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37개교 ‘자연방사성 지하수’ 사용

경기도내 37개 초중고교 학생들이 자연방사성 물질을 많이 함유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어 학생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를 낳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와 환경부가 5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김선동 의원(한, 서울 도봉을)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하수를 음용수로 사용하고 있는 학교 현황을 전수조사 한 결과 전국 825개 초중고교 중 66곳의 지하수에 자연방사성 물질이 기준치 이상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이 중 경기도는 64개 초중고교 가운데 37곳(57.8%)의 지하수 음용수에서 자연방사성 물질이 기준치 이상 함유량이 검출됐다.이들 지하수 사용 학교는 음용수로 사용할 경우 정수기를 사용하거나 끓인 물을 사용한다고 밝혔지만, 라돈의 경우 손을 씻거나 세수를 하는 등 생활수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졌다.경기도내 자연방사성물질 함유 정밀조사 지역은 포천시가 21곳, 안성 19개소, 여주군 10개소, 양평군 9개소, 용인이천양주시가 각각 2개소 등 64곳이다. 이들 중 자연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초중고교는 여주군이 12개교로 가장 많고, 이어 포천시가 8개, 안성 7개, 양평 6개, 용인 4개교 등에서 라돈 제안치 4,000pCi/L, 우라늄 기준치 30㎍/L, 전알파 기준치 15pCi/L) 등을 초과했다.환경부는 지난해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 물질 함유 실태조사를 한 결과, 우라늄은 전국 18개 지점, 라돈은 106개 지점, 전알파는 6개 지점에서 각각 미국의 먹는 물 기준치와 제안치를 초과했다고 밝힌 바 있다.하지만 정밀조사에서 기준을 초과한 안성시(16개소), 여주군(10개소), 포천시(19개소), 양평군(8개소) 등은 상수도가 보급될 예정이라는 조치 결과만 제출된 상태다.특히 도내 학교 37곳 중 단 한 곳도 저감시설이나 상수도 보급에 포함되지 않았고 현재까지 아무런 통보나 조치요구를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제초제 안 먹히는 ‘슈퍼잡초’ 확산

속보도내 농가들이 제초제에 대한 내성이 강한 저항성잡초(일명 슈퍼잡초)의 확산으로 골머리(본보 9월30일자 6면)를 앓고 있는 가운데 국내 논에서 슈퍼잡초가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정해걸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한나라당 의원은 5일 농촌진흥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국내 슈퍼잡초 발생면적은 지난 1998년 3천㏊에서 2008년에는 10만6천951㏊로 35배나 늘었다고 밝혔다.정 의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조사된 주요 슈퍼잡초 피해면적은 물달개비가 6만2천560㏊로 가장 많고 올챙이고랭이 1만8천101㏊, 일방동사니 1만4천23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국립식량과학원은 이처럼 슈퍼잡초가 급증한 이유를 독성이 적고 효과가 오래가는 설포닐유레아(Sulfonylurea) 계통의 제초제를 연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저항성이 생긴 것이라고 분석했다.국내에서 슈퍼잡초가 최초로 발견된 것은 1999년으로, 제초제에 내성을 가진 물옥잠 이후 물달개비, 마디꽃, 미국외풀, 일방동사니 등 11종이 번식하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슈퍼잡초 중 물달개비는 담수직파 논 생산량의 70%를 저하시키고 어린모 기계이앙 논에서는 44%가 감소하는 피해를 야기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정 의원은 2008년의 경우 슈퍼잡초로 인한 피해액이 1조4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나 농진청은 이에 대한 연구조사를 하지 않고 있다며 정부 당국이 쌀 재고량을 줄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방치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美·유럽서 안쓰는 농약 버젓이 판매

유럽이나 미국에서 사용이 금지된 농약이 유통되는데다 유명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고독성 농약이 버젓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일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정범구 의원(민증평 진천 괴산 음성)과 김학용 의원(한안성)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유럽연합이나 미국에서 사용이 금지된 농약 117종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며, 특별교육을 받은 농민에게만 판매돼야 될 고독성 농약이 인터넷을 통해 쉽게 판매되고 있다고 지적했다.정 의원은 농진청이 지난해 10월부터 현재까지 이들 158종에 대한 안전성 재평가를 실시, 18종을 등록취소하고, 23종을 행정처분 한 것을 감안할 때 현재도 117종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고 말했다.또 정 의원은 EU가 697종에 대해 부적합하다고 발표한 것이 지난해 3월이고, 미국의 경우 2008년 8월에 부적합 판정을 내렸음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는 이런 근거들을 가지고도 1년 이상이 지났는데 158종 농약 모두에 대한 평가를 완료하지 못했다며 관리부실을 질책했다.김 의원은 이날 농진청 국정감사에서 농약안전사용에 대한 특별교육을 받은 농민에게만 판매돼야 될 고독성 농약 메티다티온 유제가 인터넷 쇼핑몰에서 일반에 판매되고 있다며 농진청은 실태를 파악해 단속을 하고 있느냐고 질타했다.김 의원에 따르면 고독성 농약을 판매할 경우 판매자는 구매자의 이름, 주소, 품목명, 판매수량을 기록한 판매장부와 교육이수 확인서를 보존토록 하고 있다.그러나 인터넷 사이트에서는 교육이수확인서를 작성하지 않아도 누구나 구입할 수 있다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법원 “이자·경호비 등 42억 배상하라”

수원지법 제9민사부(김태병 부장판사)는 4일 우리투자증권 마르스제2호 사모투자전문회사가 레이크사이드CC 전현직 대표이사인 윤대일씨와 석진순씨(윤씨의 형수), 윤씨의 누나 광자씨 등 3명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피고는 레이크사이드CC에 42억3천여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일부 승소판결했다.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윤씨 등은 일본회사로부터 차용한 60억엔(당시 363억원)을 변제하는 과정에서 회사측에 지급해야할 이자 또는 지연손해금을 반환하지 않았고 대표이사 자격이 없는 상태에서 경호원들을 고용, 비용을 지출했다고 판시했다.지난 2008년 레이크사이드CC 경영권을 놓고 대주주인 윤대일씨와 법정다툼을 벌인 사모펀드(PEF) 마르스제2호는 윤씨 등 경영진이 빚을 상환하는 과정에서 회사에 지급해야할 이자 109억원을 내지 않았고 지난 2005년 7월 대표이사 자격이 없는 상태에서 경비업체를 고용하면서 30억여원을 지출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한편 레이크사이드CC 경영권은 고 윤익성씨가 지난 2006년 타계한 뒤 그의 차남 맹철씨가 경영권을 맡았지만 2005년 주주총회에서 동생 대일씨와 누나 광자씨, 윤씨의 큰 형수 석진순씨가 형제의 난을 일으켜 경영권을 장악했다.하지만 사모펀드인 마르스2호는 지난 2007년 8월 맹철씨가 갖고 있던 지분 27.5%와 일본에 살고 있는 맹철씨의 배다른 누이 2명의 보유 주식 20%를 사들여 한때 경영권을 인수하기도 했다.현재 레이크사이드CC는 마르스2호와 손잡은 석진순씨가 지난 8월 대표이사에 취임했고 이에 대해 대일씨 등이 경영권 확보를 위해 소송을 제기할 방침이어서 또다른 형제의 난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최원재기자 chwj74@ekgib.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