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 빚던 시흥 포리초 통학버스 운행 재개

통학버스 지원 중단으로 학부모들과 갈등을 빚어 왔던 시흥 포리초등학교 통학버스 문제가 국민권익위원회의 중재로 극적으로 타결, 운행이 재개될 전망이다. 1일 포리초교 등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국민권익위, 시흥시, 경기도교육청, 주민들과의 조정을 통해 포리초교 앞 도시계획도로가 완공될 때까지 통학버스가 운행될 수 있도록 대응사업으로 추진하고, 도로 완공 후 통학버스 운행 연장 여부에 대해서는 재협의 하기로 했다. 포리초교 통학버스는 지난 2007년 2월 마을버스가 적자문제로 운행을 중단하자 시흥시와 시교육지원청이 각각 1억원씩 대응사업으로 통학버스를 지원했다. 그러나 지난해 6월 도교육청이 학교 주변에 버스 공영차고지가 신설돼 통학여건이 개선됐다는 이유로 올해부터 통학버스 지원 중단을 통보해 학부모들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갈등을 빚어왔다. 이에 학부모들은 학교에서 250m 떨어진 공영차고지는 버스 정류장이 아니라 차고지이며 차고지에서 마을까지 3㎞는 인도가 없어 위험에 노출돼 있는 등 통학 환경이 개선될 때까지 통학버스 지원을 요구, 지난해 9월 권익위에 민원을 제기했다. 이번 권익위 중재안으로 도시계획도로가 완공될 때까지 통학버스가 운행될 수 있도록 대응사업을 추진해 등교시간에는 3대를 운행, 하교시간에는 2대를 운행키로 조정했다. 시흥=이성남기자 sunlee@kyeonggi.com

시흥시의회, 공보정책담당관실 예산 삭감 ‘설왕설래’

시흥시의회가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하면서 특정 부서의 정책과제 운영비 5개항목 전액을 삭감하자 감정적인 예산 삭감이라는 논란이 일고 있다. 시의회는 최근 열린 자치행정위원회의 공보정책담당관실 예산심의에서 정책과제 벤치마킹 1천600만원, 생태연못 둠벙조성 3천만원, 호조벌 수질개선 및 경관사업 5천만원, 잔디농업 시범사업 4천만원, 친환경 시흥쌀 시범생산 7천만원 등 약 1억5천만원의 정책과제 운영비 전액을 삭감했다. 또 시흥 100년을 기념하는 미래시흥에 보내는 편지공모사업 1천800만원, 시민참여 커뮤니티가든 조성 1억5천만원, 커뮤니티가든 편의시설 설치 3천만원, 동민 지역 합창대회 2억원 중 5천만원, 도심속 캠핑 페스티벌 2억5천만원 중 1억원, 오이도 랜드마크 육성사업 3억5천만원을 각각 감액했다. 이 가운데 지난 12일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호조벌 관련 정책과제 운영비는 전액 삭감한 반면, 시흥100년기념 사업비 등 행사비는 수정 재편성했다. 지역정가에서는 지난 4ㆍ11 총선에서 시흥갑 백원우 전 의원이 김윤식 시장의 적극적인 선거지원이 없어 낙선, 갑지역 시의원들이 시장 측근으로 알려진 공보정책담당관 담당 부서의 예산을 집중 삭감했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 이에 대해 A 시의원은 정책예산이 호조벌에 집중돼 있고, 호조벌의 활용이 정상적으로 이뤄지도록 하기 위한 바램에서 비롯됐다며 소문을 일축했다. 시흥=이성남기자 sunlee@kyeonggi.com

경기과기대, WCC대학 지정서 및 수여식

경기과학기술대학교(총장 한영수)는 올해의 WCC(World Class College) 대학에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WCC는 정부가 전국 150여 개 전문대학 중 21개교를 선정,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으로 키우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올해 WCC로 선정 4개 대학은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경북전문대학교 , 아주자동차대학, 한림성심대학교로, 교육과학기술부는 우수 전문대학을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으로 육성하기 위해 4단계에 걸친 엄정한 심사를 거쳐 지난 9월 이들 대학을 최종 선정한 바 있다. 한편,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외 4개 학교에 대한 WCC 지정서 수여식 및 현판 제막식이 지난 4일 경기과학기술대학 대강당에서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비롯해 이기우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회장, 올해 WCC 대학으로 선정된 경기과학기술대학 한영수 총장과 지난해 선정된 7개 대학 총장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 장관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WCC에 선정된 4개 학교의 대학 총장과 임직원, 학생들께 진심으로 축하를 드린다며 WCC에 선정된 대학은 세계적 수준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우수한 역량을 갖춘 대학으로서 필요한 기술인재 육성을 위해 특성을 살려 모든 대학의 본보기가 돼 달라고 당부했다. 시흥=이성남기자 sunlee@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