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춘의야구장, 특정단체가 독점사용 관련 시민불만

부천시시설관리공단이 운영하는 부천 춘의야구장을 주말마다 특정단체가 독점 사용하고 있어 이용객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특히 이 단체는 연간 수백만원에 야구장 대관료만 납부하면서 리그 참가팀으로부터 연간 수천만원의 참가비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14일 부천시와 시설관리공단, 국민생활체육 부천시야구연합회 등에 따르면 지난 1992년 조성된 춘의야구장은 6천300여㎡ 규모로, 운영관리를 맡고 있는 부천시설관리공단은 1일 대관료로 평일 2시간 2만2천원, 공휴일 3시간 6만6천원을 받고 있다.그러나 공단이 야구연습장을 둘째, 넷째 토요일과 일요일, 공유일을 부천시야구연합회에 독점 대관해 주면서 일반 야구동호인들이 갈 곳을 잃고 있다.공단은 야구연습장에서 연간 2천500여만원의 수익금을 올리고 있으며, 야구연합회는 일반인 대관료에서 50% 정도를 할인받아 연간 676만원 가량의 대관료를 내고 있다.그러나 야구연합회는 이 곳에서 토요일 리그(14개팀)와 일요일 리그(30개팀) 2개 리그를 치르면서 참가팀으로부터 한해 9천만원 상당의 참가비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시설을 대관한 뒤 수익사업을 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이에 대해 시설관리공단 관계자는 시 체육시설 설치운영조례에 따라 규정된 대관료를 받고 있다며 연간 계약이 아닌 월정으로 계약을 하고 있으며, 협회 측이 리그 참가팀으로부터 수천만원을 받는다는 것도 몰랐다고 말했다.한편 시 야구연합회 측은 생활체육의 저변확대 차원에서 진행되는 리그이므로, 야구장의 독점 대관이라는 지적은 인정할 수 없다며 참가비는 야구경기를 위한 각종 경비로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부천=김성훈김종구기자 magsai@kyeonggi.com

도시형 생활주택 불법 구조변경 기승

최근 도시형 생활주택의 주차난(본보 11월 29일자 12면)이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도시형 생활주택의 불법 구조변경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더욱이 해당 건설사들은 불법 구조변경 사항을 숨긴 채 분양하고 있어 피해가 우려된다.11일 부천시와 해당 건설사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28일부터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한 검검을 벌여 관련법을 위반한 공사현장 4곳을 적발했다.특히 일부 도시형 생활주택 시공업체들은 면적을 늘리기 위해 2개로 허가된 호실을 1개로 합치거나 3~4개로 쪼개는 등 임의적으로 구조를 변경하다가 적발됐다.A업체는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을 신축하면서 허가사항과 다르게 거실과 방 2개를 임의 시공했으며, B업체는 내부를 3~4개의 방으로 쪼갤 수 있도록 분양하다가 적발됐다.더구나 이들 업체들은 분양과정에서 도시형 생활주택의 개념을 뛰어넘어 2~3개의 방을 갖춘 생활공간이라고 광고한 바 있어 계약자들의 피해 우려가 우려되고 있다.시 관계자는 해당 건축주들에게 오는 20일까지 시정을 명령을 내린 상태라며 이를 이행치 않을 경우 관련법에 의거해 고발 또는 행정처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한편 도시형 생활주택은 정부가 서민과 1~2인 가구의 주거 안정을 위해 지난 2009년 5월 도입한 주거 형태로, 단지형 다세대주택은 세대당 주거 전용면적 85㎡ 이하, 원룸형은 세대별 주거 전용면적이 12㎡ 이상 50㎡ 이하로 면적이 규제돼 있다.부천=김성훈김종구기자 hightop@kyeonggi.com

부천시, 도시형 생활주택 불법 구조변경 사태 심각

최근 도시형 생활주택의 주차난(본보 11월 29일자 12면)이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도시형 생활주택의 불법 구조변경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더욱이 해당 건설사들은 불법 구조변경 사항을 숨긴 채 분양하고 있어 피해가 우려된다.11일 시와 해당 건설사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28일부터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한 검검을 벌여 관련법을 위반한 공사현장 4곳을 적발했다.특히 일부 도시형 생활주택 시공업체들은 면적을 늘리기 위해 2개로 허가된 호실을 1개로 합치거나 3~4개로 쪼개는 등 임의적으로 구조를 변경하다가 적발됐다.A업체는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을 신축하면서 허가사항과 다르게 거실과 방 2개를 임의 시공했으며, B업체는 내부를 3~4개의 방으로 쪼갤 수 있도록 분양하다가 적발됐다.더구나 이들 업체들은 분양과정에서 도시형 생활주택의 개념을 뛰어넘어 2~3개의 방을 갖춘 생활공간이라고 광고한 바 있어 계약자들의 피해 우려가 우려되고 있다.시 관계자는 해당 건축주들에게 오는 20일까지 시정을 명령을 내린 상태라며 이를 이행치 않을 경우 관련법에 의거해 고발 또는 행정처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한편 도시형 생활주택은 정부가 서민과 1~2인 가구의 주거 안정을 위해 지난 2009년 5월 도입한 주거 형태로, 단지형 다세대주택은 세대당 주거 전용면적 85㎡ 이하, 원룸형은 세대별 주거 전용면적이 12㎡ 이상 50㎡ 이하로 면적이 규제돼 있다.부천=김성훈김종구기자hightop@kyeonggi.com

“500억 국비 받는다더니…” 요란만 떤 부천시

부천시가 2011 도시대상 대통령상 수상과 함께 국비 500억원을 지원받게 됐다고 대대적인 홍보를 펼쳤으나 국비지원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이같은 사실은 국토해양부가 지난 10월 일부 언론보도에 대해 해명자료를 배포하면서 밝혀졌으며, 시 관련부서도 이같은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4일 국토해양부와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0월 2011 도시대상에서 232개 시군구 중 가장 우수한 도시환경을 갖춰 대통령상 수상과 함께 최대 500억원의 국비를 지원받게 됐다고 홍보했다.그러나 이 행사를 주최한 국토해양부는 2011년부터는 수상도시에 대해 지자체 국고지원사업 선정 시 일정의 가산점을 부여하는 인센티브 제도로, 대통령상 수상 지자체에 국비 500억원을 지원한다는 것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국토부 관계자는 전화 인터뷰에서 도시대상에 따른 국고 지원사업은 도시계획정보체계 확산산업, 도시활력 증진사업, 국토환경디자인 시범사업, 한옥도시건축사업 등으로 현재 예산이 확충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밝혔다.또 이 가운데 도시활력 증진사업에 1천억원의 예산을 세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부천시가 주장하는 국비 500억원 지원 내용은 어떤 근거로 산출된 것인지 모르는 사안이라고 강조했다.이와 관련, 부천시 관련부서는 지난 10월 이같은 사실을 알면서도 다른 부서에 알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이로 인해 시 홍보팀은 각종 홍보책자와 영상홍보물 등을 통해 도시대상 대통령상 수상과 국비 500억원 지원 내용 등을 홍보하느라 열을 올리고 있다.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국토부가 도시대상 설명회에서 1천억원의 예산을 밝혀 자의적으로 해석한 것이라고 밝혔다. 부천=김성훈김종구기자 magsai@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