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종합병원’ 한 곳도 없다

이천지역 내 택지개발과 산업단지 조성 등으로 인구 및 의료수요 급증이 예상되는 데 반해 종합병원이 없어 20여만명의 시민들이 의료사각지대에 놓여 있다.21일 시에 따르면 오는 2012년 대월면과 모가면에 산업단지가 들어서고, 내년부터 마장중리지구 택지개발사업이 본격 추진되면 1만여 가구가 들어설 예정이어서 종합병원 건립이 시급한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다.특히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건립은 이천을 포함한 경기동남부권의 오랜 숙원사업으로 민선 5기 지방선거 당시 김문수 경기지사 후보와 조병돈 이천시장 후보 간에 정책협약식을 맺은 공약사업이다.현재 지역 내에는 관고동에 125병상을 갖춘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과 마장면에 175병상을 갖춘 성안드레이정신병원 등 8개의 준종합병원과 개인의원 84곳이 영업 중이다.시는 그동안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을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으로 이전 신축해 경기동남부지역의 거점병원으로 육성할 계획이지만 현재까지 이렇다 할 청사진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시는 제1안으로 총사업비 454억원을 들여 현 위치의 의료원을 증개축해 사용, 제2안은 창전동 소재 프레시아 2000 빌딩을 매입해 리모델링해 사용, 제3안은 의료원 신축 이전 등을 검토 중이다.그러나 접근성이 용이한 현 위치의 이천의료원을 증개축해 사용하는 방안이 가장 현실적으로 보고 있지만 예산확보가 가장 큰 관건이다.시 관계자는 초를 다투는 응급환자는 30분 이내 응급실에 도착해야 생명을 구하는데 인근 분당이나 용인, 수원으로 30분을 넘기 일쑤다며 종합병원의 조속한 건립을 촉구했다. 한편 이천병원은 대지 1만2천882㎡에 지하 1층, 지상 3층, 건축연면적 8천62㎡ 규모로 도내 6개 의료원 중 경영상태가 가장 양호한 병원으로 알려졌으며, 종합병원으로 될 경우 인근 여주, 광주, 용인지역의 일부 시민들도 의료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천=임병권기자 limbk1229@egkib.com

600년 명성 ‘설봉온천’ 이천시 명물로 재탄생

이천설봉온천이 오랜 산고 끝에 모든 준비를 마치고 본격 엉업에 나섰다.이천온천 중에서도 원탕(原湯)에 자리한 설봉온천의 온천수는 600여년 전 조선시대 초 세종대왕 때부터 온천뱀이란 이름으로 구전되어 오고 있다.특히 나트륨 함량이 전국 온천 중에서 가장 높아 만성 류마치스성 관절염 및 신경통, 말초 혈액순환장애, 요통, 근육통, 피부미용, 부인병 등에 효과가 있고, 약수온천을 마시면 위장병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피부병 치료로 유명한 프랑스의 라 로슈 뽀제(La Roche Posay)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온천들이 단순천이 많은 것처럼 이천설봉온천 또한 무색무취무미한 PH 9.56 이상의 알칼리성 단순천으로(100% 자연 온천수) 34~36℃인 수온을 임의적으로 조절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설봉온천은 신축 및 리모델링을 통해 2011년 말께 총 5층으로 완공 예정이다.설봉온천호텔 1층에는 회원전용 남녀 온천사우나, 여성전용 참숯가마 불한증막, 근린생활시설, 실내골프연습장, 어린이집, 이천쌀밥집, 식당가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2층은 2천여명이 입장할 수 있는 남녀 대온천대욕장(3천636㎡) 및 알칼리성 건강 테마온천, 족욕탕, 기능성 수 치료탕, 테마찜질방 등이 들어서고 3층은 웨딩컨벤션센터, 바이킹부페, 세미나룸, 실내외 온천수영장, 회원전용 헬스클럽 등으로 재탄생한다. 4층은 스텐다드룸, 5층은 스위트룸 등 프라이빗 온천객실로 특별하고 아늑한 휴식공간으로 조성된다.설봉온천은 설봉온천 1차 창립 회원권을 분양 중에 있다. 이천=임병권기자 limbk1229@ekgib.com

이범관의원이 망언”

이천여주 시민단체 반발일본 도쿄 오쿠라호텔에 있는 이천오층석탑 환수와 관련, 이범관 국회의원(한)이 일본이 보관해 줘 고맙게 생각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시민단체가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반발하고 나섰다.이천여주 경실련, 민주당 이천여주지역위원회 등 8개 사회정당단체는 13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범관 의원은 망언에 대해 사과하라고 촉구했다.이들은 이 의원이 지난 달 20일 도쿄에서 열린 이천오층석탑환수를 위한 제2차 국제심포지엄에서 만약 이천오층석탑이 이천에 있었더라면 한국전쟁 때 유실될 수도 있었다. 일본이 이를 잘 보관해 준 것에 대해 고맙게 생각한다는 망언을 했다고 주장했다.이어 약탈문화재 환수를 위한 시민운동의 명분은 일본이 한국 국민의 의사에 반해 불법적으로 약탈해갔던 이천오층석탑을 본래 주인인 한국에 반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에 대해 이 의원 측은 당시 이 의원이 심포지엄에서 일본의 문화재 약탈에 대해 강하게 비판한 뒤 이천 오층석탑 환수 분위기가 무르익어 공식석상이 아니고 환담하는 자리에서 립서비스 차원에서 했던 말이다고 밝혔다. 또 숲은 보지 않고 나무만 보는 처사로 당시 심포지엄 대화 내용의 앞뒤 말을 모두 생략한 채 일부만을 문제 삼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전체적인 맥락에서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천=임병권기자limbk1229@egk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