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지식 농업인’ 허민수 산내들육종연구소장, 풍란 신품종 개발로 FTA 파고 넘는다

풍란(風蘭)의 신품종 개발과 새로운 유통망 개척 등으로 FTA 파고를 넘는 신지식 농업인이 있다. 주인공은 하남시 상산곡동 670의1에 자리잡은 산내들육종연구소의 허민수 소장(52). 최근 허 소장은 20여년에 걸친 연구 노하우를 바탕으로 자신이 육종 개발한 난 품종 수홍을 국립종자원에 신품종으로 등록하는가 하면 소월의 품종등록을 위해 특허출원을 해 놨다. 허 소장은 다양한 품종의 개발과 신품종 교배 육성을 위해 풍난이 자생하는 전국 산야를 누비는가 하면 인도네시아 등에서 자생란을 들여와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이런 각고의 노력으로 허 소장은 지난 2008년 농림수산식품부로부터 신지식 농업인에 선정됐다. 당시 허 소장은 우리나라 멸종위기 식물인 나도풍란 및 풍란 조직배양의 기술을 바탕으로 생산보급 확대 및 경제성의 우수성 등을 인정받았다. 농림부는 당시 난 조직배양으로 우수한 묘를 대량생산해 화훼농가의 고소득을 증진할 수 있고 나도풍란, 풍란 교배육종을 해 신품종 선발과 돌연변이 선발에도 공헌이 크다고 선정 배경을 설명했다. 또 연구논문과 현장 실험을 통해 우리나라 자생원종을 이용한 전통육종, 교배육종, 방사선 이용 등으로 변이체 유도, 우량묘 선발 등을 이끌었고 전문농가에는 분양 및 기술이전으로 고소득 증대에도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허 소장은 육종 개발에만 그치지 않고 최근 인터넷 쇼핑몰에 자신이 배양한 풍란을 상품으로 내놓으며 저변 확대에도 힘쓰고 있다. 풍란은 워낙 고급 화훼에 속하는 분야라 소수 마니아층들이나 품종의 희귀성과 가치 등을 알아볼 뿐 일반인에게는 다소 생소하기 때문이다. 이에 마니아층으로부터 촉당 100만원을 넘는 가격이 형성된 품종 뿐만 아니라 촉당 5천원 상당의 보급용 품종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그는 일반인들의 선입견을 개선하기 위해 보급종의 육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허 소장은 국민들의 삶이 다양화되고 있다며 유치원생부터 노년층까지 모두 흡수할 수 있는 체험학습장이나 테마농장을 설립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특히 개인의 투자는 한계가 있는 만큼 지자체 등의 체계적인 협조가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수도권 최대 쇼핑몰 하남유니온스퀘어 부지에 공동주택 2천710호 공급

수도권 최대 쇼핑몰 하남유니온스퀘어 부지에 공동주택 2천710세대와 단독주택 31세대 등 모두 2천741호의 주택이 공급될 전망이다.26일 하남시에 따르면 하남유니온스퀘어가 들어서는 신장동 229일원 지역현안사업 2지구 교통영향평가에 따라 일부 지역의 경계부 제척과 불부합 지점에 대한 조정을 통해 애초 57만286㎡에서 56만8천487㎡로 축소한 도시개발구역지정(변경) 및 개발계획(변경)을 수립, 고시했다.시의 도시개발구역지정 및 개발계획에 따르면 13만887㎡에 조성되는 공동주택은 60㎡ 이하 1천235세대와 6085㎡ 830세대, 85㎡ 초과 645세대다.이는 애초보다 7천466㎡가 감소한 수치며 분양 시기는 기반시설 착공 이후 1년이 지난 내년 하반기쯤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또 수도권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복합쇼핑몰 하남유니온스퀘어는 물류유통시설 9만6천236㎡와 지원시설 2만880㎡ 등 모두 11만7천116㎡로 조성된다. 이는 애초 계획보다 874㎡가 증가한 규모다. 기반시설계획의 경우 초중고교 등 교육시설이 3만7천344㎡며 보행자전용도로를 비롯해 문화공원 등 공원과 녹지공간이 13만247㎡(5천110㎡ 감소)로 전체 면적의 23.6%를 차지한다.사회복지시설 등 공공시설용지가 1만1천274㎡(456㎡ 감소), 도로주차장 등 교통시설이 12만2천189㎡, 공공청사가 2천101㎡를 차지했다.시 관계자는 고시된 변경안을 토대로 다음 달 초께 경기도에 실시계획인가를 신청할 계획이라며 승인이 떨어지는 78월에 맞춰 시공사를 선정한 뒤 올 하반기에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고 말했다.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하남 건설브로커 판친다

하남시가 수도권 최대 쇼핑몰 하남유니온스퀘어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하도급공사 수주 대가로 사전 베팅을 요구하는 등 속칭 건설 브로커들이 판을 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25일 하남시와 시행사인 하남시도시개발공사(이하 도개공) 등에 따르면 ㈜하남유니온스퀘어는 오는 2015년까지 8천억원을 들여 신장동 228 일대(지역현안사업 2부지) 11만7천㎡에 연면적 33만여㎡ 규모의 초대형 복합쇼핑몰을 건립할 계획이다. 도개공은 현재 80% 정도 토지보상을 마친 상태로, 이르면 오는 9~10월쯤 공개입찰을 통해 터파기 바닥공사를 시작할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개발사업 브로커들이 지역 건설업체들에 접근, 공사를 빌미로 한 사전 베팅을 요구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A업체는 최근 평소 잘 알고 있는 지인으로부터 신세계 하도급공사를 제안받은 뒤 공사수주 대가로 수 억원의 리베이트를 요구받았다. 이후 A업체는 도개공에 직접 전화를 걸어 확인을 요청했고, 지인의 제안은 사기로 드러났다.A업체 관계자는 자신을 서울의 P기업 관계자라고 소개한 브로커가 P기업이 도개공으로부터 공사 하도급을 받았다며 지역현안사업2부지 개발사업계획 등 사업소개서를 제시했다고 말했다.실제로 본보가 입수한 A4용지 4장 분량의 사업소개서에는 사업배경과 목적, 토지이용계획표, 외국인 투자진행현황, 추진경위 및 추진계획 등 전체적인 사업내용이 비교적 정확하게 명시돼 있었다.김창배 도개공 사업본부장은 일부 브로커가 공사수주에 허덕이는 건설업체를 찾아가 사기극을 벌이고 있는 것 같다며 아직 공사를 발주한 적이 없으며, 향후 공개입찰을 통해 발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