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자족시설” vs 국토부“아파트단지” 팽팽

경찰대학교와 법무연수원이 지방 이전을 앞둔 가운데 용인시와 정부가 이전 부지의 활용계획을 놓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이어가고 있다. 시는 기업이나 대학교, 의료복합단지 등 자족시설을 유치할 계획이지만 정부는 공동주택 단지를 조성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어 입장 차를 좁히는 과정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1일 국토해양부와 용인시에 따르면 시와 국토부는 오는 2016년 충남 아산으로 이전하는 경찰대학교와 2014년 충북 진천음성으로 옮기는 법무연수원의 부지 활용계획을 놓고 협의를 진행 중이다.이는 국토부가 2010년 9월 국토연구원에 의뢰한 종전부동산 활용계획 수립 연구용역이 막바지 단계에 접어든 데 따른 것으로, 용역 결과에 따라 경찰대와 법무연수원의 활용계획이 전해지게 된다.시는 이전 부지에 대학교나 기업, 의료복합단지 등 자족시설을 유치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 및 대형종합병원 등과도 접촉을 시도한 바 있다. 그러나 정작 활용계획을 수립하는 국토부는 이전부지에 아파트 등 공동주택 단지를 조성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성이 있는 택지개발을 해야 개발을 진행할 수 있고 두 기관의 이전비용도 조기에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특히 시는 국토부와 경찰대 부지에 의료복합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에 대해 일정부분 의견 접근을 이룬 것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국토부는 아직 모든 결정이 유동적이라 속단하기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합의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시 관계자는 혁신도시 건설은 인구분산정책 일환인데 용인의 공공기관이 떠난 곳에 인구유발시설인 주택단지를 조성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지역경제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족시설 유치가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종전부동산 활용방안을 놓고 여러 안이 나오고 있지만 모두 검토사항이고 이마저도 협의 때마다 자주 바뀌어 유동적인 상태라며 구체적인 안이 나올 때까지 용인시와 충분히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찰대 부지는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 88 일원 89만6천921 만㎡(건물 42개 동) 규모로 지난 2010년 LH에 매각됐으며, 언남동 39 일원 법무연수원 부지는 71만5천597㎡(건물 20개 동)로 절반가량이 매각된 상태다.용인=강한수박성훈기자 pshoon@kyeonggi.com

동백~마성간 도로, 효과 톡톡

용인시는 동백~마성 간 도로가 2개 차로 임시 개통 후 교통량 분산 및 상습 정체구간의 교통난 해소 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동백~마성 간 도로 사업은 당초 지난해 말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추진됐으나, 예산 문제로 사업 기간이 연장되면서 지난해 9월 동백~마성 구간 4㎞ 중 왕복 2차로가 임시 개통됐다. 임시 개통 후 동백~마성간 도로의 교통량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현재 8천대를 상회하고 있으며, 국도 42호선시도 5호선 교통량 분산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특히 상습정체구간인 국도 42호선 용인정신병원 고개와 시도 5호선 화운사 고개(동백지구)의 정체가 상당히 해소돼 출근시간대 소요시간이 10분 정도 단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시는 안전을 위해 현재 임시개통된 2개 차로의 우회차로 구간(동백터널 인근)에 대해서는 덤프트럭 및 대형 버스의 통행을 제한하고 있으나, 오는 4월 우회차로 구간을 직선화하고 차량 제한을 해제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오는 7월 4차로를 전면 개통하고, 9월 말 께에는 사업을 모두 완료해 도로 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계획이라며 용인 동서 간 균형발전과 영동고속도로의 접근성 증진에 기여함으로써 사통팔달 교통도시 용인의 이미지를 제고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용인=강한수박성훈기자 pshoon@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