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훈 파주여고 교사 “수학포기자도 마법같이 수학에 빠져들죠”

파주지역에 수학 광풍이 불고 있다. 수포자(수학포기자)까지 단숨에 수학광으로 만들어 버리는 교육이 연일 화제를 모으면서 주인공에게 관심이 쏠리고 있다.중ㆍ고교 학생들에게 ‘생각하는 수학’, ‘살아있는 수학교육’을 표방하면서 사교육을 멀찌감치 따 돌리고 17년째 수학 공교육을 앞장서 실천해 온 파주여고 이장훈 교사(44ㆍ교육과정부장)다. 2000년 파주여고 수학교사로 임용된 이 교사는 수포자들의 흥미를 위해 수학과 소프트웨어 교육 홈페이지 ‘수학생각(http://www.mathought.com)’을 운영하며 수학을 골치 아픈 과목이 아닌 흥미로운 과목으로 학생들의 관심을 유발하고 있다.수학생각에서는 파주여고생들에게 소프트웨어 교육, 수학실험실, 3D프린팅 등 지금까지 1천 편 이상 각종 수학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한 학생들의 반응 등 생생한 일선 교육 활동을 공개하고 있다.이 교사는 특히 수학에 응용되는 소프트웨어인 Mathematica(수학) 언어를 연구하며 대학교재는 물론 학생교육용 Mathematica 전자교재를 개발해 수학생각 홈페이지에서 무상으로 배포하고 있다.또 융합교육으로 수학실험실(Mathematica LAB) 320편을 개발해 파주여고에서 2010년부터 영어처럼 Mathematica SW 및 LAB를 운영하며 일찌감치 수학에 흥미를 잃은 학생들마저도 수학에 빠져들게 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과 파주교육지원청도 이 교사의 수학학습방식을 높이 평가하면서 도내는 물론 파주지역 수포자들을 위한 수학교육을 맡겼다.이에 이 교사는 2012년부터 도교육청 교육과정 클러스터인 응용수학ㆍ프로그래밍 지도교사를 맡아 6년여 동안 도내 학생들의 수학 학력을 향상시켰다. 지난해부터 파주교육지원청의 영재교육지도도교사로 초빙돼 파주지역 7개 중학교 학생들에게 쉬운 수학, 생각하는 수학을 지도하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이 교사의 재밌는 수학 학습은 대한민국도 인정했다. 2009년 대한민국인재상(대통령상)을 비롯해 2013년 대한민국 수학교육상(교육부장관상), 2014년 올해의 과학교사상(미래창조과학부장관상), 국가슈퍼컴퓨팅 청소년캠프 지도교사상(KISTI원장상) 등 각종 상을 휩쓸었다. 파주여고 수학 교사로 재직하면서 현재 관내 문산고ㆍ제일고의 프로그래밍 교과교사와 LG사이언스랜드의 수학SW 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는 이 교사는 “나는 중학생 당시 수학성적 부진아였다”면서 “중학교 은사 덕에 수학바닥에서 20점이 오르자 수학의 즐거움을 맛보며 전공까지 했다”고 말했다.이어 “이런 즐거움을 모든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면서 “수학 디지털 교과를 집필하고 싶다. 파주여고를 넘어 파주 전체를 강남학군 부럽지 않은 수학 명문학군으로 만들어 보겠다”고 의욕을 보였다. 김재희 파주여고 교장은 “수학에 흥미를 잃었던 학생들이 수학의 즐거움에 빠져드는 게 신기하다. 이 교사가 수포자를 마법으로 수학에 빠지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파주 장단콩 웰빙마루 28일 주민공청회 개최

천연기념물 수리부엉이 환경영향평가 누락으로 4개월째 공사가 중단되고 대표이사마저 사임한 ㈜장단콩웰빙마루(본보 9월4일자 12면)가 파주 장단콩 웰빙마루 시민대책위원회(대책위)의 주민 공청회 요구를 수용하기로 해 앞으로 운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장단콩 웰빙마루는 파주시와 농협 등이 공동 출자해 만든 주식회사로 장단콩을 이용한 6차 산업 조성 프로젝트다. ㈜장단콩웰빙마루는 ‘파주시 주민참여 기본 조례안 제11조’에 따라 파주 시민 252명이 공청회 개최를 청구한 사안을 수용해 오는 28일 오전 10시 파주시민회관에서 공청회를 열기로 했다고 25일 밝혔다.이번 공청회에는 발제 및 토론자로 경영평가 전문가 1명, 시민단체 1명, 환경전문가 1명, 한천수 파주시 지역경제국장 등을 비롯해 ㈜장단콩웰빙마루 본부장, 농협 대표 등 10명이 나서며 질의 및 응답시간도 연다. ㈜장단콩웰빙마루 측은 “공청회를 통해 사업 우려가 불식되는 전환점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대책위 측은 “파주시의 추가 출자를 둘러싼 진행과정과 완공 후 운영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앞으로 지속적인 세금 누수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도 이 사업의 전망과 진행에 대한 파주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 수렴이 필요해 공청회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파주SRF발전소사업 절대 반대” 이통장연합회 3천여명 건의서 전달

환경부가 고체연료 사용제한지역인 도내 수원시 등 13개 지자체를 SRF제품 사용제한지역으로 묶는 법령 개정을 추진하면서 파주시는 배제해 논란(본보 9월25일자 12면)이 이는 가운데 파주시 이ㆍ통장연합회 3천여 명이 정부 부처에 파주SRF발전소사업 절대 반대를 요구하는 건의서를 보내는 등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유기덕 파주시 이ㆍ통장연합회장(운정2동통장, 이하 이통장연합회) 등 3천69명의 이ㆍ통장들은 ‘쓰레기발전소 SRF사업 절대 반대’ 제하의 건의서와 이ㆍ통장 서명이 담긴 서명부를 SRF발전소 허가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 등에 각각 제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통장연합회는 건의서를 통해 “산자부가 허가해 파주 탄현면에 들어설 ㈜H파워의 SRF발전소는 친환경에너지자원도 아니며 미세먼지 등 파주의 대기와 수질 오염을 가중시키는 주범일뿐이다. 절대 가동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이 반대하는 ㈜H파워의 SRF발전소는 지난 2월 27일 산자부로부터 허가받아 현재 시에 개발행위허가를 신청한 상태다. 시는 환경성과 주변 수용성에 대한 정밀한 검증을 통해 허가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파주 환경부 SRF 사용금지 포함 파주시 건의 받고도 묵살

환경부가 ‘고체연료 사용제한지역’인 도내 수원시 등 13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추가로 미세먼지 주범인 SRF(고형연료)제품 사용제한지역으로 묶는 법령 개정을 추진하면서(본보 22일자 10면) 파주를 고체연료 사용제한 지역으로 해 달라는 파주시의 건의를 외면한 것으로 드러났다. 24일 환경부와 파주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6월 9일 SRF발전사업 관련 제도 개선을 위해 연말 이들 고체연료 사용제한지역에만 SRF 제품도 사용할 수 없도록 관련 법령을 개정한다는 정책 소식을 파악하고 고체연료 사용제한지역에 포함해 달라고 요청했다. 환경부는 하지만 이런 시의 요청을 수용하지 않고 도내에선 수원시 등 13개 지자체에서만 SRF 사용제한지역으로 법령개정에 나선다는 방침을 확정했다. 시는 환경부가 아직 법령개정의지만 확정했을 뿐 실제로 대기환경보전법시행령을 개정하지 않은 시기인 점을 고려 다시 건의에 나서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환경부가 고형연료를 태울 때 오염물질이 배출될 것을 우려하는 주민들의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 고체연료 사용제한지역에만 SRF 제품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며 “이는 환경영향평가를 거치지 않는 SRF발전소허가로 개발행위를 신청한 ㈜H파워로 인해 주민 고통이 극심한 파주를 외면했다. 반드시 고체연료 사용제한지역에 포함해 달라”고 요구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수도권에선 고체연료 사용제한지역으로 국한하고 파주 등 나머지 지역은 장기 과제로 추진해 보도록 관련 부처와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파주, 고형연료용禁 도내일부 자자체만…파주 등 빠져 속빈 강정

환경부가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드러난 고형연료(SRF:Solid Refuse Fuel) 사용금지 지자체 지정을 위한 법령 개정에 나서면서 정작 주민 반발로 SRF 발전소 착공조차 못하고 있는 파주시 등은 빠져 있어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다. SRF는 단순 소각 또는 매립되는 폐기물 중에서 태워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폐기물을 골라 연료로 쓸 수 있도록 가공한 제품을 말한다. 21일 환경부와 파주시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발생 우려로 주민 민원이 급증하고 있는 SRF 제품 사용의 환경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연말부터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개정 등 제도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이에 따라 현행법상 고체연료 사용지역이나 SRF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서울시 등 7개 광역시와 도내에선 수원시, 부천시, 과천시, 성남시, 광명시, 안양시, 의정부시, 안산시, 의왕시, 군포시, 시흥시, 구리시, 남양주시 등 13개 기초자치단체에선 앞으로 SRF를 연료로 사용할 수 없다. 고형연료를 태울 때 오염물질이 배출될 것을 우려하는 주민들의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환경부의 이 같은 방침이 RF 발전소를 짓겠다고 해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힌 파주시 등은 SRF 사용금지지역에서 제외돼 효율성 논란이 일고 있다. 환경부의 안대로 하면 도내는 수원시 등 13개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자체에선 SRF를 연료로 하는 발전소 허가와 가동 등이 허용되기 때문이다. 실제 ㈜H파워는 지난 2월 27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파주 탄현면에 SRF 발전소 운영허가를 받아 현재 파주시에 개발행위허가를 신청한 상태다. ㈜H파워는 허가과정에서 현행법상 환경영향평가 대상 발전용량이 10㎿이지만 9.9㎿, 사업부지 면적도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대상 1만㎡ 규모인데 9천900여㎡로 사업을 신청, 허가받아 교묘하게 법망을 피해 갔다는 게 주민들의 주장이다. 파주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혜택받는 지자체 시민들의 건강은 중요하고 파주지역은 미세먼지를 마음껏 마셔도 괜찮다는 것이냐”고 지적했다. 파주시도 “파주 대기오염 방지를 위해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에 규정된 고체연료 사용제한지역에 파주가 포함되도록 건의했는데 당혹스럽다”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에 마련한 개선계획을 반영, 연말부터 관련 법령 개정에 착수하겠다”며 “우선 고체연료 사용금지지역으로 국한하고 나머지 지역은 장기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