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군사도시화 우려속 ‘기름부은 軍’

평택지역에 대규모의 미군기지와 해군기지, 육군부대 등이 들어서면서 평택이 군사도시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최근 공군이 주민동의 절차도 없이 군 골프장 공사를 추진, 시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15일 국방부와 평택시 등에 따르면 평택지역에는 팽성읍 일대 15.18㎢의 캠프험프리스와 신장동 일원 11.7㎢의 미군기지를 비롯 포승읍 일원 3.9㎢ 해군기지, 서정동 일원 0.4㎢ 육군부대 등 총 30.9㎢의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이는 서울 여의도의 9배에 달하는 규모이다. 이 가운데 지난해 해군이 군 골프장을 9홀에서 18홀로 늘리는가 하면 최근에는 공군측이 K-55미군기지 인근에 24만7천㎡ 규모의 9홀 골프장 건설을 주민동의조차 없이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시민단체와 주민들은 고덕신도시 내에 7천여세대의 미군 기숙사를 비롯 평택지역 군부대가 통합돼 들어선다는 것이 알려진데 이어 골프장 건설까지 추진되자 강력 반발하고 있다. 지산동에 거주하는 K씨(58)는정부가 주민 동의조차 거치지 않고 군부대 규모를 늘려가는 것은 주민들을 우롱하는 처사라며 김문수 지사가 평택을 방문했을 때 평택시민들이 참 착하다고 한 말이 이제 무슨 뜻인지 이해하겠다. 범시민 운동을 벌여서라도 군부대 공사를 막겠다고 밝혔다. 또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해군기지 건설 및 미군기지 이전 때는 국책사업이란 명분이 있고 정부의 지원 약속 등이 있어 받아줬는데 시민들의 생활은 더욱 궁핍해지고 있다고 울분을 토했다. 이어 그는 특별법으로 시행되고 있는 고덕 신도시조차 일반산업단지로 추진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지원 약속은 더이상 믿을 수 없다며 평택지역을 무시하는 정부에 시민들의 힘을 보여주겠다고 덧붙였다. 평택=최해영기자 chy4056@kyeonggi.com

평택교육지원청, 저경력 교사 대상 혁신역량 강화 위한 연수

평택교육지원청(교육장 김기연)은 최근 초중등 저 경력 교사를 대상으로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를 실시했다. 이날 연수에서 강사로 나선 성공회대 고병헌 교수는 능동적인 배움과 창조의 과정에 초점을 맞춘 교육, 앎과 삶의 통합과 소통에 바탕을 둔 교육을 강조하고 그 변화를 주도하는 주체는 교사여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혁신학교, 혁신교육은 교사들의 힘으로 실현될 것이며, 교사를 교육의 알파(시작)요, 오메가(끝)라고 규정했다. 또 학교를 혁신해서 서로 상식이 소통하고 민주적 삶의 힘이 길러질 수 있는 아름다운 학교공동체를 실현해야 한다 며 그렇게 만들 수 있는 꿈이 단위학교의 교사들 사이에서 공유될 때 혁신학교의 꽃은 피어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수에 참석한 교사들은 변화가 학교혁신의 시작이면서 학교 변화의 주체가 교사임을 새롭게 깨닫는 기회가 됐으며, 막중한 책무성을 느끼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한편, 평택교육지원청은 권역별 혁신교육 공동체를 구축해 공동체별 역량강화 연수 지원하고, 교사로부터 시작되는 혁신학교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현장과 소통하는 지원행정을 펼칠 방침이다. 평택=김덕현기자 dhkim@kyeonggi.com

공재광 평택시장 “브레인시티 사업 반드시 재추진”

공재광 평택시장이 평택 브레인시티 사업의 재추진 의사를 밝혀 자금확보 문제로 백지화됐던 브레인시티 사업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공재광 시장은 14일 평택시청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브레인시티 사업의 의지는 확고하다며 현재 지지부진한 사업들을 총괄, 새롭게 추진할 수 있는 부서를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평택항 서부두의 경계분쟁과 브레인시티, 미군기지 이전, 평택호 개발사업 등 현안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3과 규모의 신성장전략국(가칭)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공 시장은 평택항 서부두의 경우 해상경계로 당진시에 편입됐지만 행정 효율성 측면이나 생활 기반시설 설치 등의 문제로 볼 때 잘못된 결정이라며 국가적 차원에서 재정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특히 공 시장은 평택항이 경기도는 물론 평택을 볼 때 제일 중요한 항만임에도 홍보 등에서 밀려왔다며 평택항을 알리는 데 우선할 수 있도록 시의 마케팅을 바꿔 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공 시장은 남경필 지사와 평택항 경계분쟁, 브레인시티 사업 취소 등에 대한 정책협의를 거쳐 긍정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8월 중앙분쟁조정위를 찾아가 이같은 실정을 적극적으로 알리겠다고 말했다. 한편 공 시장은 이날 민선6기 시정방향을 대한민국 신성장 경제도시 평택으로 선정하고 이를 위해 신성장 동력의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경제 명품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또한 복지명품도시를 위해 다양한 복지 혜택이 고르게 전달되는 지역사회 구현과 문화관광체육예술 명품도시로 이끌기 위한 기반을 조성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겠다고 역설했다. 평택=최해영기자 chy4056@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