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미사강변도시 수산물유통센터 입지 확정

하남시 미사강변도시 내 수산물 상인조합의 수산물유통센터 부지가 지난해 상반기 열병합발전소 위치선정 문제로 몸살을 앓았던 주변 지역이어서 시와 인근 주민들의 집단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 1일 시와 LH 하남사업본부 등에 따르면 LH 하남사업본부와 수산물상인조합은 최근 수산물 유통센터 이전 부지로 풍산지구 남측 하남지식산업센터(아이테코) 인근 유통업무설비시설(U2자족시설용지 711블록) 부지를 공급하기로 합의했다. 15만2천여㎡의 유통업무 설비시설 중 수산물상인조합은 3만3천여㎡ 부지를 입찰을 통해 공급받을 예정이며 현재 이 부지에 대한 문화재 지표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수산물유통센터가 이 곳에 들어서기 위해서는 국토부로부터 토지이용계획에 대한 변경승인 절차 등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시는 이 일대가 당초 열병합발전소 문제로 집단민원이 제기된 곳으로 부적정한 용도와 도시발전 저해, 집단민원 등을 우려해 풍산지구 북쪽 U1 부지를 추천했다. 하지만 LH는 토지공급 기준 변경을 통해서라도 공급하겠다는 입장이다. 풍산지구 주민 B씨는 미사강변도시 중심부이자 아파트 단지 바로 앞에 수산물유통센터가 들어오면 악취와 교통혼잡, 심야 소음 등으로 피해를 보는 것은 불보듯 뻔하다면 LH가 수산물센터 이전을 강행한다며 제2의 열병합발전소 사태를 맞이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동요가 심상치 않다면서 공장의 이전 대책은 토지보상법 등의 법률적 근거를 가지고 있지만 수산물 등 소매업의 경우, 일반영업시설로서 법률적 근거가 없다는 점에서 특혜 시비를 가려 볼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LH 하남사업본부 관계자는 기업이전 대책에 따라 토지를 공급할 수 밖에 없고 사업을 진행해야만 한다며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고속도로 해맞이 차량 몰려 극심한 정체 예상

새해 첫날 해돋이를 보기 위해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차량 이용객이 평소 보다 9%정도 늘어 정체가 예상된다. 31일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해돋이 기간(31일~1월1일) 고속도로 교통량은 31일의 경우 391만대, 1월1일은 339만대로, 12월 평소 360만대 정도 보다 9%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31일 영동고속도로 강릉방향으로 향하는 차량은 당일 오후부터 1일 새벽까지 혼잡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대 소요시간은 서울~강릉 5시간30분, 서울~부산 5시간10분, 서울~목포 4시간40분 등이다. 돌아오는 새해 첫날에도 영동고속도로 서울방향으로 향하는 차량은 이날 오후부터 자정까지 차량들이 몰려 혼잡이 예상된다. 최대 소요시간은 강릉~서울 7시간20분, 부산~서울 5시간20분, 목포~서울 4시간30분 등이다. 이에 따라 도공은 31일부터 1월1일까지 2일 동안을 해맞이 특별 대책을 시행한다. 우선 해맞이 기간 동안 극심한 정체가 예상되는 영동선의 경우 졸음 쉼터 및 휴게소 등 총 11개소에 임시화장실을 설치했으며 해맞이 명소 인근 영업소의 정체 해소를 위해 영업 인력을 평소 대비 9% 증원했다. 또 주요 요금소 차로도 평시 대비 28% 추가 개방하는 등 영업시설을 최대로 운영해 고객 불편사항을 사전에 해소할 계획이다. 도공 관계자는 교통예보팀을 운영해 고속도로 주요 구간의 소요시간 예측, 교통전망 등을 스마트폰, 교통방송을 통해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하남시,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도로 13곳 해제

10년 이상된 하남시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가운데 도로 기능이 상실된 구 시가지 내 13곳이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 해제될 전망이다. 25일 시가 시의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시는 10년 이상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79건(131만4천㎡) 중 도로 기능을 전혀 하지 못하는 13건(곳)을 1차 해제 검토대상으로 선정, 최근 시의회에 제출했다. 덕풍2동 산 24의 1 등 구 시가지 내 13곳의 도로(소로)는 10년 이상 미집행 도시계획시설로 시는 내년 상반기 내에 시의회 권고 절차를 거쳐 도시계획시설에서 해제할 방침이다. 특히, 이번 해제검토 대상 13곳은 10년 이상 미집행 시설에 대한 타당성 조사 용역을 통해 우선 해제 대상지로 선정된 곳으로 대부분 덕풍동 등 구 시가지에 위치해 있다. 이에 시의회는 시가 제출한 검토 대상지를 놓고 이르면 내년 2~3월께 현지 실사를 통해 시의회 권고에 따른 도시계획시설 해제 목록을 제출할 예정이다. 이후 시의회가 해제 권고 대상을 확정제출하면 시는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도시계획 변경결정 추진 등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정비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한편, 하남시의 도시계획시설이 결정된 건수는 총 2천237건(2천294만㎡)으로 이중 83%인 1천116건(1천907만㎡)은 집행이 완료됐으나 1천121건(387만㎡)는 아직 미집행된 상태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