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37개 초중고교 학생들이 자연방사성 물질을 많이 함유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어 학생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를 낳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와 환경부가 5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김선동 의원(한, 서울 도봉을)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하수를 음용수로 사용하고 있는 학교 현황을 전수조사 한 결과 전국 825개 초중고교 중 66곳의 지하수에 자연방사성 물질이 기준치 이상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이 중 경기도는 64개 초중고교 가운데 37곳(57.8%)의 지하수 음용수에서 자연방사성 물질이 기준치 이상 함유량이 검출됐다.이들 지하수 사용 학교는 음용수로 사용할 경우 정수기를 사용하거나 끓인 물을 사용한다고 밝혔지만, 라돈의 경우 손을 씻거나 세수를 하는 등 생활수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졌다.경기도내 자연방사성물질 함유 정밀조사 지역은 포천시가 21곳, 안성 19개소, 여주군 10개소, 양평군 9개소, 용인이천양주시가 각각 2개소 등 64곳이다. 이들 중 자연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초중고교는 여주군이 12개교로 가장 많고, 이어 포천시가 8개, 안성 7개, 양평 6개, 용인 4개교 등에서 라돈 제안치 4,000pCi/L, 우라늄 기준치 30㎍/L, 전알파 기준치 15pCi/L) 등을 초과했다.환경부는 지난해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 물질 함유 실태조사를 한 결과, 우라늄은 전국 18개 지점, 라돈은 106개 지점, 전알파는 6개 지점에서 각각 미국의 먹는 물 기준치와 제안치를 초과했다고 밝힌 바 있다.하지만 정밀조사에서 기준을 초과한 안성시(16개소), 여주군(10개소), 포천시(19개소), 양평군(8개소) 등은 상수도가 보급될 예정이라는 조치 결과만 제출된 상태다.특히 도내 학교 37곳 중 단 한 곳도 저감시설이나 상수도 보급에 포함되지 않았고 현재까지 아무런 통보나 조치요구를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사건·사고·판결
강해인 기자
2010-10-05 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