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공연분야 탈장르적 시도 ‘한눈에’

지난해 경기문화재단은 시범 기획사업으로 공연분야의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Artists in Residence·작가거주 프로그램)를 기획했다. 10월에는 연출가와 배우, 안무가, 비디오 아티스트 등 16명과 함께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일대에서 ‘국제공연예술 워크숍’을, 12월에는 성남문화재단과 공동으로 국내외 안무가, 무용가 16명과 함께 ‘땅따먹기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공연분야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은 행사를 주최한 경기문화재단이나 참여자 모두 생소했다. 예전에는 아티스트들 각자가 해외 레지던시 기관에 프로그램을 신청하고 지원받은 프로그램을 자율적으로 진행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아티스트간 교류와 창작 지원을 위한 레지던시 시설을 설립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다양한 사업들을 활성화시켜 왔다. 또한 대부분의 시각예술, 문학분야 작가들 사이에서 경험을 확대하거나 외부와의 교류를 통한 자극, 개인 작업의 심화를 위해 자발적으로 레지던시가 행해져 왔다. 현대에 이르러 고유한 장르의 재현적 활동들이 그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탈장르적 시도와 함께 그 결실들이 주류를 형성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 장르인 무용은 연극과 영상 등 이질적인 장르를 끌어안은 지 이미 오래고 서커스와도 결합하면서 대중적인 장르로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이같은 공연분야의 레지던시는 그 존재조차 희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해 경기문화재단이 추진했던 공연예술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추진과정과 결과물을 담아낸 자료집이 발간됐다. 자료집은 크게 경기문화재단이 추진했던 2007 국제공연예술 워크숍과 국제 무용 레지던시 땅따먹기 프로젝트로 나눠 기획단계에서부터 추진과정, 일지, 참가자들의 후기 및 공개 세미나에서 발표됐던 논문들을 모두 담아냈다. 국제공연예술 워크숍에선 정명주 워크숍 마더레이더가 ‘다문화적 교차를 빚는 다양한 포인트’란 주제로 워크숍을 기획하게 된 의미 등을 짚었고, 워크숍 결과물로 안산문화예술의전당과 이미지극 ‘선동’을 연출한 양정웅씨가 워크숍을 진행했던 작업일지를 시간대별로 정리했다. 이어 카이 에릭 브레드홀트(극단 오딘 배우), 빌리엄 도촐로만스키(연출가), 요아나 모나 포포비치(루마니아 출신 안무가), 케네스 필립 조지(극작가·배우), 무용가 석수정씨 등 참가자들의 후기를 모았으며, 지난해 10월 30일 아르코미술관에서 열렸던 워크숍에서 발표된 주제발표문을 정리해 실었다. 국제무용 레지던시 땅따먹기 프로젝트에선 박성혜 프로젝트 총감독이 프로젝트 기획의도에 대해 설명하고 무용평론가 허명진·이경후씨가 12월9일부터 22일 최종 프리젠테이션까지 전 과정을 따라가며 참가자들의 대화내용과 진행상황을 모두 담아냈다. 이어 ‘레지던시 창작적 침체의 돌파구를 찾아서’란 주제로 진행된 땅따먹기 프로젝트 평가회의 내용과 함께 잉고 로일레케, 라파엘 지오바놀라, 슈테판 드리에, 더글러스 베이트먼, 예시카 반 루센 등 외국 참가자들과 김기훈·김윤수·김윤진·박호빈·이은미·최경실 등 국내 참가자들의 참가자 후기를 기록했다. 여기에다 12월18일 독일문화원에서 열린 댄스플랫폼 창시자인 ‘발터호인’ 특별초정 강연 내용과 김남수 무용평론가의 ‘교환 혹은 약탈의 놀이가 제시한 제3의 길’이란 주제의 쇼케이스 평가 리뷰를 게재했다. 책 말미에는 프로젝트 참가자들에 대한 간단한 약력도 소개하고 있다. 공연예술네트워크 刊. 문의 경기문화재단 문예지원팀 (031)231-7240 /이종현기자 major01@kgib.co.kr

세계미술품 場 선다

국내 최대의 미술장터인 ‘제7회 한국국제아트페어(KIAF)’가 오는 19일부터 23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사)한국화랑협회가 주최하는 이 행사는 116개 한국 화랑을 중심으로 독일 27개, 스위스 19개, 일본 16개, 프랑스 8개 등 20여개국 218 개 화랑이 참여해 6천여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올해에는 전시 주빈국으로 스위스를 선정, 스위스의 주요 화랑들의 참여는 물론 스위스 화랑협회와 함께 스위스 현대미술전 및 주빈국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이와 함께 특별전으로 마르크 바우어, 에릭 슈타인브레허, 피터 레글리 등 스위스 신진작가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네가 얻은 것이 네가 원하는 것이다(What you get is What You Want)’전이 열린다. 또 한국미술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국내 중견작가 구본창, 권대섭, 민병헌, 우수환 등 10명의 작품을 접할 수 있는 ‘달의 정원’전도 함께 마련됐다. 이밖에 행사 기간 동안 학술 포럼을 비롯해 강연, 작가지원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진다. 20일 열릴 예정인 포럼은 스위스 문화예술 전문가 4명을 초청, ‘스위스 공공 및 민간기구의 국내외 미술지원 방식’을 주제로 진행된다. 부대프로그램으로는 단편영화 상영 프로그램인 ‘Cinema in KIAF’를 통해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실험적인 독립단편영화 5편이 상영된다. /윤철원기자 ycw@kgib.co.kr

‘경기의 사계-아름다운 산하’展

㈔한국미술협회 경기도지회는 오는 19일부터 다음달 24일까지 도내 곳곳에서 ‘2008 경기의 사계-아름다운 산하’를 주제로 전시회를 연다. 경기도 및 전국에서 활동 중인 200여명의 작가들이 참여하는 이번 전시는 19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용인 문화예술원 전시장에서 메인 전시를 갖는다. 이후 다음달 24일까지는 문화나눔사업의 일환으로 경기도 1·2청과 의회 로비, 포천 반월아트홀, 의왕시 중앙도서관, 동두천 자유수호평화박물관, 파주 갤러리 샘을 비롯해 안양, 오산, 성남, 평택, 김포, 이천, 양평 시·군청에서 산별전시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경기도의 아름다운 산하를 스케치 투어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회화 및 영상, 퍼포먼스, 설치 등 다양한 미술의 장르를 감상할 수 있는 자리다. 또 19일 오후 6시 용인 문화예술원 전시장에서 열리는 개막식에는 한국실험예술정신(KoPAS)의 김백기, 신용구, 권수임이 출연, ‘강’을 주제로 한 퍼포먼스와 ‘경기도’를 주제로 한시·휘호 퍼포먼스가 펼쳐진다. 부대행사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경기도의 산, 강, 마을 등을 주제로 한 미술공모전이 진행되며 입상(우수상 이상)한 작품은 용인행정타운 로비에 전시된다. 한국미협 조강훈 도지회장은 “이번 행사는 대중과 미술전문가가 공유하고 현대적이면서도 지역문화의 특성을 강하게 부각시킬 수 있는 예술행사가 될 것”이라며 “소외된 지역의 문화 나눔 사업을 통해 경기도 전체가 문화예술의 허브이자 통일시대를 열어가는 문화교류 콘텐츠로서의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철원기자 ycw@kgib.co.kr

도심 속 거리공연 ‘특별한 초대’

도심 한복판에서 다채로운 거리 공연을 만날 수 있는 제12회 과천한마당축제가 오는 23~28일 과천시 일원에서 다채롭게 펼쳐진다. 올해 행사에서는 국내 작품 22편과 해외 작품 9편이 선보여질 예정이다. 축제의 시작을 알릴 개막공연은 ‘사랑으로 돌아오다’가 장식한다. 과천에 내려오는 ‘관악산 왕후의 묘’ 전설을 바탕으로 과천민속예술단과 한국거리극연구소가 만든 작품으로 시민들도 공연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국내 작품으로는 서해안 기름유출 사건을 모티브로 한 댄스시어터 창의 ‘새’, 노인문제를 다룬 호모루덴스 컴퍼니의 무언극 ‘오늘같은 날’, 콩쥐팥쥐를 소재로 한 인형극 ‘넙떠구리 콩쥐의 노래’(창작공동체 얼굴과 얼굴) 등이 공연된다. 과천한마당축제와 춘천마임축제가 공동 기획한 ‘사라진 달들’(4관객프로덕션)도 관객과 첫 만남을 갖는다. 해외작품으로는 프랑스 극단 제네릭 바뾔가 27~28일 과천 중앙로에서 ‘야영’(Bivouac)이라는 제목의 대규모 퍼레이드 공연을 펼친다. 이 작품에서 배우들은 얼굴을 파랗게 칠하고 거리에 등장해 수십 개의 드럼통을 거리에 굴리고, 록 음악을 배경으로 강렬한 시각적 이미지를 전달하면서 현대사회의 단면을 비판한다. 이와 함께 안톤 체호프의 원작을 야외극으로 각색한 우크라이나 극단 보스크레신아의 ‘벚꽃동산’, 프랑스 댄스컴퍼니 ‘엑스 니일로’의 ‘삶의 여정, 도시의 여정’, 한국 마임이스트 고재경과 일본 마임이스트 야마모토 코요가 함께 제작한 ‘1+1’ 등이 소개된다. 한편 올해 행사에는 연극과 무용 공연 뿐 아니라 ‘거리음악’과 ‘거리설치미술’ 프로그램을 신설, 관객들이 보다 다채로운 장르를 접할 수 있도록 했다. 또 국내외 예술가와 기획자의 교류를 위한 ‘축제사랑방’이 운영되며, 시민들이 참여해 직접 공연을 선보이는 ‘거리춤 바람-스윙댄스 워크숍’도 진행된다. 이밖에 ‘코메디아 국제연기 워크숍’, ‘엑스 니일로 무용 워크숍’ 등 각종 워크숍과 학술행사도 마련된다./이종현·김형표기자 major01@kgib.co.kr

“내 고향 수원” 음악인들 한자리에

수원출신 음악인들이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여 애향심을 불태운다. ㈔음악협회 수원시지부(회장 전애리)는 오는 11일 오후 7시30분 경기도문화의전당 소공연장에서 유학파, 현직 교수 등 수원지역 음악 전공자들이 참여하는 연주회 ‘가을이 오는 소리, 그리고…’를 연다. 수원예술인축제의 일환으로 주민들의 지역에 대한 애착심과 자긍심을 심어주기 위해 마련된 이번 연주회는 음악과 예술, 문화를 통해 이웃간에 정을 나누고 사랑을 담아 낼 예정이다. 연주회에서 바리톤 차피득이 가곡 ‘청산에 살리라’와 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중 아리아 ‘bravo signor padrone Se vuol ballare’를 부르며 피아니스트 박혜정과 이성희가 브람스의 ‘헝가리 무곡 No. 1,4,5’를 연주한다. 또 클라리네티스트 백원호는 마스 델마스의 ‘Fantaisie Italienne’를 섬세하고 불륨있는 연주로 선보이며, 소프라노 이영숙이 옥영의 ‘이름없는 여인되어’와 로시니의 오페라 ‘세미라미데(Semiramide)’ 가운데 ‘너의 아름다운 자태를 가다듬고(Bel raggio lusinghier)’를 열창한다 이밖에 바이올리니스트 신동렬, 첼리스트 남승현, 피아니스트 이성희의 트리오 협연으로 멘델스존의 ‘피아노 이중주 Op.49 라단조’를 연주하고 이어 출연자 전원이 칸초네 ‘오! 솔레미오’와 가요 ‘사랑으로’를 부르며 대미를 장식한다. 전석 무료. 문의 (031)255-2533 /임명수기자 mslim@kgib.co.kr

<공연리뷰>유키 구라모토 내한 연주회

대자연의 아름다움을 맑고 순수한 영혼의 음으로 건반위에 풀어놓는 뉴에이지의 대가 ‘유키 구라모토’가 지난 6일 안산예술의전당 해돋이극장에서 내한 연주회를 가졌다. ‘Memory of love’를 주요 테마로 구성된 이번 연주회는 국내 미발표 앨범 수록곡인 ‘On A Sentimental Snowy Day’, ‘Forest’, ‘Le Seine At Dusk’, ‘Taking A Ship’을 포함 모두 22곡의 주옥같은 곡들과 앵콜곡인 ‘사랑의 기억(드라마 주몽 OST테마곡)’등이 청중들의 마음을 울렸다. “안산시민 여러분, 반갑습니다. 유키 구라모토 아세요?” 동양의 작은 거장은 능숙한 한국어 솜씨를 뽐내며 첫 곡 ‘Timeless Love’로 연주의 테잎을 끊었다. 마에스트로의 손 마디는 천천히 건반 위를 흐르며 새벽 이슬같은 맑은 음감으로 ‘영원’이라는 동양적 감성을 청중들과 함께 나눴다. ‘Romance’외 다수의 곡들을 지나 미발표곡 ‘On A Sentimental Snowy Day’가 흘렀다. 곡은 심리적인 기복을 타고 빨간 단풍물이 들어버린 가을산의 정경과 새하얀 눈으로 장식된 겨울의 로맨틱한 광경을 담아냈다. 피아노 솔로곡이 끝나고 무대 위에는 디토 체임버 오케스트라가 아담한 앙상블을 이루며 ‘Love Song’, ‘Memory of Cinderella Time’으로 바이올린의 선율과 피아노의 절대화음을 들려줬고, ‘인상파’에서 영감을 얻은 미발표곡 ‘Scenery Of A Garden’이 플루트(박신애)과 오보에(정수임)의 공명과 함께 호기심 가득한 소녀의 눈망울의 반짝거림같은 선율을 무대 위에 조명했다. 인터미션이 끝나고 2부에서는 달, 태양, 별을 테마로 한 미국 스탠더드 곡 ‘Fly Me to the Moon’, ‘Sunrise, Sunset’, 동화 속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을 노래한 ‘When You Wish Upon A Star’가 연주됐다. 인생은 항해와 닯았다는 그의 해설처럼 순탄치 않은 인생항로와 선상으로 대변되는 한정된 인생의 짧은 축복인 로맨스를 다룬 바르카롤풍(베네치아의 곤돌라 사공이 부르는 노래나 그것을 본뜬 기악곡 또는 성악곡 종류)의 ‘Lonely Sailing’과 플루트가 항해의 길잡이가 되어준 ‘Taking A ship’이 청중들을 영화 속 타이타닉의 한 씬으로 초대했다. 이어 ‘Le Seine At Dusk’가 초연됐다. 해질녘 어스름에 핀 물안개 속 세느강의 정경이 눈앞에 펼쳐진 것 같은 이 곡은 바이올린과 첼로의 현악의 무거움과 타점이 또렷한 피아노의 정확한 발란스가 조화를 이뤘다. 곧이어 무대에는 수석 바이올리니스트 이석중이 유키 구라모토와 트윈을 이루며 감미로운 ‘Lake Louise’를 연주했고 라스트 곡인 ‘Tears For You’가 청중들의 심금을 울리며 공연의 마지막 음을 남겼다. 서정적인 영상 음악의 대가로 뉴에이지 선두주자의 음색과 숨결을 가까이에서 호흡할 수 있는 멋진 무대였지만 그의 레퍼토리인 ‘Romance’ 계열의 곡들외 미발표 곡과 초연곡은 4곡뿐이고 대다수가 기존 발표곡들로 구성돼 유키 구라모토에 대한 기대감을 충족시키지 못했던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권소영기자 ksy@kgib.co.kr

<아름다운 실버>“정감있는 노래 들고 어르신 찾아갑니다”

‘어르신들! 신나는 예술여행, 문화로 함께 하는 세상의 네 번째 여행을 함께 떠나요.’ 수원버드내노인복지관이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 한가위를 맞아 (사)한국문화복지협의회 사랑의 문화봉사단 도움으로 어르신들과 지역주민들을 초청, 문화공연을 연다. 올해로 4번째를 맞이하는 음악여행은 국악&재즈콘서트만을 고집해 온 ‘김기철 크로스오버밴드’가 맡았다. 김기철 밴드는 가장 한국적인 정서를 담은 곡들을 재즈로 편곡, 재구성해 국악기의 특색있는 음색과 절묘한 조화를 이뤄내는 그룹이다. 특히 밴드 이름에서 풍기는 것처럼 ‘아리랑’, ‘함박눈 내리는 새벽’, ‘밤안개’, ‘러브’, ‘풀라이 투 더 문’ 등 가요, 가곡, 영화음악 등 어르신들에게 친숙한 곡명을 선택, 어르신들의 향수를 자극할 예정이다. 또 색소폰 연주자인 김기철은 가수 봄여름가을겨울, 신효범, 이은미, 김건모 등 다수의 가수 세션에 참여한 것은 물론 드라마 ‘사랑을 그대 품안에’에서 차인표의 색소폰 연주신을 직접 녹음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번 공연은 기획재정부의 복권기금으로 이뤄진 사업으로 문화 인프라 시설이 부재한 소외지역 주민과 고령층, 저소득층 등 문화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향수 프로그램을 위해 마련됐다. 문화나눔, 신나는 예술여행 ‘문화로 함께하는 세상’이란 주제로 열리는 이번 공연은 10일 오후 1시 복지관 강당에서 열린다. 어르신들은 물론 지역 주민들도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임명수기자 mslim@kgib.co.kr

성남서 ‘名品 공연’

2008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에서 피아노를 치며 전세계에 벅찬 감동을 선사한 중국이 낳은 천재 피아니스트 랑랑이 마에스트로 정명훈과 함께 국내 무대에 오른다. 세계적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라스칼라, 중국의 천재 피아니스트 랑랑, 그리고 마에스트로 정명훈 지휘 등 음악계의 거장들이 오는 9일 오후 8시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에서 세기의 공연을 펼친다. 라스칼라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밀라노 라스칼라 오페라 극장 소속 교향악단으로 오페라 제작을 돕는 역할에서 출발해 토스카니니, 번스타인, 카라얀 등 세계적인 지휘자들과 호흡을 맞추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오케스트라. 특히 자신들만의 독특하면서도 부드러운 음향을 갖고 있는 교향악단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올림픽 개막식에서 진한 감동을 선사한 랑랑은 새로운 문화 아이콘으로 불릴 만큼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 공연장에서 연주회를 가질 때마다 연속 매진을 이어가고 있다. 1987년 선양 피아노 경연대회 첫 우승 이후 독일 제4회 국제 영 피아니스트 경연대회에서 ‘가장 예술적인 연주상’을 수상했으며 1995년 일본 ‘차이코프스키 국제 영 뮤지션 경연대회’ 우승, 2001년 4월 카네기홀의 데뷔 공연 매진 등 평론가들로부터 극찬을 이끌어냈다. 이번에 연주될 곡은 차이코프스키의 교향곡 4번과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2번이다. 마에스트로 정명훈과 라스칼라 오케스트라, 그리고 랑랑의 아름다운 피아노 협연이 어우러질 이번 무대는 세기의 음악가들의 만남이라는 점에서 관객들을 사로잡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공연 후에는 공연장 로비에서 랑랑의 팬사인회가 열린다. VIP석 16만원, R석 14만원, S석 12만원, A석 10만원, B석 5만원. 문의(031)783-8000/임명수기자 mslim@kgib.co.kr

문화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