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금학천변 분수대 ‘애물단지’

설치하고서 몇번 물을 트는가 싶더니 지난 몇년 동안 분수대가 가동된 것을 본적이 없어요. 오히려 쓰레기장으로 변해 차라리 없어졌으면 좋겠습니다. 6일 오전 11시께 용인의 유일한 전통시장인 용인중앙시장 입구 술막다리 인근에 세워진 분수대. 사람이 몰리는 시장 입구임에도 물이 뿜어져 나오질 않았다. 유심히 아래쪽을 살펴보니 한참을 가동하지 않은 듯 낙엽과 쓰레기가 잔뜩 쌓여 있었다. 주변도 빈 막걸리통과 쓰레기가 어지럽게 널려 있었다. 밤새 노숙인들이 이곳에서 술판을 벌였는지 막걸리 냄새가 코를 찔렀다. 인근에 설치된 또다른 분수대도 상황은 마찬가지. 언제 가동이 중단됐는지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주변에 녹이 슬어있는 등 관리상태가 엉망이었다. 시장상인 최모씨(60)는 아까운 시민 혈세를 들여 시장주변 하천변 곳곳에 분수대를 번듯하게 세우더니 아예 사용을 하지 않고 있다며 용인시의 전형적인 탁상행정과 예산낭비를 보여주는 게 바로 저 분수대라고 말하며 혀를 끌끌 찼다. 용인시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설치한 금학천변 5곳의 분수대가 전기료와 수도료 등의 문제로 수년간 가동되지 않아 예산낭비에 불과한 전시행정이란 지적이다. 시는 지난 2007년 11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총 사업비 225억원을 들여 처인구 김량장동에서 삼가동까지 이어지는 3.65㎞구간의 금학천 정비사업을 실시했다. 시는 이 구간에 수해예방을 위한 정비사업과 함께 수질개선을 위한 생태습지 등을 조성하고 시민들의 휴식을 위한 공원과 주차시설 등을 설치했다. 특히 시는 지난 2009년 금학천 주변에 5개의 분수대를 설치했다. 분수대 설치에만 약 3억원의 예산을 사용했다. 그러나 분수대가 설치된 2009년 몇달간만 시범 가동된 이후, 2010년부터 약 4년간 분수대는 멈춰섰다. 전기료와 수도료 등 유지비 부담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분수대를 설치하자마자 정부에서 물과 전기 등을 절약하라고 지침이 내려온 데 이어 현재는 시 재정악화로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뾰족한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용인=권혁준기자

용인 새에덴교회 소강석 담임목사, 출판기념 감사예배

용인 새에덴교회 소강석 담임목사의 저서 스펙을 넘어 스토리를 만들라 중국어판 찬란한 경력을 초월하라(超越燦爛的經歷) 출판기념 감사예배가 지난 5일 저녁 새에덴교회에서 열렸다. 이날 출판감사예배에는 남경필 도지사, 정찬민 용인시장을 비롯해 국회의원 및 각계 지도자들과 성도 등 5천여명이 참석했다. 저자인 소강석 목사는 출판 감사예배에서 부족한 저를 중국과 한국 출판 교류의 통로로 사용하시는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며, 내일의 꿈을 꾸고 있는 중국의 청소년들과 많은 중국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희망과 용기를 얻게 되길 바란다며 더 많은 한국의 기독교 도서들이 중국판으로 출판되길 소원하며, 더욱 겸손히 한국과 중국을 위한 축복의 통로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소 목사의 이번 저서는 한국 목회자의 중국판 저서로서는 한ㆍ중 수교 23년 만에 최초이며, 중국 제5대도출판사(第五大道出版社)에서 출판 보급한다. 찬란한 경력을 초월하라 중국어판은 소 목사의 인생 역경과 함께 성경 등장인물을 소개하면서 공인자격(스펙)을 뛰어넘어 성공적인 인생을 가꾸는 방법을 다룬다. 용인=강한수ㆍ권혁준기자

용인시, 2014년 제9회 용인시 사회조사 실시

용인시는 오는 15일까지 열흘 동안 시민이 바라는 행정방향과 평소생활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위해 2014년도 제9회 용인시 사회조사를 실시한다. 표본가구 1천320가구에 거주하는 만 15세 이상의 가구원 전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이번 사회조사를 통해 시는 용인시민의 삶의 질과 관련된 사회지표를 생성하고 시민생활과 의식행태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분석, 각종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게 된다. 이번에 진행되는 사회조사는 ▲문화와 여가 ▲보건과 복지 ▲지역사회와 경제활동 ▲자치행정 ▲거주지와 환경 등 총 10개 분야 81개 세부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조사항목에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시민 거주지 만족도,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정책, 평생교육 참여도 등이 담겨 있으며, 표본 추출은 용인시 31개 읍면동 주민등록 세대수와 주택유형을 고려한 다단계 층화 추출법을 이용했다. 시 관계자는 사회조사는 통계법에 의해 작성승인을 받은 일반통계로 조사표와 표본설계, 분석과 공표에 이르기까지 용인시가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결과는 내년 2월 중에 용인시 통계전용 홈페이지인 용인시 통계바다(http://yongin.estat.go.kr)에 공표되며 보고서도 발간할 예정이다. 용인=강한수ㆍ권혁준기자

용인 완장리 주민들 “폐기물 재활용시설 안돼”

용인시 남사면 완장리 주민들이 폐기물 재활용시설 설립에 반발하고 나섰다. 5일 용인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7월 온누리(주)가 처인구 남사면 완장리 산 108-3 일원 6천824㎡ 일대에 폐기물 재활용시설 설치를 위해 낸 개발행위허가에 대해 지난달 이를 허가했다. 이 업체는 물속 오염 물질에 의해 생긴 진흙 상태의 슬러지인 무기성 오니를 양질토사와 혼합해 성토재를 생성하기 위한 폐기물 재활용시설을 설치하고자 개발행위허가를 접수했다. 그러나 인근 주민들이 마을 주변에 먼지와 소음 발생은 물론 하천수와 지하수 등 수질오염이 우려된다며 폐기물 재활용시설 허가를 반대하고 있다. 주민들은 지난 1일과 2일 이틀 동안 업체가 현장 일대를 벌목하려 하자 이를 제지하고 나서 공사가 중단됐다. 특히 이 과정에서 일부 주민들이 트랙터 등 중장비 등을 이용해 업체 관계자들의 진입을 제지하고 나서는 등 물리적 충돌까지 발생할 뻔했다. 앞서 주민들은 지난 7월과 8월 용인시를 항의 방문, 마을 내 폐기물 재활용시설 허가 반대 입장을 분명히 전하기도 했다. 주민 A씨는 다른 용인지역에 비해 낙후된 남사면에 시가 폐기물시설 설치 허가를 내준 것을 주민들은 용납할 수 없다며 이번만큼은 주민들도 양보할 수 없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강경한 반대 뜻에 따라 업체 측에서 해당 부지를 매각하려고까지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주민들도 무조건 안된다고 할 것이 아니다. 서로 원만히 협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용인=권혁준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