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참여도가 저조하거나 실효성이 낮은 문화예술행사는 내년부터 지원을 폐지, 또는 축소하겠다는 경기도의 방침은 위험하다. 경기도는 지난 6일 국·도비를 지원하는 문화예술행사가 행정기관을 위한 행사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아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실효성이 낮거나 소모성 행사는 과감히 국·도비 지원을 축소하거나 폐지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부천 판타스틱 영화제, 과천 세계공연예술제, 안산 단원미술제, 고양 행주문화제, 수원 화성국제연극제, 이천 국제조각심포지엄, 안성 죽산예술제, 광주 남한산성문화제 등 국·도비가 지원되는 8개 행사에 대해 민간인 전문가를 참여시켜 심사위원회를 구성, 평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그동안 도에서 실시한 행사나 시·군에서 연례적·격년제로 실시했던 경기도 민속예술경연대회, 경기도 연극제, 경기도 소인극제, 경기미술대전, 경기도 무용제, 경기도 창작가요제, 난파 음악제 등도 자체평가 등을 거쳐 재정지원을 축소하거나 아예 폐지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계획은 국정감사와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된 사항을 도정에 반영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무모하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전국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문화재단을 설립, 운영하여 지역문화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경기도가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됐다고 하여 즉시 조치하는 것은 졸속행정이라는 비난을 면치 못할 것이다. 이제 문화예술의 지방자치화시대가 열리고 이같은 시대흐름에 경기도가 선도적 역할을 다하고 있는 터에 문화예술행사 지원의 페지는 어불성설이 아닐 수 없다. 심사에 참여할 민간인 전문가 위촉도 문제가 있지만 문화의 세기라고 일컫는 2000년대 벽두에 문화예술을 경시하는 듯한 문화정책도 여론의 화살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생각한다. 무릇 문화예술활동과 문화정책에 투자한 효과는 1~2년 또는 5~10년만에 건축물처럼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장기적인 투자와 노력이 항상 뒷받침돼야 하는 것이다. 물론 행정사무처리에 미숙한 문화예술단체도 물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경기도의 재정상 지원비 감축은 혹 있을 수도 있겠으나 문화예술행사 지원 자체를 폐지하는 방침은 재고돼야 한다.
사설
경기일보
1999-12-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