, 경제활동인구 10명 중 8명 등이 사용하고 있으며, 지난 3년간 모두 4천434억원의 발행 규모를 기록했다. 가맹점수는 1만2천431곳으로 시흥 소재 소상공인 전체 1만7천여곳 중 73% 이상이 등록했다. 대형마트, 대기업 프랜차이즈, 사행성 업소, 유흥주점 등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골목상권에서 이용할 수 있다. 시가 지난 5월 모바일시루 사용자 5천49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3.1%가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지난 2019년 2월 한국조폐공사와 함께 모바일 지역화폐로는 전국 최초로 선보인 모바일 시루 사용비율도 90%로 압도적이다. 시는 올해초 10%에 육박하는 배달앱 수수료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을 위해 수수료 2% 이하 시루 배달앱(먹깨비 등 4개 제휴 배달앱)도 선보였다. 시루 배달앱을 통해 모바일 시루로 결제한 금액은 14억여원으로 기존 배달앱 수수료 10%, 시루 배달앱 수수료 2% 등으로 적용하면 1억1천여만원의 배달앱 수수료 절감효과도 거뒀다. 이 밖에도 만보 시루 앱을 통해 하루 1만보 이상 걸으면 100 모바일 시루를 앱에 충전해 준다. 비닐봉투 대신 장바구니를 사용하는 시민들에게 100시루를 적립해 주는 에코시루, 시루두레, 마켓시루 등도 시행 중이다. 임병택 시장은 시루가 소상공인들에게는 매출 향상과 경비 절감 효과, 시민들에게는 소비 즐거움을 드리고 있다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공동체 강화를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시흥=김형수기자

시흥시의회 의원정수 큰폭 증가 예상…내년 3월 선거구 획정

시흥시의회 의원정수가 내년 지방선거 이전 선거구획정을 통해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12일 시흥시와 시흥시의회 등에 따르면 현재 시흥시의회 의원정수는 비례대표 2명을 포함해 총 14명이다. 하지만 목감, 장현, 은계 공공택지지구와 배곧신도시 조성 사업 등으로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해 최대 17명까지 의원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올 7월말 기준 시흥시 인구 및 세대수는 51만1천700여명에 21만8천455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2017년 말 선거구 획정 당시 인구(41만9천664명 16만7천802세대)보다 약 9만2천여 명이 증가한 수치다. 7월말 시흥시 인구를 기준 시흥시의회 의원 1인당 주민 수는 3만6천550명으로 2017년 당시(3만3천872명)보다 2천678명이 늘었고 올 7월말 기준 경기도내 기초의원 1인당 주민 수(3만297명)와 비교해서는 6천253명이 많다. 지난 2017년말 대비 올 7월말 기준 선거구별 인구 변동은 가선거구가 10만5천224명에서 13만9천335명, 나선거구 11만1천426명에서 14만8천668명, 다선거구 9만1천706명에서 8만975명, 라선거구 11만1천308명에서 14만7천759명으로 증가한다. 특히 시흥시의원 4개 선거구 모두가 3인 선거구임에도 시흥시의원 다선거구(군자ㆍ월곶ㆍ정왕본ㆍ정왕1동)의 인구수(8만975명)보다 가선거구는 5만8천360명, 나선거구는 6만6천793명, 라선거구는 6만6천784명씩 각각 많아 인구편차를 최소화한 선거구 조정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시흥시의회 박춘호 의장은 인구가 급증하면서 시흥시도 인구 50만 대도시 반열에 올랐고 그에 따른 시의원 정수 확대도 필요하다고 본다며 기초의회 의원정수 책정의 중요한 요소인 인구편차를 최소화하고 투표 가치의 등가성 확립과 지방자치 실현을 위해 시흥시의회 의원정수 확대 건의안 등을 심도 있게 검토,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기초의원 정수는 올 12월께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기초의원 수를 결정, 경기도시군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선거구 획정 초안 마련, 도지사에게 제출하고 조례 개정을 통해 내년 3월께 경기도의회가 최종 선거구 확정을 심의의결한다. 시흥=김형수기자

시흥시, 16∼18세에 연 36만원 시내버스 기본요금 지원

시흥시는 다음달 6일부터 모든 고교생(만 1618세)과 같은 연령의 학교밖 청소년들에게 시내버스 기본요금(일명 기본교통비)을 지원한다. 지원 금액은 시내버스 기본요금 1천10원이다. 월 30회 이용 한도에서 지원된다. 광역버스를 이용하더라도 시내버스 기본요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다. 연간 총 지원금은 1인당 최대 36만3천600원이며, 수혜 예상 인원은 1만5천여명이다. 교통비는 다음달 6일부터 운영되는 시의 기본교통비 앱을 통해 모바일 교통카드를 내려받아 사용하거나, 일반 교통카드 사용 시 사후 충전해 주는 방식으로 지급된다. 다만, 경기도가 현재 도내 모든 청소년(만 1323세)에게 상하반기 6만원씩 연간 모두 12만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교통비를 지원받는 경우 중복해 지원받지 못한다. 시는 내년 기본교통비 지원 대상을 초중학생과 같은 연령대 학교밖 청소년들이 포함되는 만 718세(6만여명 추산)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내버스 기본요금은 만 712세가 730원, 1318세는 1천10원 등이다. 시는 고교생만 지원하면 연간 12억원, 초중고교생을 모두 지원하면 예산 23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임병택 시장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와 교통복지 강화 차원에서 고교생들에게 기본교통비를 지원키로 했다며 시의 교통비 지원이 시작되면 지원 대상자 대부분이 경기도 지원금보다 액수가 큰 시 지원금을 선택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했다. 시흥=김형수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