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韓中지사성장회의… 양국 지방정부 ‘상생의 교류’ 물꼬

한·중 양국 지방정부 수장들이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인 제1회 한중지사성장회의가 8일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한중 FTA 서명 1주년을 맞아 양국 지방정부가 주도 상호 교류방안을 논의했다는 성과를 남긴 가운데 2년 뒤인 2018년 중국에서 2회 한중지사성장회의 개최를 약속했다. 전국시도지사협의회, 중국 인민대회우호협회에 속한 한·중 14명의 시도지사·성장(부성장)은 이날 오후 송도 경원제 경원루에서 한중지사성장회의를 가졌다. 경제와 문화·관광 2개 세션으로 진행된 이날 회의는 한·중 FTA 체결 1주년에 따른 지방정부 교류 활성화 필요성을 전제로 열띤 토론이 펼쳐졌다. 경제분야에서는 안희정 충남도지사의 ‘중국과 함께 미래를 열어가는 충청남도’, 량구이 산시성 선전부장의 ‘녹색성장을 함께 고민하고 관광·인문 협력교류 추진방안’ 등 6개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문화·관광분야에서는 권영진 대구시장의 ‘대구광역시 의료관광 소개’, 뤄상장춘 시짱자치구 주석의 ‘관광협력을 통한 인문교류 추진’ 등 6개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각 분야 세션 발표 후 자유토론시간을 활용해 각 지역간 실질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등 뜨거운 열기를 이어갔다. 전국시도지사협회장 자격으로 인사말에 나선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난해 6월 한중 FTA 체결 후 양국 간의 관계가 더욱 돈독해지고 한층 더 가까워졌다고 생각한다”며 “지방이 모여 국가를 이루듯 지방 없이는 국가도 없다고 생각한다. 지방의 역량과 경쟁력이 그 국가의 발전과 직결되는 만큼 양국 지방정부가 더욱 발전하고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리샤오린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장도 “한중 양국은 170개 도시와 우호자매도시를 체결하고 있으며 MOU 체결건수는 600여 건에 달한다”며 “이 자리가 양국의 협력과 발전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참석자들은 공동선언문을 통해 앞으로 지속 가능한 교류 활성화를 목표로 관광설명회, 박람회, 포럼, 축제 행사 등의 각종 국제교류행사에 적극 참여하기로 합의했다. 차기 회의는 오는 2018년 중국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양광범기자

인천경제청 영종지구 항공엔진정비센터 ETC 8일 개장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영종지구 항공엔진정비센터의 엔진 테스트 셀(ETC : Engine Test Cell)이 8일 오픈했다. 인천시 중구 운북동에 위치한 항공엔진정비센터 ETC는 세계 최대 규모(Cell Size: 14×14m)로 제작돼 국내에서 수행할 수 없었던 초대형 엔진 테스트가 가능하다. 현존 최고 추력인 11만5천 파운드 급 엔진(B777 항공기 장착 GE90 엔진)을 포함, 최대 15만 파운드까지 테스트 가능하도록 설계돼 향후 개발될 차세대 신형 엔진(B777X용 엔진 등)까지도 테스트 수행이 가능하다. 이번 항공엔진정비센터 ETC 개장으로 항공기 정비의 90%를 부천 원동기 정비공장에서 자체 수행해오던 대한항공은 이번 ETC 건립에 따라 초대형 엔진 테스트 능력을 보유한 회사로 태어나게 됐다. 또한 국내 MRO(정비 l) 전문업의 성장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최첨단 기술 및 품질이 요구돼 앞으로 고부가가치 창출이 예상되는 분야인 항공기 엔진 MRO사업은 ETC 개장으로 연 1조3천억원에 달하는 해외 의존 항공정비 수요의 국내전환 및 항공기가 급증하고 있는 중국 등 해외 정비수요를 흡수, 국내 MRO 산업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전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이에이티㈜는 항공기 엔진 MRO 사업 확대 수행을 위해 국내 최대 항공사 대한항공(90%)과 세계적인 엔진 제작사 UTC(United Technologies Corp., 10%)간 합작회사(Joint Venture)로 지난 2010년 12월 설립된 국내 최초의 항공기 엔진 MRO 전문업체다. 아이에이티는 이후 지난 2011년 6월 영종하늘도시 내 항공기 엔진 MRO 건립 사업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고 지난 2014년 5월 착공, 지난해 8월 ETC 준공 후 장비 설치 및 시험운전 등의 절차를 거쳤다. 이날 항공엔진정비센터의 ETC 개소식에는 이영근 인천경제청장을 비롯해 안상수 국회의원, 대한항공 조양호 회장, 아이에이티㈜ 이수근 대표, 김홍섭 중구청장, 인천공항공사 홍성각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김신호기자

‘IFEZ 홍보관’ 해외인사 방한 필수코스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의 브랜드가치를 높이고 투자유치에 기여하고자 G-Tower 33층에 운영중인 ‘IFEZ 홍보관’과 세계적인 스마트도시인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U-City운영센터’를 벤치마킹 하기위한 외국기관의 방문이 잇따르고 있다. 7일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IFEZ 홍보관은 지난 5월 한달동안 방문객이 2만1천965명으로 지난해 3월 개관한 이래 월간 최대 방문인원을 기록했다. 5월의 경우 3일 주한외국대사 초청행사 참가차 방문한 주한 벨기에 대사 등 13개국 대사를 시작으로, 25일에는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과 스리랑카 서부주 메가폴리스개발부 장관, 중남미 7개국 장관, 중국 선양시 양향훈 부시장 및 이스라엘 리손 시장 등 5월 한달 동안 총 25명의 세계 각국 장·차관 일행이 방문했다. 이들은 홍보관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의 개발사업과 스마트시티 조성에 대한 브리핑을 받고, IFEZ의 발전상에 놀라움을 표현했다. 이달들어 7일에는 한중 FTA 체결 1주년을 기념해 송도에서 열리는 한·중 지사성장회의 행사의 일환으로 뤄쌍장춘(洛桑江村) 시짱자치구 주석과 산시(陝西)성 량구이(梁桂) 선전부장(부성장급), 톈진(天津)시 자오하이산(趙海山) 부시장, 허난(河南)성 왕옌링(王艶玲) 부성장, 윈난(雲南)성 허돤치(和段琪) 부성장 등이 IFEZ 홍보관을 방문했다. 이와함께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U-City운영센터’를 벤치마킹 하기위한 외국인들의 방문도 잇따르고 있다. U-City(=스마트 도시)의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의 도시를 말한다.우리나라는 지난 2008년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인천경제청은 법률제정보다 앞선 2007년 부터 유비쿼터스도시 구축을 추진했다. 현재 유무선 자가통신망과 함께 U-City 5대 공공서비스(교통, 방범 방재, 환경, 도시민정보제공 서비스 등)를 제공하고 있다. 송도, 영종, 청라 3개 지역과 다양한 업무를 통합운영하며 시설규모는 세계 최고다. IFEZ U-City운영센터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면서 연간 방문객은 2015년 195회 2천315명, 2016년 5월까지 107회 1천276명에 달한다. 방문국가는 선진국부터 개발도상국까지 다양하다. 이영근 인천경제청장은 “전체방문객 중 외국인 방문객수는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며“ IFEZ가 가진 경쟁력과 투자유치 환경 등을 전략적으로 홍보해 이를 투자기회로 연결하겠다”고 밝혔다. 김신호기자

인천의 자영업 무너지고 있어… 대책 마련 시급

인천지역 자영업이 무너지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최근 자영업자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을 뿐만 아니라, 3년 평균 생존율도 30% 정도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최근 발간한 경제활동인구연보에 따르면 인천 자영업 종사자(자영업자+무급가족종사자)는 2014년 32만명에서 지난해 29만7천명으로 7.2%나 급감했다. 이는 전국 16개 시·도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전국적으로는 2014년 685만7천명에서 지난해 670만7천명으로 2.2% 감소했다. 특히 인천지역 생계형 자영업자 10명 중 7명은 3년 안에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월 인천발전연구원이 발표한 ‘인천시 생계형 자영업의 사업체 생존율과 일자리 실태’를 살펴보면, 2010년 인천 생계형 자영업 업체는 1만1천162개에서 2013년 3천424개로 줄었다. 종사자수도 1만9천2명에서 6천648명으로 급감했다. 2010년 창업해 2013년까지 생존하고 있는 사업체 비율은 업종별로 편의점이 54.0%로 가장 높았고, 세탁소 51.7%, 당구장 46.0% 순으로 나타났다. 인발연은 창업으로 일자리를 만드는 것보다는, 살아 남은 사업체를 지원하는 것이 일자리를 효율적으로 늘리는 방안이라고 지적했다. 인발연 관계자는 “생계형 자영업을 협동조합 형태 등으로 유도해 공동구매와 공동유통, 경영 노하우 등을 공유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덕현기자

인천경제청, 뉴시티서밋 국제 대회 유치 추진

인천경제청은 오는 21~23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리는 제5회 뉴시티 서밋에 참여해 내년에 열리는 뉴시티 서밋의 인천 유치에 도전한다. 뉴시티 서밋은 매년 200여개국 700여명이 참여하는 스마트도시 관련 국제회의로서 스위스에 본사를 둔 비영리 민간기구인 뉴시티 재단(이사장 존 로산느)이 개최도시와 글로벌기업들의 후원으로 2012년부터 파리를 시작으로 달라스, 상파울루 지난해엔 자카르타에서 개최했다. 이번 뉴시티 서밋의 주제는 ‘도시발전 기술의 시대(The Age of Urban Tech)’이며, 몬트리올시와 뉴시티서밋 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한다. 주요내용은 선진도시프로젝트 발표, 도시발전 신기술 경연대회, 신기술 기업전시관 운영 등이며, 현장견학 프로그램으로 ‘몬트리올 스마트 디지털 시티 개발 프로젝트 시범도시 견학’이 있다. 뉴시티 서밋을 인천에 유치하기 위한 연설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10년이라는 짧은 기간 내에 바다를 메워 대한민국 대표 스마트 도시를 조성한 점과 비행시간 3시간 이내의 61개 도시를 배후시장으로 갖는 IFEZ의 장점을 설명할 예정이다. 특히, 인천은 14억명의 인구를 가진 중국과 우리나라의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한중 FTA 시범협력사업도시로써 인천경제자유구역이 중국진출의 거점도시임을 강조할 예정이다. 시장조사 기관인 마켓츠앤드마켓츠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시티 시장은 2014년 4천113억 달러에서 2019년에는 1조1천348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어, 세계는 지금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총성 없는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이번 뉴시티 서밋 유치를 통하여 스마트시티 시대를 선도할 연관 산업 플랫폼을 인천에 구축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신호기자

불안한 인천항 ‘미주항로’

인천항 유일의 미주항로가 개설 1년만에 안정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해운업계 침체와 맞물려 물동량 감소 등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어 다양한 원양항로 개발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7일이면 G6얼라이언스 소속 현대상선(HMM)이 지난해 6월7일 미국행 정기 컨테이너 항로 CC1(Central China 1)서비스를 시작된 지 1년이 된다. 1980년대 중반 인천내항을 통해 미주항로 서비스가 있었으나 교역량 늘고 선박이 커지면서 명맥이 끊겼다가 지난해 6월 인천신항 개장 이후 미주노선이 다시 부활한 것이다. 현대상선의 CC1 항로에는 현재 6천TEU급 선박 6척이 미국 LA~오클랜드~부산~광양~인천~중국 칭다오~상하이~광양~부산~LA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인천에는 신항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SNCT)에 매주 1회 입항하고 있다. 미주항로 물동량은 조금씩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지난해는 6월7일 현대도쿄호(6천800TEU급) 입항을 시작으로 7개월동안 29차례 선박이 기항했으며, 컨테이너 1만8천426TEU 처리실적을 올렸다. 올해는 지난 4일 기준으로 5개월동안 22회 기항 1만5천600TEU를 처리했다. 1항차당 처리 물량은 지난해 635TEU에서 올해 709TEU로 늘었다. 특히 냉동·냉장 컨테이너 물량은 지난해 49TEU에 불과했으나 올해는 벌써 287TEU로 5배 가량 늘어났다. 냉동컨테이너는 TEU당 운임, 하역료·보관료 등이 일반컨테이너보다 2배 이상 높기 때문에 노선 수익성이 좋고, 항로가 추가개설될 가능성도 높다. 그러나 최근 해운선사들의 경영난과 해운업계 침체 등이 이어지면서 물동량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인천항만공사 측은 “올해 1분기에는 미주항로 물동량이 1천670TEU로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국적 해운선사들의 경영위기 이후 시장불안과 영업난이 커지면서 최근에는 물동량이 줄어드는 등 타격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현대상선이 구조조정과 채권단 협의, 용선료 협상 등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인천항 미주항로 중단을 검토해 위기감이 커지기도 했다. 다행히 현대상선이 최근 CC1 항로를 유지하기로 결정해 미주항로 중단 위기는 벗어났으나 유럽 등 원양노선 추가 개설은 당분간 어렵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인천항만공사 유창근 사장은 “최근 미국산 건초와 과일에 이어 냉동육 수입이 시작돼 미주항로 물동량이 착실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미주항로 취급 품목을 더욱 늘릴 뿐만 아니라 원양항로가 추가로 개설될 수 있도록 마케팅 등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금융감독원 인천지원 개원 한 달… 민원 1순위는 ‘보험’

개원 한 달을 맞은 금융감독원 인천지원에는 보험 관련 민원이 가장 많이 접수된 것으로 조사됐다. 금감원 인천지원은 지난 2일~31일까지 인천지원에 접수된 민원 총 177건 중, 보험 민원은 95건으로 전체의 53.7%를 차지했다고 6일 밝혔다. 유형별로는 보험 모집이 44건으로 가장 많았고, 계약의 성립·해지가 12건, 보험금 산정·지급이 7건으로 뒤를 이었다. 실제 접수된 민원을 살펴보면, 변액보험에 가입했을 때 ‘사업비나 금리변동 및 투자수익 결과에 따라 납입 원금보다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내용을 고지받지 못했다는 사례가 있었다. 또 저축성 보험에 가입했을 때 ‘상품이 사실상 보험사에 불입하는 적금과 같다’고 안내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중도 해약 때 해약환급금이 적다는 내용도 있었다. 금감원 인천지원은 설계사 등을 만나 보험을 가입할 때 녹취 등 증거가 없으면 불완전판매 여부 확인이 불가능하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제대로 알지 못한 채 형식적으로 청약서에 서명하거나, 전화에 답했을 때도 법률적 효력이 인정된다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 가입 청약서에 서명하기 전에 상품 내용을 꼼꼼히 읽고, 부족한 경우 추가 설명을 요구해야 한다”며 “가입한 뒤 보험사로부터 확인 전화가 오면 형식적인 답변을 피하고, 가입 당시 안내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 후 답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덕현기자

인천 송도에 중국계 국제학교 유치 추진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에 2번째 국제학교로 중국계의 국제학교를 유치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기존 영미계의 체드윅국제학교의 외국인 정원에 아직 여유가 있고, 중국계 국제학교의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 등을 대비한 것이다. 6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송도국제도시 3공구 일대 7만1천700㎡ 부지에 송도 제2국제학교를 유치하기 위해 중국학교를 포함한 여러 외국교육기관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송도국제도시 1공구에는 2010년 수도권 최초의 외국교육기관인 채드윅국제학교가 문을 열었다. 이 학교는 유아원·유치원, 12학년 정규과정으로 운영되며 현재 총정원 2천80명의 절반가량인 1천89명이 재학 중이다. 재학생 가운데 806명이 내국인이고 외국인은 283명이다. 인천경제청은 채드윅국제학교의 외국인 학생 정원에 아직 여유가 있고 송도의 두 번째 국제학교도 같은 영미계 학교로 유치하면 두 학교 사이에 과도한 경쟁이 우려됨에 따라 중국계 학교를 유치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한류 등에 따라 중국계 국제학교에 대한 입학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그러나 송도 제2국제학교 설립에 필요한 막대한 초기 투자비용으로 사업진행이 만만치만은 않다. 송도 제2국제학교 부지를 소유한 송도국제도시개발유한회사(NSIC)는 3.3㎡당 400만원선을 제시하고 있어 건축비를 제외한 땅값에만 800억원 이상을 선뜻 투자할 외국교육기관을 찾기가 쉽지 않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최근 접촉한 중국계 학교의 경우 토지 가격에 대한 이견으로 진행에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앞으로 외국교육기관 유치 과정에서 NSIC 측과 부지 가격 조정 문제도 함께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에는 송도국제도시에 2곳, 청라국제도시에 1곳, 영종지구에 2곳 등 모두 5개의 외국교육기관·외국인학교 부지가 지정돼 있다. 현재 송도국제도시와 청라국제도시에 각각 외국교육기관, 외국인학교 1곳씩이 설립돼 있다. 인천경제청은 영종하늘도시와 미단시티 등 영종지구에도 영미계 학교를 비롯한 외국교육기관 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김신호기자

인천 연재

지난 연재