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 시민단체 ‘시청사 사용 관련 규정안’ 행정예고 철회 요구

군포시가 시청사 사용 및 관리에 관한 규정 전부개정 규정안 행정예고를 고시하자 시민단체들이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군포시민사회단체협의회 회원들은 16일 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가 지난달 31일 누리집을 통해 해당 규정안을 행정 예고하고 사용자 범위를 제한하며 기존 신고제를 허가제로 변경하는 등 시민의 기본권 제한 등을 포함하고 있다”며 이처럼 밝혔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해당 규정안에는 청사와 청사 사용자 범위를 정하고 각각 사용자는 사용허가를 받은 자, 사용허가 대상 시설은 시청 본관과 별관 로비, 분수대 광장, 다목적운동장, 민원실 정문 앞 광장 등으로 제한한 건 사실상 헌법이 명시한 집회·결사의 자유를 억압하는 반헌법적 행위”라고 주장했다. 참석자들도  “시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시청사의 사용·관리에 관한 규정 전부개정 규정안을 철회해 줄 것”을 요구했다. 시 관계자는 “청사 사용자의 범위와 제한에 관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해 시청사 사용허가에 대한 형평성을 도모하고 시설물 관리와 운영에 만전을 기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조합장선거 누가 뛰나] 군포농협

지난해 창립 50주년을 맞은 군포농협은 1972년 6개 이동조합을 합병해 남면리농업협동조합으로 다시 군포단위농업협동조합으로 이어지며 지금은 군포시 전 지역을 사업구역으로 지역금융을 선도하고 있다. 군포농협은 지난해 말 예수금 1조300여억원, 대출금은 8천785억여원에 이르고 본점을 비롯한 8개 지점과 하나로마트, 영농자재창고를 운영하며 1개 작목반, 13개 영농회가 있다. 조합원은 1천100여명으로 남성이 64.3%, 여성이 35.6%이며 60대가 가장 많은 34%, 70대가 26.7%, 50대가 17.3%로 50대 이상이 전체의 78%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 달 8일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농협 조합장 선거에서 3선 조합장인 이명근(72) 현 조합장과 한정수(67) 전 이사가 출사표를 던지고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두 후보는 군포초등학교 선후배 지간이다. 또다른 군포초 출신 A감사도 출마를 준비했으나 한 전이사와 단일화를 위한 여론조사로 불출마를 결정했다. 이명근 현 조합장은 1974년 군포농협에 입사해 지점장, 전무, 상임이사를 거쳐 연이어 3선 조합장을 맡으며 잡음 없이 조합을 견실하게 이끌어 왔다는 평가와 함께 현직 프리미엄을 가지고 있다. 이 조합장은 “지난해 예수금 1조원에 이어 대출금 1조원 달성과 조합원의 화합, 복지를 위해 투명경영, 선진경영, 전문경영인으로 군포농협의 미래 100년 주춧돌을 다지겠다”고 출마의사를 밝혔다. 이에 맞서 한정수 전 이사도 ‘변화와 혁신을 통해 군포농협을 발전시키겠다’며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군포농협에서 이사, 대의원 등으로 14년을 활동해 왔고 군포상공회의소 회장, 경영인협의회장, 건설회사 대표 등을 역임한 그는 준비된 경영전문가로 “책임 경영제를 도입해 조합원의 실익을 극대화하고 지역농협의 존재 가치를 바로 세우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한편 군포시는 산본신도시에 이어 당동2지구, 부곡지구, 송정지구 등이 조성되며 인구 구성 비율에 변화로 신규 조합원 가입이 늘어나는 추세와 상대적으로 원주민과 군포초교 출신들도 조합원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어 이들의 표심이 어디로 흘러갈지에 따라 판세가 결정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군포 당정동 노후 공업지 활성화 ‘속도’

옛 유한양행 부지가 포함된 군포시 당정동 노후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해당 사업에 대한 예비 타당성 조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서다. 12일 군포시와 국토교통부,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가 2019년 11월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지구 5곳을 발표하면서 경기도내에선 유일하게 군포시 당정동 공업지역 7만8천㎡가 선정됐다. 해당 지역에는 옛 유한양행 부지도 포함됐다. 이에 따라 비축용 사업토지로 당시 토지 매입을 마쳤던 LH는 당정동 옛 유한양행를 포함한 부지 일원에 대한 개발연구용역을 마치고 지난해 1월 공업지역 활성화 특별법 등 관련 법이 시행됨에 따라 국토교통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다. 현재는 KDI가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예비타당성 조사과정에서 정책성, 경제성, 산업수요, 수익/편익분석(B/C) 등에 대한 종합 검토를 거쳐 사업 추진이 결정된다. LH 관계자는 “신도시 택지개발 등 국책사업인 경우 예비타당성조사가 면제되지만 해당 사업의 경우 예타가 면제되지 않아 현재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예비타당성조사가 통과되면 정비구역 지정 및 계획 결정 등 행정절차를 거친 후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앞서 시범사업지구 발표 당시 당정동 일원 일반공업지역에 대해 경기 중부권 광역산업벨트 혁신을 위한 ‘R&D혁신허브’ 조성계획을 밝히고 산업, 상업, 문화, 주거 등 관련 시설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국토교통부 및 LH 등과 협업을 통해 옛 유한양행 부지가 포함된 당정동 노후 공업지역 활성화를 위해 행정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군포 ‘트리플 역세권’ 금정(남부)역사 신축 추진…공사비 179억

군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1호선과 4호선 환승역이자 GTX-C노선 정차역인 금정(남부)역사가 신축된다. 26일 한국철도공사에 따르면 금정(남부)역사는 1989년 금정동 613번지 일원 대지면적 5만9천392㎡에 선상역사로 건립됐으나 현재는 노후화가 심화하면서 건축물 누수, 부분 균열, 고객 편의공간  부족 등으로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이에 철도공사 측은 지난해 8월 금정(남부)역사, 고잔역사, 관악역사 등 경기지역 전철역 3곳에 대해 설계업체 선정을 위한 설계공모를 실시해 같은 해 11월 금정(남부)역시와 고잔역사 등에 대한 당선작을 발표했다. 철도공사는 금정역사의 경우 남부와 북부 등으로 분리돼 있어 공사 측이 소유·관리 중인 남부역사에 대한 시설개선사업(신축)을 진행키로 했다. 금정(북부)역사는 GTX-C노선 금정역사와 관련돼 국가철도공단이 관련 업무를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금정(남부)역사의 경우 하루평균 승하차 인원이 5만4천명이며 열차운행 횟수는 하루 508회이다.  기존 역사 1천541㎡에 대한 리모델링을 포함해 사업면적은 3천923㎡이고 추정 공사비만 179억여원이다. 신축될 금정(남부)역사에는 선상역사로 여객시설인 맞이방, 여객화장실, 수유실 등과 역무시설 및 공용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군포시와 철도공사 측 관계자는 “GTX-C노선 금정역사 남부 노후 역사에 대한 시설개선사업(신축)이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