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테이 주암동 온다” 과천 일대 땅값 ‘들썩’

과천시 주암동 일대가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로 지정되면서 주암동은 물론 인근 문원동, 과천동의 땅값이 들썩이고 있다.18일 과천시와 부동산중개업소 등에 따르면 화훼종합센터가 들어서는 주암동 일대 92만㎡ 부지가 뉴스테이로 지정돼 개발된다. 뉴스테이는 단독주택 용지 2만8천㎡, 공동주택 용지 27만㎡, 근린생활시설용지 8천여㎡, 과천 화훼종합센터 15만㎡, 공원ㆍ녹지 19만㎡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 같은 개발계획이 발표되자, 뉴스테이로 지정된 주암동을 비롯해 인근 과천동과 문원동 일대 개발제한구역 땅값이 꿈틀대고 있다. 특히 주암동 일대는 화훼생산농가와 화훼자재농가가 집중돼 있어 이 지역이 개발될 경우 화훼농민의 삶의 터전이 없어지기 때문에 벌써부터 화훼농민들이 인근 과천동과 문원동 일대 땅을 미리 매입하기 위해 부동산중개업소에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현재 주암동 개발제한구역 부지는 3.3㎡당 200만~300만원에 거래되고 있으나 뉴스테이 발표 이후 매물이 모습을 감추고 있다. 과천동과 문원동 일대도 현 시가에 비해 3.3㎡당 50만~80만원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부동산업체 관계자들은 이 일대의 부지 품귀현상과 가격 상승현상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암동에서 20여년간 화훼자재농가를 운영해온 K씨는 “주암동 일대는 전국을 대상으로 화훼자재를 판매해온 업체가 많은데 갑자기 이 지역이 뉴스테이로 지정된 바람에 농민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며 “일부 농민들은 이전 부지를 마련하기 위해 벌써부터 과천동과 문원동 일대의 땅을 매입하려고 부동산 중개업소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화훼생산농가를 운영해온 S씨도 “지난 10여년 동안 1천여㎡부지를 임대해 꽃 농사를 지어왔는데 주암동이 뉴스테이로 지정되면서 삶의 터전을 잃게 됐다”며 “영업보상비로는 과천시는 물론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기 어려워 직업을 바꿔야 할 실정이다”고 불안해 했다. 관내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최근 주암동 일대가 뉴스테이로 지정되면서 주암동은 물론이고 뉴스테이로 포함되지 않은 과천동과 문원동 일대의 땅을 문의하는 사례가 많아졌다”며 “과천보금자리주택지구 보상금을 받은 주민과 화훼농가 이전부지를 매입하려는 농민들이 땅을 매입하려는 상담이 많아져 땅값은 계속 오르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

마사회, 오는 15일 새터민 푸드트럭 개업식 가질 예정

한국마사회(회장 현명관)가 오는 15일 렛츠런파크 서울에서 새터민이 운영하는 푸드트럭 개업식을 가진다. 이번 탈북민 푸드트럭 지원 사업은 통일부와 현대자동차와 공동으로 탈북민의 푸드트럭 창업부터 운영까지 지원하는 사업으로 정부가 추진하는 핵심사업 중 대표적인 창조경제를 위한 민-관 협력 사례다. 푸드트럭은 정부의 규제완화를 통한 대표적인 일자리 창출 사업의 하나로, 다양한 부처, 기관 및 지자체 등에서 푸드트럭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실제 푸드트럭은 이동성이 좋아 청년이나 소상공인 등의 창업 아이템으로 높은 관심을 받는 업종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푸드트럭 지원 사업은 ‘창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나, 이번 사업은 민-관이 함께 창업부터 운영까지 지원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경제자립을 돕는다는 특징이 있다. 실제, 푸드트럭의 경우에는 창업을 위한 준비과정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소가 확보가 관건이 된다. 렛츠런파크 서울은 경마가 시행되는 금, 토, 일요일에 하루평균 3만여 명의 인구가 이용하는 장소인 만큼, 푸드트럭 창업을 하는 새터민에게는 매력적인 창업 장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푸드트럭 지원 사업 협약에 따라 통일부(남북하나재단)에서는 대상자 선정 및 창업교육 등을, 현대자동차는 푸드트럭을 위한 차량을, 한국마사회는 운영 장소 및 비용(차량개조, 컨설팅) 등을 지원한다. 현명관 회장은 “한국마사회는 공기업으로서 광복 70주년을 기념하고, 미래 통일을 준비하기 위해 새터민의 생계유지를 위한 자활을 지원하게 됐다”며 “열정있는 새터민이 선정되어 개성있고 맛깔스러운 음식판매로 푸드트럭이 렛츠런파크의 또다른 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과천=김형표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