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서기 2000년 인식오류, Y2K가 새천년의 첫날이 밝으면서 지구상의 문명사회를 혼돈의 도가니로 몰아넣을 것으로 예견되는 가운데 최근 미국 대통령직속 Y2K특별대책위원회가 조사한 세계 각국의 대비상황에 따르면 미국, 서유럽, 일본 등 이른바 선진국은 철저한 대비책으로 별다른 사고없이 지나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그러나 중국과 러시아의 경우는 혼란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두 나라와 지리적으로 가깝고 여러 면에서 관계가 깊은 우리로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Y2K 대책에 따르면 천만다행스럽게도 파국적인 혼란은 무난히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그동안 정부와 연구기관, 기업들이 각각 나름대로 대책마련에 부심해왔으며 그 결과 각 분야별 작업이 거의 마무리된 것으로 전해진다. 원전과 환경, 해운항만, 전력 및 에너지, 운송, 수자원, 통신, 국방 등 8개 분야는 100% 대책이 마련되었고, 금융과 중앙·지방행정, 의료, 산업자동화설비, 중소기업 등 5개 분야도 문제해결진척도가 거의 100%라고 정보통신부가 지난달말 자신있게 밝혔다. 그런데 국가정보원은 지난 16일 “Y2K문제를 치료한다는 프로그램이나 공개용 게임자료 수신 때 ‘Y2K바이러스’를 조심”하라는 ‘Y2K컴퓨터 바이러스 발생시 대응방안’을 인터넷 홈페이지(www.nis.go.kr)에 올렸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00년 1월 1일을 기해 Y2K오류해결 프로그램을 위장한 전자우편 형태의 컴퓨터바이러스, 일명 Y2K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이다. 국정원은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 최소한 25일부터 내년 1월 1일 사이에 최신판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해 바이러스를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우리는 Y2K대비가 100%라는 정부의 낙관에 확실한 근거가 있는 것으로 믿고자 한다. 만약 그 낙관이 잘못된 것이라면 그 오판의 결과는 그야말로 엄청나다. 10일 후 엄습할지도 모르는 만에 하나의 사태에 대처하기 위해 재차 점검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사설
경기일보
1999-12-2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