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납입’ 대부업자 등 92명 적발

가장납입금을 대여해 준 대부업자와 이를 알선하고 허위로 등기를 해준 뒤 비싼 수수료를 챙긴 92명이 검찰에 적발됐다. 수원지검 안산지청은 28일 대부업자인 A씨(30)를 구속기소하고 B씨(39) 등 법무사 사무실 관계자 등 91명을 불구속 기소 했다.검찰에 따르면 A씨 등은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6월까지 대출신청인 93명에게 3천만~5억원을 95회에 걸쳐 총 151억원을 대출해 준 뒤 이를 가장납입하거나 등기부를 불실로 기재하는 등의 수법을 통해 법정이자를 초과해 수수료를 챙긴 혐의다.검찰조사 결과 이들은 가장납입자금을 대여해 주는 대부업자와 이를 알선한 뒤 허위로 등기를 해 주는 법무사 사무실 관계자 등이 연계해 가장납입에 의한 회사 설립 및 증자에 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대부업자는 가장납입자금을 2일간 빌려주는 대가로 1억원 당 평균 70만원을 받아 연 127%의 고리를 챙기는 등 8개월 동안에 걸쳐 총 1억2천만원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검찰은 파악했다.또한 법무사 사무실 관계자는 자금이 필요한 회사 운영자에게 대부업자를 소개시켜주고 대부업자는 대출신청인에게 등기업무를 대행해 줄 법무사 관계자를 소개시켜주는 식으로 업무 협조관계를 형성한 것으로 드러났다.가장납입은 자금이 부족한 기업체 관계자들이 대부업자 등에게 돈을 빌려 자본금으로 납입했다가 곧바로 인출해 이를 정리하는 것으로, 이는 형사처벌 대상이라고 검찰은 밝혔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ekgib.com

국유지에 주차장 만들고 호텔 영업

수원의 한 관광호텔이 호텔주변 수백여㎡의 국유지를 불법으로 무단점용, 주차장과 화단을 조성한 채 영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27일 수원시 팔달구청 등에 따르면 리젠시호텔은 이달 초 수원시 팔달구 구천동 47번지 호텔 인근의 부지(600여㎡)를 매입해 주차장 등을 조성하면서 아무런 허가없이 350여㎡의 국유지를 무단점용한 것으로 밝혀졌다.호텔측은 국유지에 아스콘 포장까지 한 채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주차장 중앙에 화단까지 설치, 각종 나무들을 식재한 상태다.또 인근 주민들은 호텔의 무단점용으로 인해 기존 골목길이 좁아져 통행에 불편을 겪고 있다며 구청에 민원을 제기한 상태다.더욱이 호텔측은 주차장 공사를 벌이면서 이달 초 주차장 부지 내에 국유지가 포함돼 있어 이를 주의하라는 관할구청의 제지도 무시한 채 공사를 강행한 것으로 드러나 고의적으로 국유지를 무단점용했다는 의혹까지 일고 있다.이에 따라 팔달구청은 현장조사를 벌여 호텔측이 국유지를 무단점용한 점을 확인, 오는 30일까지 원상복구 명령을 내렸다.팔달구청 관계자는 호텔 인근 주민의 민원을 접수받고 현장 확인을 벌여 호텔측이 약 350㎡의 국유지를 무단점용한 채 주차장과 화단시설을 설치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말했다.이에 대해 리젠시호텔 관계자는 부지를 매입할 당시 전 토지주가 국유지에 대한 점용허가를 받은 것으로 알고 있었다며 구청의 복구명령대로 시정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khj@ekgib.com

“왜곡 홍보·명예 훼손” 팔당농민, 김 지사 고소

속보경기도가 4대강 사업에 반발하는 팔당 유기농 단지 일대를 화장실로 비유하는 만화를 홍보 홈페이지에 게재해 논란(본보 17일자 6면)이 일고 있는 가운데 팔당지역 유기농민들이 명예가 심각하게 훼손됐다며 김문수 경기지사를 검찰에 고소했다.㈔팔당생명살림은 27일 수원지검에 제출한 고소장을 통해 김 지사는 지난 7월 한강살리기 사업의 이해와 팔당호는 화장실이 아니잖아요 등의 책자와 웹툰, 홍보자료를 이용해 유기농업이 발암물질을 생성하고, 수질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의 왜곡홍보를 했다고 밝혔다.이들은 이어 도는 지난 7월9일 양평읍 대명콘도에서 주민 200여명을 상대로 4대강 사업 설명회를 개최하면서 한강살리기 사업의 이해와 22쪽 짜리 홍보책자를 배포했으며, 이 책자에는 유기농의 발암물질 생성과정을 설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팔당생명살림은 또 지난 7월14일 양평군 양서면사무소에 비치한 유기농이라 하더라도 먹는 물에는 해롭습니다라는 제목의 유인물에는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와 진중리,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일대의 비닐하우스 전경을 게시하고, 팔당상수원 안에서 비닐하우스 농사를 지으면 퇴비의 질소, 인이 녹조현상을 일으켜 물을 오염시킨다고 설명했다고 지적했다.이와 함께 이들은 도가 지난 14일부터 경기도 정책포털사이트 Gnews에 팔당호는 화장실이 아니잖아요라는 제목의 웹툰을 게재했으며, 이 만화는 팔당호를 드라이브하는 젊은 남녀가 인근 유기농장의 퇴비냄새와 소통 때문에 불쾌해하는 모습과 팔당호에 유기농 퇴비가 스며들어 악취를 풍기고 수질을 오염시킨다는 내용이 담겨있다고 주장했다.유영훈 팔당생명살림 회장은 경기도는 한강살리기 사업에서 팔당의 유기농민들과 소비자들이 사업의 부당성을 제기하자 이를 무마하기 위한 구실로 의도적으로 유기농을 왜곡 홍보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